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8 | 디자인 발견

Editor’s Comment

“디자인은 무엇이고 어떤 일을 할 수 있나.” 런던 디자인 뮤지엄이 2009년 ‘디스커버 디자인’이라는 이름의 교육 프로그램 페이지를 열었습니다. 어떤 사물이 왜 그러한 모습이고 무엇으로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기능은 무엇이고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와 같은 기본적인 질문을 통해, 디자인에 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와줍니다.

디자인 뮤지엄이 디자인에 대한 비평적, 창의적 접근을 고무하고자, ‘디스커버 디자인(Discover Design)’을 오픈했다. 디자인 교육자, 학생, 그리고 디자인 애호가들에게 유용할 법한 곳이다. 

“디자인은 어디에나 존재한다. 우리는 디자인에 둘러싸여 있지만, 그 물건들이 어째서 그러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에 관해서는 그다지 자주 생각하지 않는다.” ‘디스커버 디자인’에서 우리는 디자인에 관해 네 가지 기초적인 질문을 던지며, 디자인의 의미와 효과를 차근차근 되짚어 보게 된다. 외관, 소재, 기능, 그리고 영향력이라는 네 가지 관점을 통해 구체적인 디자인 사례에 접근해 보는 과정은, 과연 ‘디자인의 발견’이라 부를 만하다. 이 곳에 소개된 물건들은 작게는 종이 클립에서 프랭크 게리의 ‘위글(Wiggle)’ 의자까지 다양하고, 또한 낯선 디자인 용어들은 ‘디자인 사전’을 통해 바로 찾아볼 수 있다.

이 사이트는 미술관이 고민하는 방문자 경험 제고를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일상적인 디자인 교육의 일환인 동시에, 디자인 뮤지엄 방문객들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인 셈. 특히 학생들의 단체관람을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가이드 서식도 제공되고 있다. 

https://designmuseum.org/discover-desig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19 | 테크노크래프트 전시 개막

2010년 전시 ‘테크노크래프트’는 만들기라는 오래된 행위의 새로운 양상들과 그것이 불러온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작년 5월 18일자 기사에서 그 내용을 소개했었죠. 오늘자 뉴스는 개막 이후 전시 현장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상하이의 1000그루 나무

2011년부터 헤더윅 스튜디오에서 진행하고 있는 ‘1000그루 나무(1000 Trees)’ 프로젝트의 첫 번째 단계가 완공되어 지난...

2009-04-16 | 디지털 콘텐츠의 딜레마

음악이 물리적 매체를 탈피하면, 음반 디자인에서는 무엇이 남을까요? 2007년 오늘자 뉴스는 jpeg 형식의 커버 이미지 파일만이 남은 현실을 절절히 아쉬워하는 <디자인 옵저버>의 아티클을 소개했습니다. 그야말로 스트리밍의 시대인 지금, 또 하나의 흥미로운 아티클을 덧붙여 봅니다. AIGA의 ‘아이 온 디자인’에 실린 케이팝과 CD 음반 디자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케이팝 신에서 CD는 팬들을 위한 “선물”처럼 채워지고 디자인되고 있으며, CD의 판매고도 기록을 경신하고 있다고요.

2009-08-26 | 토털 리콜, 데이터에 담긴 일생

한 사람의 인생을 전자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면. 마이크로소프트 소속 컴퓨터과학자 고든 벨은 이를 목표로 1998년부터 자신의 삶을 디지털 아카이브화하기 시작했습니다. 말하자면 삶을 “e-기억”의 대상으로 전환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렇게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와 다면적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한 “총체적 기억”. 고든 벨과 짐 게멜의 서적 『토털 리콜』은 질문합니다. “만일 우리가 살아가며 노출되었던 그 모든 정보에, 계속해서 접속할 수 있다면 어떠한 일이 벌어질 것인가?”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