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8 | ‘인베이더’ 개인전

Editor’s Comment

세계 곳곳에 외계 침공자가 숨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는 1970년대의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침략자들을 도시 풍경 속에 숨겨 놓으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당대의 도트 그래픽을 모자이크 타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요. 2009년 열린 인베이더의 개인전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모자이크 타일 외에도 루빅스 큐빅으로도 특유의 ‘저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했지요. 

런던, 파리, LA, 홍콩, 이스탄불… 세계 40여 도시 곳곳에 그의 흔적이 남아 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Invader). 그는 1970년대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캐릭터들을 모자이크 타일로 만들어, 도시 속에 숨겨두었다. 어느 이름 모를 모퉁이에서 저 유명한 ‘헐리우드’ 간판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그의 작품은 ‘불법’ 설치물이지만, 그 자그마한 침략자들을 만나기 위해, 작품 지도가 나왔을 정도다. 

그리고 지난 8월 14일, 인베이더의 개인전 ‘로우 피델리티(Low Fidelity)’가 런던 라자라이즈(Lazarides)의 래스본 갤러리에서 개막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스페이스 인베이더’ 시리즈는 물론이고, 신작 ‘루빅큐비즘(Rubikcubism)’도 함께 선보인다. 이 작품에서 인베이더는 루빅스 큐빅을 픽셀로 삼아, 유명한 앨범 커버들을 재창조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 마이클 잭슨, 록시 뮤직, 큐어, 데이비드 보위 등 유명 뮤지션들의 앨범 커버를 ‘저해상도’ 버전으로 만나볼 수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로우 피델리티’에서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작품은 바로 인베이더식 바코드이다. 큐빅으로 QR코드들이 그것으로, 이 작품을 온전히 감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이 필수다. QR코드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이를 “해독해” 이미지를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하게 된다. 말하자면 향수어린 과거의 무엇에 현대적 기술을 결합한 작품이라 하겠다. 

자그마한 우주 침공자들과의 반가운 만남. 여기에 루빅스 큐빅이라는 80년대의 아이콘과 QR코드 기술의 융합까지. ‘로우 피델리티’ 전시회는 9월 17일까지 계속된다.

www.space-invaders.com
www.lazinc.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비공식 애플 뮤지엄 개관

2022년 5월 28일,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에 비공식 애플 박물관이 개관한다. 옛 노블린 공장(Norblin Factory)를...

2010-03-03 | 졸업작품, 소더비로 향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디자인이 주요한 소장품으로 부상한 가운데, 2010년에는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 학생들의 졸업작품이 유서 깊은 경매 회사로 향했습니다. ‘협업’의 개념으로 진행된 작품 판매 전시를 통해 최소한의 옷, 사우나 겸 옷장, 감각부하 탈출공간 등 2009년도 졸업작품들이 소더비 런던에서 전되었습니다.

Designs for the Pluriverse: Radical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the Making of Worlds

무엇 무엇을 위한 디자인이라는 제목을 붙인 책이 한 둘인가. <사회를 위한 디자인>, <인간을 위한...

카니예 웨스트, 휴대용 믹싱 플레이어 출시

지난 2월, 미국 래퍼 카니예 웨스트(Kanye West)는 새 앨범 ‘Donda 2’의 발매와 동시에 전자...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