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17 |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TV 드라마 포스터 

Editor’s Comment

오스트리아의 한 디자이너가 익숙한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습니다. 키워드는 아이콘과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포스터는 드라마의 제목과 이 작품을 압축하여 드러낼 만한 상징 하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령 <맥가이버>의 구부러진 종이 클립처럼요. 

“TV 문화에 대한 유머러스한 시각.” 만일 당신이 ‘미드’ 팬이라면 이 포스터들이 더욱 반갑게 느껴질 것이다. 오스트리아의 디자이너 알베르트 엑세르지안(Alebert Exergian)은 TV 드라마들에 새로운 포스터를 선사했다. 그 누구의 의뢰 없이 시작된 지극히 개인적인 작업으로, 포스터 시리즈에는 멀리 80년대 말의 <트윈 픽스>에서 현재 방영 중인 동시대 드라마들까지, 친숙한 TV 드라마들 다수가 등장한다.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은 이번 작업에서 포스터마다 해당 드라마를 상징하는 ‘아이콘’ 하나씩을 제시한다. 드라마의 제목과 그래픽. 그것이 포스터의 전부다. 가령 <트윈 픽스>는 두 개의 산봉우리가, <엑스파일>은 대문자 X가 드라마를 설명하는 유일한 그래픽이다. 

너무 직접적인 지시물이 아닌가 싶겠지만 모두가 그리 쉽지만은 않아서, 해당 드라마들을 본 연후에라야 비로소 고개를 끄덕일 만한 아이콘들도 다수다. 만일 <덱스터>를 본 적 없다면, 그래픽이 핏방울 슬라이드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을까? 의학 (미스테리) 드라마인<하우스> 포스터에 야구공이 등장하는 것처럼 말이다.

드라마마다 두 말할 필요 없는 아이콘을 이끌어낸 그의 해석도 재미있지만, 포스터 디자인에 ‘모더니즘 시대’의 인상이 담겨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하다. “포스터, 모더니즘, 텔레비전을 향한 사랑에서 탄생한” 알베르트 엑세르지안의 포스터 시리즈는 현재 블랑카에서 판매되고 있다. 

www.exergian.com
www.blanka.co.uk

via Hoefler & Frere-Jones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우리가 만든다: 소녀 목공 클럽

텍사스 사막 위의 작은 마을 마파에 위치한 마파 목공 클럽(Lumber Club Marfa)은 7세에서 14세...

2011-01-18 | 전시회 ‘큐빅스’

그리드의 입체판이라 해야 할까요? 정육면체를 기본 단위로 삼아 큐브 패턴의 원리를 찾고, 이를 디자인의 방법론으로 삼았던 두 사람이 있었습니다. 얀 슬롯하우버르와 빌리암 흐라츠마는 우표에서 가구까지 큐브 패턴의 응용 가능성을 활짝 펼쳤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2000년대 들어 뒤늦게 재발견되었는데요. 2011년의 ‘큐빅스’도 그러한 맥락에서 열린 전시입니다.

2008-10-20 | 필름 카메라의 귀환

무엇인가가 주류로 부상할 때, 그것에 의해 밀려난 것을 지향하는 움직임이 생겨나기도 합니다.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된 시기와 클래식 카메라, 로모, 토이 카메라 등이 인기를 누린 시기가 비슷했던 것처럼요. 2008년 일본의 슈퍼헤즈가 내놓은 ‘블랙버드, 플라이’도 그러한 맥락에 있었던 제품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