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7 |〈가디언〉,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 발행

Editor’s Comment

2010년 3월 15일, 영국의 유력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을 주제로 증보판을 내놓았습니다. 제품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이 부상했고, 〈가디언〉의 이 기획은 기존 유형의 것에 적용해 왔던 굿 디자인 논의를 왜 또 어떻게 무형의 것에 적용할 것인지를 다루었습니다.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 네트워크(Service Design Network)와 함께 ‘서비스 디자인’을 이야기한다. 3월 15일, 〈가디언〉이 서비스 디자인과 혁신을 주제로 증보판을 발행했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에서 소위 지식 산업으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서비스 디자인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그 동안 주인공은 단연 상품이었다. 좋은 제품 디자인, 즉 ‘굿 디자인’에 대한 논의가 대중소비사회의 등장과 궤를 같이 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산업구조의 이행 속에서, 관심의 초점도 달라졌다. 아티클 ‘상품은 가고 커뮤니티가 온다’는 소비의 초점이 제품에서 제품을 둘러싼 전반적인 경험으로 이동하였다고 지적한다. “가령 아이폰 구매는 그저 시작에 불과하다. 중요한 것은 아이폰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이다.” 상품이 시스템, 서비스의 일부로서 인식되면서 서비스 디자인의 필요성이 부각된다. 하지만 서비스란 제품보다 까다로운 무엇이다. 서비스란 본질적으로 무형의 것이어서, 서비스의 관리란 제품의 품질 관리처럼 정량화하기도 어렵다. 말하자면 아직 ‘교과서’라 할 만한 서비스 관리나 혁신의 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서비스 디자인 담론의 부상은 이러한 맥락에서 흥미롭다. 〈가디언〉의 서비스 디자인 증보판은 이와 같은 상황을 겨냥하고 있다. 서비스 디자인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서비스 디자인이 실제로 기업에 얼마나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주었는가. 굿 디자인이 기업의 경쟁력이라는 디자인 경영의 통찰과 방법론을, 제품 너머로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www.theguardian.com/artanddesign/series/service-design
www.service-design-network.or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13 | 벅스턴 컬렉션

『사용자 경험 스케치』로 유명한 캐나다의 컴퓨터 과학자이자 디자이너인 빌 벅스턴은 기술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영역에서 활동해왔습니다. HCI 분야의 선구자이자 전문가로서 걸어오는 동안 흥미로운 관련 기기들을 수집하였고, 그것들은 ‘벅스턴 컬렉션’으로 불립니다. 2005년 그가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의 파트너 연구원으로 합류한 지 6년 뒤,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소가 ‘벅스턴 컬렉션’ 온라인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

레고로 재해석한 앨범 재킷

미국의 레고 아티스트 애드넌 로티아(Adnan Lotia)는 명반의 재킷을 레고 아트로 재해석한다. 록, 팝, R&B,...

2007-10-17 | 펫숍보이스의 QR 코드 뮤직비디오

“잘못한 일이 없다면 두려워할 것 없지. 숨길 것이 있다면 아예 여기 있어서도 안돼.” 펫숍보이스의 〈인테그럴〉은 말하자면 빅브라더가 화자인 노래입니다. 그렇다고 그것이 부르는 이의 메시지는 아닙니다. “우리가 운용하는 체제에선 모두가 고유 번호를 가지지. 당신의 인생이 정보로 존재하는 상황으로 우리는 나아가고 있어.” 뮤직비디오는 그에 저항하는 메시지를 영상 속 QR 코드의 형태로 말없이 전합니다. 

2010-10-04 | BMW 구겐하임 랩 발표

지난 5월 9일의 소식이 2011년 BMW 구겐하임 랩 1기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었다면, 오늘은 그보다 앞서 2010년 오늘자로 소개했던 BMW 구겐하임 랩의 기획 발표 소식입니다. 도시를 여행하는 도시 실험실이라는 기획 아래 프로그램의 대략적인 윤곽과 계획이 공개되었죠. 순서가 바뀌기는 했습니다만, 이 기회에 앞서 공유했던 나중의 뉴스도 함께 살펴보시면 좋겠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