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17 |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TV 드라마 포스터 

Editor’s Comment

오스트리아의 한 디자이너가 익숙한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습니다. 키워드는 아이콘과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포스터는 드라마의 제목과 이 작품을 압축하여 드러낼 만한 상징 하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령 <맥가이버>의 구부러진 종이 클립처럼요. 

“TV 문화에 대한 유머러스한 시각.” 만일 당신이 ‘미드’ 팬이라면 이 포스터들이 더욱 반갑게 느껴질 것이다. 오스트리아의 디자이너 알베르트 엑세르지안(Alebert Exergian)은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다. 그 누구의 의뢰 없이 시작된 지극히 개인적인 작업으로, 포스터 시리즈에는 멀리 80년대 말의 <트윈 픽스>에서 현재 방영 중인 동시대 드라마들까지, 친숙한 TV 드라마들 다수가 등장한다.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은 이번 작업에서 포스터마다 해당 드라마를 상징하는 ‘아이콘’ 하나씩을 제시한다. 드라마의 제목과 그래픽. 그것이 포스터의 전부다. 가령 <트윈 픽스>는 두 개의 산봉우리가, <엑스파일>은 대문자 X가 드라마를 설명하는 유일한 그래픽이다. 

너무 직접적인 지시물이 아닌가 싶겠지만 모두가 그리 쉽지만은 않아서, 해당 드라마들을 본 연후에라야 비로소 고개를 끄덕일 만한 아이콘들도 다수다. 만일 <덱스터>를 본 적 없다면, 그래픽이 핏방울 슬라이드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까? 의학 (미스테리) 드라마인<하우스> 포스터에 야구공이 등장하는 것처럼 말이다.

드라마마다 두 말할 필요 없는 아이콘을 이끌어낸 그의 해석도 재미있지만, 포스터 디자인에 ‘모더니즘 시대’의 인상이 담겨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포스터, 모더니즘, 텔레비전을 향한 사랑에서 탄생한”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포스터 시리즈는 현재 블랑카에서 판매되고 있다. 

www.exergian.com
www.blanka.co.uk

via Hoefler & Frere-Jon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0-14 | 잉크, 드레스 속에 흐르다

아나욱 비프레흐트는 인터페이스로서의 패션을, 패션으로서의 기술을 디자인합니다. 그가 2010년 선보인 ‘쉬도모프’는 그의 행보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였지요. 잉크, 밸브, 전자회로가 더해진 두터운 펠트 드레스는, 기계가 작동하는 순간 드레스 안으로 잉크가 스며들며 번져나가 무늬를 만들어냅니다. 이후로도 그는 계속해서 “패션테크”의 영역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2010-10-15 | 리얼리티 랩

이세이 미야케가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 생산하는 일의 미래를 고민합니다. 2010년 도쿄 21_21 디자인 사이트에서 열린 전시회 ‘리얼리티 랩’은 리얼리티를 창조하는 디자인 활동의 의미를 다시금 제기하는 자리였습니다. “디자이너의 임무는 사용자를 위해 생각을 현실로 변환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일종의 ‘현실 실험(Reality Lab)’인 것이다.”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바이오 소재의 재구성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이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갤러리 루트(LOOT)에서...

2009-06-30 | 쿠션을 구하는 스툴

보통 소파나 안락의자에 놓던 쿠션을, 가장 단순한 의자인 스툴에 선사했습니다. 5.5 디자이너스의 스툴 ‘탭’은 쿠션을 놓기 좋게 오목한 시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조화를 불러오는 쿠션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스툴. 5.5 디자이너스가 제공하는 것은 거기까지입니다. 실제로 쿠션을 구해 얹는 일은 사용자의 몫이었죠. 5.5 디자이너스가 이 의자를 두고 “미완성 상태에 놓인 절반의 물건”이라고 했던 까닭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