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17 |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TV 드라마 포스터 

Editor’s Comment

오스트리아의 한 디자이너가 익숙한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습니다. 키워드는 아이콘과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포스터는 드라마의 제목과 이 작품을 압축하여 드러낼 만한 상징 하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령 <맥가이버>의 구부러진 종이 클립처럼요. 

“TV 문화에 대한 유머러스한 시각.” 만일 당신이 ‘미드’ 팬이라면 이 포스터들이 더욱 반갑게 느껴질 것이다. 오스트리아의 디자이너 알베르트 엑세르지안(Alebert Exergian)은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다. 그 누구의 의뢰 없이 시작된 지극히 개인적인 작업으로, 포스터 시리즈에는 멀리 80년대 말의 <트윈 픽스>에서 현재 방영 중인 동시대 드라마들까지, 친숙한 TV 드라마들 다수가 등장한다.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은 이번 작업에서 포스터마다 해당 드라마를 상징하는 ‘아이콘’ 하나씩을 제시한다. 드라마의 제목과 그래픽. 그것이 포스터의 전부다. 가령 <트윈 픽스>는 두 개의 산봉우리가, <엑스파일>은 대문자 X가 드라마를 설명하는 유일한 그래픽이다. 

너무 직접적인 지시물이 아닌가 싶겠지만 모두가 그리 쉽지만은 않아서, 해당 드라마들을 본 연후에라야 비로소 고개를 끄덕일 만한 아이콘들도 다수다. 만일 <덱스터>를 본 적 없다면, 그래픽이 핏방울 슬라이드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까? 의학 (미스테리) 드라마인<하우스> 포스터에 야구공이 등장하는 것처럼 말이다.

드라마마다 두 말할 필요 없는 아이콘을 이끌어낸 그의 해석도 재미있지만, 포스터 디자인에 ‘모더니즘 시대’의 인상이 담겨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포스터, 모더니즘, 텔레비전을 향한 사랑에서 탄생한”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포스터 시리즈는 현재 블랑카에서 판매되고 있다. 

www.exergian.com
www.blanka.co.uk

via Hoefler & Frere-Jon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22 | 벨크로의 힘

특정 제품의 이름인 고유 명사가 그런 물건 일반을 통칭하는 보통 명사가 되기도 합니다. 벨크로도 그런 경우죠. 생활 속 익숙한 물건이 된 벨크로는 또 생체모방 디자인의 대표적인 사례로 언급되기도 합니다. 2007년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아트리움은 벨크로에 습격된 듯한 모습이었습니다. 스페인의 신진 디자이너 루이스 에슬라바는 이 저렴하고 익숙한 물건으로 조명과 벽장식을 선보이며 여러 모로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코로나 시대 1년, 디자인의 변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코로나 19의 팬데믹을 선언한 날이 2020년 3월 11일이니, 공식적으로 전세계인들의 발이 묶인지 1년 2개월이 지났다. 팬데믹 선언 이후, 미디어에서는 코로나 시대의 디자인에...

사라질 지도

바다를 소재로 기후 위기를 다루는 예술가, 크리스티나 콘클린(Christina Conklin)이 마리나 사로스와 공동 저술한 <사라지는...

넷플릭스 디자인 다큐멘터리 시리즈: ‘메이드 바이 디자인(Made by Design)’

넷플릭스가 자체 제작하는 콘텐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에서 디자인 다큐멘터리‘메이드 바이 디자인(Made by Design)’ 시즌 1을 2021년 12월 말 공개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