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Editor’s Comment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레이 톰린슨(Ray Tomlinson), ‘@’, 1971
– ITC 아메리칸 타자기 서체 버전. 1970년대 초 ‘모델 33 텔레타입’에 사용된 서체와 가장 유사한 것이다.

이메일 주소마다 반드시 들어 있으며, “골뱅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부호.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를 영구 소장품 목록에 올렸다. 3월 22일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Paola Anotnelli)가 MoMA 블로그에 이 사실을 알렸다. 

하지만 부호를 소장한다니? 혹여 그렇다고 해도 @를 과연 디자인이라 할 수 있을까? 파올라 안토넬리는 이번 소장 결정의 배경을 차근히 설명한다. 설치작품은 물론이고 퍼포먼스까지도 소장의 대상이 되는 만큼, 어떤 오브제의 실제 소유가 소장의 필수조건은 아니라는 것. 덕분에 이제 큐레이터들은 너무나 거대해서, 또 그 누구의 소유도 아니기에 소장할 수 없었던 것들에도 눈을 돌리고 있다. “@는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모두 만족한다. 그저 실제의 물건이 아닐 뿐이다.”

그리고는 @의 역사에 대한 설명이 이어진다. 본래 @은 6~7세기부터 사용되었던 부호로, 당시 ‘at, to, toward’ 등 여러 가지의 의미를 축약하였다. 이후 1885년 아메리칸 언더우드 타자기 자판에 등장하였고, 1963년에는 ASCII 코드에도 포함되어, ‘at, at the rate of’ 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때까지만 해도 @는 그리 잘 사용되지 않는 부호의 하나였을 뿐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는 전적으로 다른 기능을 부여받게 된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의 역사에 있어 결정적인 인물로 레이 톰린슨을 꼽는다. 인터넷의 전신 ‘아르파넷(ARPAnet)’ 개발에 참여했던 그는 특히 메시지 전송과 관련된 작업을 맡고 있었다. 아르파넷을 통해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처음으로 서로 메시지를 주고 받게 된 것이다. 1971년 10월 그는 최초의 이메일에 @ 부호를 사용했다. ‘사용자명@기관/컴퓨터/서버명’ 등으로 구성된 이메일 주소 형식이 탄생한 것이다.

기존의 부호를 전유하여 재이용하는 것. MoMA는 이것이 “디자인 행위”라고 단언한다. 톰린슨은 @에 전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선사했다. 인터넷이라는 기술 혁신 과정에서 @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이메일 주소 등에 사용되며 뛰어난 경제성을 자랑했다. 부호 본연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게 된 것이다. MoMA의 @ 소장 결정은, 이 부호에 담긴 ‘디자인 행위’를 겨냥한다. 그래서 @은 앞으로 다양한 서체 버전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파올라 안토넬리는 말한다. “기존 소장품에 소재 정보를 기입하듯, 앞으로 @에 해당 서체의 이름을 명기할 것입니다.”

[MoMA] @ at MoMA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3-10 | ‘잃어버린 도시로부터’

반듯함과는 거리가 먼, 자가성장이 만들어낸 비정형의 파벨라 풍경을 가구에 옮겼습니다. 가구의 뼈대를 채운 것은 제각각 소재의 서랍과 상자들입니다. 2009년 당시 갓 학교를 졸업한 신진 디자이너였던 크리스티안 비방코는 이제 여러 디자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입니다. 더불어 멕시코의 라탄 가구 브랜드인 발사의 크리에이티브 디렉션도 맡고 있지요.

2010-05-15 | 2010 영국디자인산업계 조사

“38세의 백인 남성… 독립 프리랜서 디자이너의 증가… 전체 디자인 회사들의 2/3가 신규 채용을 아예 포기….” 2010년 디자인 카운슬이 발표한 영국 디자인 업계의 현황 보고서에서 묘하게 2020년이 겹쳐 보입니다. 2007년의 경제위기와 2020년의 팬데믹. 두 개의 위기가 불러온 경제적 여파에서 디자인 업계도 자유롭지 못했으니, 작년에는 IDEO마저 인력의 8% 감축 계획을 밝혔습니다. 신규 채용은 고사하고 기존의 정규직 일자리마저 사라지는 와중에, 그 자리를 채운 것은 그때나 지금이나 프리랜서입니다. 더 나아가 일을 중심으로 단기적으로 인력을 조직하는, 이른바 ‘온디맨드형’ 인력 구성이 아예 표준이 되리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

2010-12-07 | 생일 축하합니다, 고다르!

장-뤽 고다르 감독의 80번째 생일을 맞아, 스튜디오 카르발류 베르나우가 선보인 폰트의 이름은 ‘장-뤽’입니다. 고다르 영화 두 편의 타이틀 시퀀스에 등장하는 레터링을 참조하여 태어난 대문자 그로테스크 서체인데요. ‘장-뤽’ 서체와 함께 카르발류와 베르나우가 말하는 고다르 영화 속 레터링이 지닌 특징, 그 연원과 영향에 관한 생각 그리고 관련 자료들도 흥미롭습니다.

2010-06-15 | 증강현실과 책이 만나면

보통의 책 위에 가상의 레이어가 하나 더해졌습니다. 카미유 셰레는 졸업작품 ‘산의 세계’에서 증강현실 기술을 통해 책 위에 움직이는 이미지의 세계를 덧입혔습니다. 이 가상의 층은 책 속의 이야기와도 또 책의 편집 디자인과도 절묘하게 공명하며 흥미로운 독서 경험을 만들어냈죠. 셰레의 이 작업은 디자인하위스의 ‘탤런트’ 전시에서 최우수 졸업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