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7-21 |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Editor’s Comment

드로흐가 주최했던 ‘기후’ 공모전의 수상작은 여러 모로 영리합니다. 1937년 첫선을 보인 알바르 알토의 그 꽃병과 그 디자인에 영감을 준 핀란드의 호수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여기에서 출발하여, 핀란드에 실재하는 알토라는 이름의 호수가 1937년부터 2007년까지 거친 형태의 변화를 꽃병 디자인으로 형상화했습니다. 1937년의 모습이 꽃병의 외곽선을, 메말라 줄어든 2007년의 모습이 내곽선을 이루도록요. 그래서 이름도 ‘드로흐 알토’입니다. 마르다라는 뜻의 드로흐와 꽃병이자 호수인 알토로 기후 변화라는 주제를 담아냈지요. 

얀 츠트브르트니크, ‘드로흐 알토’, 드로흐 기후 공모전 수상작 
Image: Jan Ctvrtnik

드로흐(Droog)가 주최한 디자인 공모전 ‘기후(The Climate)’의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기후에 관한 작품이라면 누구나 어떠한 아이디어든 어떠한 형태의 디자인이라도 응모할 수 있었던 이번 공모전에서, 체코의 얀 츠트브르트니크(Jan Ctvrtnik)의 작품이 1등상을 수상했다. 그의 작품’드로흐 알토(Droog Aalto)’는 드로흐 홈페이지 방문자들의 투표에서, 총 32%의 지지를 받아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그의 꽃병은 핀란드에 있는 호수 ‘알토’의 변화를 담고 있다 . 1937년과 2007년, 70년 사이에 지구 온난화로 말라버린 알토 호수의 모습을 표현한 작품인 것이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기후 변화의 문제가 대체로 숫자나 과학적 측정치에 의해 시각화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변화들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좋은 참조점을 가지는 편이 도움이 된다”고 설명한다. 드로흐라는 단어가 ‘마른(dry)’이라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으니, 드로흐가 주최한 ‘기후’ 공모전에 걸맞는 작명이기도 하다.

얀 츠트브르트니크는 체코슬로바키아 출신의 디자이너로 현재 이탈리아 포르데노네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다. 프라하와 스웨덴 룬드 IKDC에서 수학한 그는 현재 일렉트로룩스의 디자이너로 활동중이기도 하다. “다르게 생각하려고 노력하다 보니 때로는 기묘하고 괴상한 아이디어들을 내놓기도 한다. 여기에서 ‘상상의 나래’를 잠시 접고, 단계적으로 아이디어를 정제해가며 새롭지만 동시에 조리 있는 작품을 만들어가고 있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우리가 만든다: 소녀 목공 클럽

텍사스 사막 위의 작은 마을 마파에 위치한 마파 목공 클럽(Lumber Club Marfa)은 7세에서 14세...

자동차 없는 베를린 법안 제안

자동차 없는 베를린은 어떤 모습일까? 독일 시민단체 ‘베를린 아우토프라이’(Volksentscheid Berlin Autofrei)는 2020년부터 자동차 없는 안전한 도시 만들기 운동을...

정부의 지난 행보를 상기하는 달력 ‘Everyday Blues’

영국의 크리에이티브 그룹 케셀크레이머(KesselsKramer)가 달력 프로젝트의 결과물 ‘에브리데이 블루스(Everyday Blues)’를 선보였다. 오리얼 웰스(Oriel Wells)가 기획하고 12명의 시각 분야...

2010-02-24 | 메타볼리시티

농사를 지으려면 토지가 필요하지만, 도시에서 토지는 값비싼 자산입니다. 그럼에도 도시에서 작게나마 기르는 기쁨을 텃밭의 형식으로 가꾸는 사람들도 적지 않지요. 더 나아가 도시 안에 들어선 공장형 스마트팜도 낯설지 않은 요즘입니다. 2010년 오늘 소개한 스튜디오 루프의 ‘메타볼리시티’는 도시를 위한 수직형 텃밭 제안입니다. ‘바이오루프’라는 지지대를 통해 텃밭을 도시 건축 환경의 일부로 만들어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