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8 | 디자인 발견

Editor’s Comment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디자인 뮤지엄이 디자인에 대한 비평적, 창의적 접근을 고무하고자, ‘디스커버 디자인(Discover Design)’을 오픈했다. 디자인 교육자, 학생, 그리고 디자인 애호가들에게 유용할 법한 곳이다. 

“디자인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우리는 디자인에 둘러싸여 있지만, 그 물건들이 어째서 그러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에 관해서는 그다지 자주 생각하지 않는다.” ‘디스커버 디자인’에서 우리는 디자인에 관해 네 가지 기초적인 질문을 던지며, 디자인의 의미와 효과를 차근차근 되짚어 보게 된다. 외관, 소재, 기능, 그리고 영향력이라는 네 가지 관점을 통해 구체적인 디자인 사례에 접근해 보는 과정은, 과연 ‘디자인의 발견’이라 부를 만하다. 이 곳에 소개된 물건들은 작게는 종이 클립에서 프랭크 게리의 ‘위글(Wiggle)’ 의자까지 다양하고, 또한 낯선 디자인 용어들은 ‘디자인 사전’을 통해 바로 찾아볼 수 있다.

이 사이트는 미술관이 고민하는 방문자 경험 제고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적인 디자인 교육의 일환인 동시에, 디자인 뮤지엄 방문객들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인 셈. 특히 학생들의 단체관람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가이드 서식도 제공되고 있다. 

https://designmuseum.org/discover-desig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수분 매개자를 위한 알고리즘 정원: 수분(受粉) 패스메이커

‘수분(受粉) 패스메이커(Pollinator Pathmaker)’는 꽃가루를 옮기는 벌, 나비 등의 수분 매개자(Pollinator)를 위해 인간이 식물을 심고...

일회용 마스크 코트

마스크로 만든 소파 ‘카우치-19(Couch-19)’로 주목받았던 이탈리아 디자이너 토비아 잠보티(Tobia Zambotti)가 이번에는 일회용 마스크에 의한...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Summer 2021, Volume 37, Issue 3

2021년 여름 <디자인 이슈>는 크게 정치적인 것(the political)에 관한 연구 세 편과 현실 정치(및 경제 politics and economy) 관련 글 세 편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011-07-14 | 도시 별보기

도시의 밤은 너무 밝고, 그 밝음을 이겨낼 별은 많지 않습니다. 프랑스의 디자이너 오스카 레르미트는 그래서 도시의 밤에 인공의 별자리를 선사하기로 했지요. 직경 1mm도 되지 않는 가는 실과 태양광 LED 전구로 디자인한 전에 없던 별자리. 그렇게 레르미트는 ‘도시 별보기’로 런던의 밤에 새로운 별을 수놓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