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19 | 학원을 위한 사인 디자인

Editor’s Comment

학교에 다니길 거부한 청소년들을 위해 출판사 이쿠신샤가 학원을 열었고, 노자이너가 이곳의 사인물 디자인을 맡았습니다. 학교는 아니지만 또 다른 배움과 성장의 장소가 될 이곳을 위해 노자이너가 택한 모티프는 자입니다. 자의 눈금을 응용한 단정하면서도 상징적인 사인물 디자인을 만나봅니다.

노자이너(Nosigner)가 최근 교육관련 출판사 이쿠신샤(育伸社; Ikushinsha)가 운영하는 학원을 위한 사인물 디자인을 마쳤다. 층별안내에서 화장실 표지까지, 노자이너는 자(scale)를 사인 계획의 핵심으로 삼았다. 

이번 사인 계획은 ‘도시 가구(urban furniture)’라는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도시 가구란 인간 척도(human scale)의 건물을 지칭하는 단어로, 도시가 아닌 사람에 가까운 규모의 건축을 의미한다. ‘자’는 바로 이러한 생각에 어울리는 아이디어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측정 단위를 사인 체계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은 건물을 보다 유희적인 방식으로 경험하게 된다. 

더불어 자는 “키우고 또 키운다”는 학원 이름 뜻에 맞는 유의미한 상징이기도 하다. 아이들의 성장을 상징하고, 더불어 건물과 사람을 연결하는 가늠자로서의 사인 체계 디자인. 노자이너는 말한다. “자는 그 자체가 궁극적인 사인이라 할 수 있을 만큼, 더 이상 상상할 수 없는 최고의 주제였다.” 

www.nosigner.com

via spoon and tamago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2-11 | AP 통신 vs 셰퍼드 페어리

2008년 미국 대선의 대표적인 이미지라 할 셰퍼드 페어리의 버락 오바마 초상이 이듬해 송사에 휘말렸습니다. 문제는 초상이 AP 통신 소속 사진 기자 매니 가르시아의 사진을 바탕으로 한다는 점이었습니다. 소송은 2011년 합의로 마무리 되었는데요. NPR의 보도를 빌리면 합의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0-03-24 | MoMA, @를 소장하다

탄생은 멀리 6~7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오늘날 같은 기능으로 이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1970년대 이후의 일입니다. 2010년 MoMA의 건축·디자인부가 부호 ‘@’를 영구 소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누구의 것도 아니며 실물로 존재하지도 않지만, “소장에 요구되는 다른 기준들을 만족”하며, 더불어 기존의 부호를 전유해 새로운 쓰임을 부여했다는 점에서 “디자인 행위”를 보여준다고, 수석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는 설명합니다.

2006-09-13 | 브라질의 이색 공중전화 부스

공중전화 부스 앞으로 차례를 기다리며 사람들이 줄지어 서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누군가에게는 먼 기억의 풍경이고 누군가에게는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겠지요. 2006년 오늘, 디자인플럭스는 브라질의 별난 공중전화 부스들을 소개했습니다. 앵무새, 과일을 닮은 원색의 부스부터 현대적인 파이버글래스 소재의 부스까지, 브라질의 사진 제작 회사 로스트 아트가 모은 이색 전화부스들을 만나봅니다.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인류학적 디자인, 디자인 인류학의 연구들

인류학은 인간 보편을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다양하고 특수한 민족지(知)를 구성함으로써 문명적 인간의 모순을 드러내고 성찰하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