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24 | OLPC 그 세 번째, ‘XO-3’

Editor’s Comment

OLPC는 “한 아이마다 한 대의 노트북을(One Labtop Per Child)”이라는 기치로 2005년 출범한 비영리 단체입니다. 100달러 가격의 저렴한 노트북을 개발하여 널리 보급함으로써, 세계 곳곳 어린이들의 정보 및 교육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였지요. 2009년 OLPC의 세 번째 모델인 ‘XO-3’의 디자인이 공개되었는데요. 디자인은 다시 한 번 퓨즈프로젝트가 맡아, 이번에는 노트북이 아닌 태블릿 형태의 PC를 보여주었습니다.  

OLPC 재단의 노트북 1세대 모델, ‘XO’가 세상에 등장한 것이 벌써 2년 전이다. “100달러 노트북”으로 널리 알려진 이 노트북은, 니콜라스 네그로폰테가 이끄는 OLPC 재단이 내놓은 결실이었다. 이후 이 작은 노트북은 100만대 이상 세계의 어린이들에게 전달되어, 평등한 정보 접근과 더 나은 교육을 위한 밑거름이 되었다. 지금 우루과이의 초등학생들 모두가 ‘XO’를 사용하고 있을 정도다. 

이렇게 OLPC가 더욱 많은 아이들을 찾아가는 와중에도, 차세대 노트북 개발은 계속되었다. 작년에 공개된 2세대 모델 ‘XOXO’는 듀얼 터치스크린 노트북이었고, 그리고 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XO-3’는 다시 하나의 스크린으로 돌아왔다. 디자인을 맡은 퓨즈프로젝트는 더 튼튼하고 얇고 심지어 더욱 저렴한 태블릿 PC를 선보이고자 했다. 

‘XO-3’에는 단 하나의 버튼도 없고, 모든 조작은 오로지 터치스크린 위에서 진행된다. 스크린 이외의 요소를굳이 찾자면, 휴대를 위한 초록색 고리 정도다. 스크린의 재질은 플라스틱으로 전면 교체되었다. 기존의 유리 재질 스크린과 마찬가지로 투과형(transmissive) 및 반사형(reflective) 모드로 최적화가 가능하면서도, 유리 스크린에 비해 훨씬 튼튼하다. 

언제나처럼 퓨즈프로젝트의 목표는 아이들의 학습 욕구를 다양한 방식으로 충족시키는 컴퓨터를 디자인하는데 있었다. ‘XO-3’는 기본적으로 컴퓨터인 동시에, 독서를 위한 e리더이자, 사진 및 영상을 감상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이기도 하다. 더불어 이번 모델에는 카메라가 새롭게 추가되어, 아이들의 사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 많은 노트북으로 더 많은 아이들의 미소를.” ‘XO-3’는 2012년 생산을 목표로 개발 작업에 돌입한다. 게다가 “100달러 노트북”이라는 별명이 무색하게 가격을 70달러 대까지 낮출 예정이라고. 

www.laptop.org
www.fuseproject.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2010-04-29 | 학생들이 수여합니다

‘쾰른 클로퍼’는 쾰른국제디자인학교(KISD)의 학생들이 수여하는 디자인상입니다. 1996년부터 KISD 재학생들은 매년 투표를 통해 뛰어난 수상자를 선정해왔는데요. 2010년의 수상자는 다름 아닌 디터 람스였습니다. 참고로 2021년 KISD 학생들의 선택은 독일의 독립출판 레이블인 슬랜티드(Slanted)였고, 시상식은 최초로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열렸다고 합니다.

2006-08-22 | ‘필립 스탁 하우스 플랜’ 키트

그 목제 케이스 안에는 필립 스탁이 설계한 집의 건축 노트, 설계도, 건축 과정을 담은 비디오테이프, 망치가 담겨 있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내용물도 있었으니, 바로 ‘스탁 하우스’를 지을 권리입니다. 이름하여 ‘필립 스탁 하우스 플랜’은 그가 설계한 집을 직접 짓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한정판 키트였습니다. 2006년 아파트먼트 테라피에서는 고유번호 501번의 키트를 2,000달러에 판매했죠.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