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1 | 2009 인덱스 어워드 놀이 부문 수상작: <돼지 05049>

Editor’s Comment

인덱스 어워드는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디자인 시상 행사입니다. ‘몸’, ‘집’, ‘일’, ‘놀이와 배움’, ‘공동체’의 다섯 가지 부문 별로 “삶을 개선하는 디자인”을 선정해 발표하는데요. 2009년 ‘놀이’ 부문상은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는 05049번이라 불리던 돼지가 도축되고 187개 제품이 되기까지, 그 쓰임새의 면면을 3년에 걸쳐 연구하여 한 권의 책에 담았습니다.

“삶을 향상시키는 디자인.”
2009 인덱스 어워드 부문별 수상작 리뷰. 

www.indexaward.dk


<돼지 05049>
부문: 놀이(Play)
디자인: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Christien Meindertsma)
지역: 네덜란드 로테르담 

돼지 한 마리로 만들 수 있는 제품의 가짓수는 얼마나 될까. 네덜란드의 디자이너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는 3년에 걸쳐, 05049번 돼지의 쓰임새를 추적했다. 놀랍게도 돼지로 만들 수 있는 제품은 185개에 이른다. 디자이너 자신도 놀란 발견의 목록이 한 권의 책 <돼지 05049>에 담겼다. 

3년간의 연구로 탄생한 책 속에는 돼지로 만든 제품들의 차트와 각종 시각 자료들이 담겨 있다. 돼지 하면 일단 식재료들이 떠오르겠지만, 돼지의 쓰임새가 음식에 머무르는 것만은 아니다. 탄약, 자동차 페인트, 비누, 가루세제, 도자기, 담배, 기차 브레이크 등, 상상조차 어려웠던 다종다양한 제품들이 돼지를 원료로 한다. 

“기본적으로, 지구를 보살피는 첫 번째 단계는 우리가 쓰는 물건들이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아는 데 있다.”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의 설명이다. 심사위원인 존 헤스켓은 그의 책이 지니는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오래 전, 지도하던 학생들이 시카고 남부 빈민가의 어린이들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다. 그러다 아이들이 닭이 살아 있는 생물이라는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아이들은 닭이 공장에서 포장되어 나온 상태의 그것이라고 생각했다.”

원재료에서 최종 제품 생산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단계들이 존재한다. 메인데르츠마는 그렇기에 어떤 제품이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지 알기가 점점 힘들어진다고 이야기한다. “돼지 농장주들 역시 돼지로 만들 수 있는 제품들에 관해 잘 알지 못한다. 그들조차도 자신들이 기른 돼지가 어디로 가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돼지 한 마리로 재구성한 원재료, 제품, 생산자, 소비자의 연계 고리. <돼지 05049>의 최종 쓰임새란 어쩌면 사유를 위한 먹거리인지도 모른다. 

인덱스 어워드 ‘놀이’ 부문 수상자, 크리스틴 메인데르츠마(Christien Meidertsma)
photo by Martin Bubandt

www.christienmeindertsma.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1-29 | 당신의 기억보다 나은

2007년 디자인 마이애미/의 ‘디자인 퍼포먼스’ 현장. 그곳에 디자이너 제이슨 밀러는 최면술사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지원자에게 최면을 걸고 인터뷰를 진행하여, 마음 속에 잠든 의미 있는 과거의 오브제를 찾아내, 새 디자인의 바탕으로 삼겠다는 것이었지요. 정말로 “더 나은” 결과물이 나왔는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그의 퍼포먼스가 말 그대로 클라이언트의 “마음을 읽는” 디자인을 겨냥했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

2009-06-30 | 쿠션을 구하는 스툴

보통 소파나 안락의자에 놓던 쿠션을, 가장 단순한 의자인 스툴에 선사했습니다. 5.5 디자이너스의 스툴 ‘탭’은 쿠션을 놓기 좋게 오목한 시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실내에 조화를 불러오는 쿠션의 힘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스툴. 5.5 디자이너스가 제공하는 것은 거기까지입니다. 실제로 쿠션을 구해 얹는 일은 사용자의 몫이었죠. 5.5 디자이너스가 이 의자를 두고 “미완성 상태에 놓인 절반의 물건”이라고 했던 까닭입니다.

2010-04-21 | 식탁에 오른 자연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의 ‘살로테 사텔리테’는 나이 제한이 있는 전시입니다. 35세 이하의 디자이너만 참여할 수 있지요. 1998년 첫 전시 이래 1만 명 이상의 젊은 디자이너가 참여했고, 이제는 익숙한 이름이 된 디자이너들도 여럿입니다. 2010년 살로네 사텔리테에서 단연 주목받은 신인은 나오 타무라입니다. ‘계절’이라는 이름의 식기 디자인으로 1등상을 수상한 그는 2010년 그때 밀라노 그곳이 커리어의 시작이었다고 단언합니다. 반갑게도 1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그의 이름을 만날 수 있습니다. 작년 화제가 되었던 ‘도쿄 화장실’ 프로젝트에서처럼요.

2009-07-29 | 산업디자인계 트렌드세터 10인

2007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금융위기가 아직도 진행 중이던 2009년, <포브스>는 산업디자인계의 트렌드세터 10인의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경제위기가 불러온 소비의 변화에 가장 먼저 응답할 분야로서 산업디자인을 지목하고, 그 분야의 트렌드를 이끄는 인사들을 선정한 것인데요. 과연 어떤 이름들이 명단을 이루었을까요. 2009년 오늘의 뉴스에서 재확인해봅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