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18 | ‘인베이더’ 개인전

Editor’s Comment

세계 곳곳에 외계 침공자가 숨어 있습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는 1970년대의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침략자들을 도시 풍경 속에 숨겨 놓으며 이름을 알렸습니다. 당대의 도트 그래픽을 모자이크 타일로 재현하는 방식으로요. 2009년 열린 인베이더의 개인전이 오늘의 소식입니다. 모자이크 타일 외에도 루빅스 큐빅으로도 특유의 ‘저해상도’ 그래픽을 구현했지요. 

런던, 파리, LA, 홍콩, 이스탄불… 세계 40여 도시 곳곳에 그의 흔적이 남아 있다. 프랑스의 아티스트 인베이더(Invader). 그는 1970년대 컴퓨터 게임 <스페이스 인베이더>의 캐릭터들을 모자이크 타일로 만들어, 도시 속에 숨겨두었다. 어느 이름 모를 모퉁이에서 저 유명한 ‘헐리우드’ 간판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그의 작품은 ‘불법’ 설치물이지만, 그 자그마한 침략자들을 만나기 위해, 작품 지도가 나왔을 정도다. 

그리고 지난 8월 14일, 인베이더의 개인전 ‘로우 피델리티(Low Fidelity)’가 런던 라자라이즈(Lazarides)의 래스본 갤러리에서 개막했다. 이번 전시에서는 ‘스페이스 인베이더’ 시리즈는 물론이고, 신작 ‘루빅큐비즘(Rubikcubism)’도 함께 선보인다. 이 작품에서 인베이더는 루빅스 큐빅을 픽셀로 삼아, 유명한 앨범 커버들을 재창조했다. 벨벳 언더그라운드, 마이클 잭슨, 록시 뮤직, 큐어, 데이비드 보위 등 유명 뮤지션들의 앨범 커버를 ‘저해상도’ 버전으로 만나볼 수 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로우 피델리티’에서 주목할 만한 또 다른 작품은 바로 인베이더식 바코드이다. 큐빅으로 QR코드들이 그것으로, 이 작품을 온전히 감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카메라가 내장된 휴대폰이 필수다. QR코드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하면, 이를 “해독해” 이미지를 텍스트 메시지로 변환하게 된다. 말하자면 향수어린 과거의 무엇에 현대적 기술을 결합한 작품이라 하겠다. 

자그마한 우주 침공자들과의 반가운 만남. 여기에 루빅스 큐빅이라는 80년대의 아이콘과 QR코드 기술의 융합까지. ‘로우 피델리티’ 전시회는 9월 17일까지 계속된다.

www.space-invaders.com
www.lazinc.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6-28 | 〈그래픽〉 매거진 발행 중단

〈i.d.〉 매거진이 마지막 호로 작별 인사를 던진 2010년, 또 하나의 디자인 잡지가 기약 없는 휴간이라는 비보를 전했습니다. 영국의 격월간지 〈그래픽〉이 발행사의 경영 악화로 발간을 중단한 것인데요. 편집진의 노력으로 8개월 뒤인 2011년 2월, 새로운 발행사를 맞이하며 새출발을 하였지만, 안타깝게도 2011년 12월 또 다시 폐간 결정이 내려졌습니다. 현재 〈그래픽〉은 grafik.net으로 둥지를 옮겨, 격년지로 부활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2010-01-11 | ABCing

글자와 그 네거티브 공간을 뒤섞어, 해당 글자를 머릿글자 삼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표현합니다. 콜린 엘리스의 〈ABCing, 알파벳 다르게 보기〉는 A부터 Z까지, 글자와 주변 공간을 재구성하여 태어난 24개의 일러스트레이션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축구: 아름다운 스포츠 디자인

런던 디자인 뮤지엄에서 새로운 전시 ‘축구: 아름다운 스포츠 디자인(Football: Designing the Beautiful Game, 4월...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