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17 | 〈I. D.〉매거진 폐간

Editor’s Comment

디자인플럭스 1.0이 운영했던 메뉴 중에는 ‘매거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리뷰한 매거진이 바로 〈I. D.〉 2006년 3/4월호였지요. 그 뒤로 채 4년이 지나지 않아, 전통의 제품 디자인 전문지 〈I. D.〉의 폐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F+W 미디어는 실물 잡지 발행 중단을 발표하며, ‘애뉴얼 디자인 리뷰’를 중심으로 〈I. D.〉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실제로 2011년 6월 비핸스와 제휴하며 온라인 디자인 쇼케이스 형식의 사이트로 재출범했지만, 약 5년 만에 문을 닫으며 다시금 작별을 고했습니다.

<I.D.> 매거진의 55년 역사가 막을 내린다. 12월 15일, 발행사 F+W 미디어가 <I.D.>의 폐간을 공식 발표했다. 1954년 창간된 이래, <I.D.>는 미국의 대표적인 제품디자인 전문 잡지로 자리매김했다. 국내의 제품디자인 학도들 역시 <I.D.>를 탐독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2010년 1/2월호를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고하게 되었다. 

F+W 미디어는 <I.D.>와 같은 대표적인 브랜드의 폐간 결정이 결코 쉽지 않았지만, 몇 가지 피할 수 없는 요인들이 있었다고 설명한다. 지면 광고 감소가 역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한편 여기에 온라인 매체, B2B, 기타 수많은 정보 원천들 속에서, 제품디자인 전문지로서 독자들에게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 역시, 폐간 결정의 배경이 되었다. 

다만 <I.D.>의 ‘애뉴얼 디자인 리뷰’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진행된다. 잡지를 폐간하는 대신, 제품디자인 공모전 애뉴얼 디자인 리뷰에 초점을 맞추어, 새 웹사이트를 열 예정이라고. 과거 방대한 수상작들과 미래의 수상작 정보들이 온라인으로 서비스된다. 

F+W 미디어의 발행자 겸 편집 디렉터, 게리 린치가 전하는 마지막 인사. “지난 55년 동안 <I.D.>를 지탱해주셨던 모든 전현직 스태프, 외부 필자, 독자, 광고주 등, <I.D.> 커뮤니티에 감사를 표합니다.” 

www.id-ma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1-07 | OMA, 코펜하겐 기후변화회의의 실패를 말하다

1995년 처음 열린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 COP가 벌써 26차를 지났습니다. 지난 11월 글래스고에서 개최된 COP26은 그러나 기대 이하에 그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석탄발전의 단계적 폐지라는 목표는 감축으로 완화되었고, 결국 탈석탄 성명에는 미국, 인도, 중국, 호주, 일본 등 석탄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의 서명이 빠졌습니다. 문제는 초국가적인데 해결의 단위는 국가라는 점이 문제일까요? 2009년 COP15의 ‘실패’에 관해 OMA의 레이니어르 더 흐라프는 그렇다고 보았습니다. 

2009-08-26 | 빈티지 기모노의 변신

아시아티카의 옷은 확실히 옷감에서 출발합니다. 빈티지 기모노부터 동시대 일본과 이탈리아의 옷감들을 한 폭 한 폭 사들여, 그것으로 옷을 짓지요. 특히 이들이 수집한 빈티지 기모노는 단 하나 뿐인 옷으로 재탄생합니다. 2009년 오늘 소개했던 아시아티카는 반갑게도 여전히 캔자스 시티에서 매년 새로운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놀이 부문 수상작:

인덱스 어워드는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디자인 시상 행사입니다. ‘몸’, ‘집’, ‘일’, ‘놀이와 배움’, ‘공동체’의 다섯 가지 부문 별로 “삶을 개선하는 디자인”을 선정해 발표하는데요. 2009년 ‘놀이’ 부문상은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는 05049번이라 불리던 돼지가 도축되고 187개 제품이 되기까지, 그 쓰임새의 면면을 3년에 걸쳐 연구하여 한 권의 책에 담았습니다.

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