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9-10 | 보철미학

Editor’s Comment

2008년 디자인 아카데미 에인트호번을 졸업하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는 의료용 보철기구를 재해석한 일련의 기구들을 졸업 작품으로 선보입니다. 이름하여 ‘보철미학’은 그의 설명대로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을 표현의 매체로서 바라봅니다. 졸업 후 란차베키아는 학교에서 만난 훈 와이와 란차베키아+와이를 설립하여 지금까지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기사 마지막 부분의 레이스 목보호대를 한 여자와 목발을 입은 남자, 그 두 사람이 바로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와 훈 와이입니다.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 ‘지팡이의 재해석(Canes, Reinterpreted)’
photo by Davide Farabegoli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Francesca Lanzavecchia)는 올 봄 에인트호벤 디자인 아카데미에서 박사 과정을 마친, 이탈리아 출신의 디자이너다. 그녀의 박사 학위 프로젝트 ‘보철미학(ProAesthetics)’은 목보호대나 지팡이, 허리보호대와 같은 의료용 보조기기들을 통해, 장애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양상을 탐색한다. 

“우리 사회에서 신체적 장애를 지닌 사람은 자기를 표현할 만한 적절한 기회를 얻지 못한다. 오로지 기능적 측면만 강조된, 기계적이고 일반적인 외양의 보조기기들만이 존재할 뿐이다.” 란차베키아의 설명대로, 휠체어나 지팡이, 보호대와 같은 기구들은 오로지 그 자신의 기능에 충실한 외양만을 지니고 있으며, 더불어 이를 착용하는 순간 장애의 사회적 기호로서 작용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란차베키아는 이들 기기로부터 우울한 외양을 걷어내고, 표현적인 가치들을 불어넣었다. 패션 소품처럼 보이는 목보호대나, 그림을 입힌 허리보호대처럼 자기표현의 수단이 된 기구들이 있는가 하면, 구멍이 숭숭 난 다공증의 뼈 모양을 재현한 지팡이는 장애의 원인을 오히려 자랑스레 전시하기도 한다.

신체적 불편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역전을 보여주는 프로젝트, ‘보철미학’은 지난 여름 개최된 에인트호벤 디자인 아카데미의 졸업전시회를 통해 선보였으며, 프란체스카 란차베키아의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새롭게 리디자인된 다채로운 의료 기기들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1]

www.francesca.nu
https://www.lanzavecchia-wai.com

via designboom 

ⓒ designflux.co.kr


[1] 기사 이미지 전체 교체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2-10 | 퍼펙트 매치

한때는 가정의 필수품이었지만, 이제는 생일 케이크를 살 때에나 볼 법한 물건이 되었습니다. 바로 성냥입니다. 한국에 단 하나 남아 있던 성냥 공장도 2013년 11월에 문을 닫았다고 하지요. 2007년 오늘은 이색적인 성냥 디자인을 소개했습니다. 이미 쓴 성냥인 양 위장한 성냥부터 양초에 둥지를 튼 성냥갑까지 다양합니다.

Art3: 걸어서 명화속으로

예술 작품 안을 여행할 수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생생한 색과 붓놀림 사이사이를 탐험하고, 그림...

소금물을 식수로 만드는 시스템 디자인

건축가 헨리 글로가우(Henry Glogau)는 칠레 메히요네스 지역의 해안 커뮤니티를 위해 담수화 장치를 겸한 조명디자인을...

2010-12-27 | 미니멀 패키징 효과 연구

포장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의 효과를 시험해 봅니다. 안트레포는 익숙한 기존 제품들의 포장을 대상으로 ‘빼기’의 과정을 실행합니다. 일러스트레이션이 사라지고, 색상이 사라지는 식으로요. "맥시멀리스트 시장에서의 미니멀리스트 효과"라 이름 붙인 그들의 시험들을 살펴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