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17 | 〈I. D.〉매거진 폐간

Editor’s Comment

디자인플럭스 1.0이 운영했던 메뉴 중에는 ‘매거진’이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첫 번째로 리뷰한 매거진이 바로 〈I. D.〉 2006년 3/4월호였지요. 그 뒤로 채 4년이 지나지 않아, 전통의 제품 디자인 전문지 〈I. D.〉의 폐간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F+W 미디어는 실물 잡지 발행 중단을 발표하며, ‘애뉴얼 디자인 리뷰’를 중심으로 〈I. D.〉를 온라인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실제로 2011년 6월 비핸스와 제휴하며 온라인 디자인 쇼케이스 형식의 사이트로 재출범했지만, 약 5년 만에 문을 닫으며 다시금 작별을 고했습니다.

<I.D.> 매거진의 55년 역사가 막을 내린다. 12월 15일, 발행사 F+W 미디어가 <I.D.>의 폐간을 공식 발표했다. 1954년 창간된 이래, <I.D.>는 미국의 대표적인 제품디자인 전문 잡지로 자리매김했다. 국내의 제품디자인 학도들 역시 <I.D.>를 탐독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쉽게도 2010년 1/2월호를 마지막으로, 독자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고하게 되었다. 

F+W 미디어는 <I.D.>와 같은 대표적인 브랜드의 폐간 결정이 결코 쉽지 않았지만, 몇 가지 피할 수 없는 요인들이 있었다고 설명한다. 지면 광고 감소가 역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한편 여기에 온라인 매체, B2B, 기타 수많은 정보 원천들 속에서, 제품디자인 전문지로서 독자들에게 특화된 정보를 제공하기가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 역시, 폐간 결정의 배경이 되었다. 

다만 <I.D.>의 ‘애뉴얼 디자인 리뷰’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진행된다. 잡지를 폐간하는 대신, 제품디자인 공모전 애뉴얼 디자인 리뷰에 초점을 맞추어, 새 웹사이트를 열 예정이라고. 과거 방대한 수상작들과 미래의 수상작 정보들이 온라인으로 서비스된다. 

F+W 미디어의 발행자 겸 편집 디렉터, 게리 린치가 전하는 마지막 인사. “지난 55년 동안 <I.D.>를 지탱해주셨던 모든 전현직 스태프, 외부 필자, 독자, 광고주 등, <I.D.> 커뮤니티에 감사를 표합니다.” 

www.id-mag.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24 | 런던의 새 버스

런던의 상징이었던 이층버스가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2005년 12월 9일 루트마스터가 마지막으로 정규 노선 주행을 마친 지 약 5년 만에, ‘런던의 새로운 버스’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이 새로운 루트마스터는 2012년부터 런던의 거리를 달렸는데요. 하지만 생각보다 이른 2017년 런던시가 가격 문제를 이유로 뉴 루트마스터의 구입을 중단하였고, 그 자리는 헤더윅 스튜디오의 디자인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새’ 루트마스터가 이어 받았습니다. 

2007-04-07 | 책 속에서 태어나는 빛의 기둥

책의 외양을 취한 조명 혹은 빛을 담은 책. 디자이너 타케시 이시구로의 ‘빛의 서적’입니다. 이 팝업북 혹은 조명은 ‘양심적인 디자인’으로 유명한 아르테크니카를 통해 출시되었습니다. 2008년 아르테크니카의 공동설립자이자 디렉터인 타미네 자반바크트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 기회를 빌려 그와의 인터뷰도 함께 소개합니다.

미완의 건축(세미 아키텍처)

도쿄의 스키마타(Schemata architects) 건축 사무소가 디자인한 무사시노 미술대학 실내디자인과 건물 16 ‘세미 아키텍처(Semi-architecture)’가 완성된...

2009-06-02 | 친환경 ‘전시디자인’

2009년 쿠퍼휴잇에서 열린 ‘생태계를 위한 디자인’은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도모하는 디자인을 선보이는 자리였습니다. 그리고 뮤지엄 측은 그러한 전시에 걸맞은 ‘전시디자인’을 모색했죠. 쿠퍼휴잇의 엘렌 럽튼이 말하는 친환경 전시를 위한 친환경 전시디자인 이야기는 여전히 눈여겨 볼 만합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