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09 | 이란의 블로고스피어

Editor’s Comment

2008년 오늘 디자인플럭스에는 다소 낯선 주제의 소식이 올라왔습니다. 이란의 블로고스피어를 다룬 하버드 버크먼 인터넷과 사회 센터의 연구 내용인데요. 2000년대 블로그는 커뮤니티와 소셜네트워크의 근거지였고, 그러한 블로그들의 연결 집합체인 블로고스피어는 거대한 온라인 생태계였습니다. 14년 전 오늘의 소식은 한 국가의 블로고스피어가 어떤 식으로 지도화되는지 그 안에서 어떠한 주제와 이슈가 등장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또 그 국가가 이란이라는 점에서도 흥미로웠습니다. 

하버드 대학의 버크먼 인터넷 & 사회 센터(Berkman Center for Internet and Society)는 “인터넷이 민주주의적 규율과 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해왔다. 이 연구 결과는 인터넷과 민주주의(Internet and Democracy)라는 이름의 사이트를 통해 공개되고 있는데, 그 이름처럼 “인터넷이 민주주의적 규칙과 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보고서들을 살펴볼 수 있다(그 가운데는 한국의 <오마이뉴스>에 관한 연구 내용도 있다).

최근 공개된 ‘이란 온라인 공중의 지도화: 페르시아 블로고스피어의 정치와 문화’는, 이란의 블로고스피어를 통해 인터넷이 중동 지역의 시민사회, 시민미디어, 정부의 투명성, 법적 규율 등에 미친 영향력을 탐색하고 있다. 위 이미지는 현재 이란의 블로고스피어가 다루는 다양한 테마들을 인포그래픽으로 요약한 것이다.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활동적인 블로그들 60,000여 개들은 이란 블로고스피어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내용은 일반적인 예상과는 사뭇 다른 내용들을 담고 있다. 

블로거들이 대부분 체제에 비판적인 ‘젊은 민주주의자’들일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위 이미지에서 보듯 정치, 인권은 물론 이란의 전통 시와 문학, 대중문화, 종교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을 구성하고 있다. 버크먼 센터 측은 이 내용을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한다. 1)세속주의 및 개혁주의, 2)종교적 보수주의, 3)페르시아의 시와 문학 4)기타 혼합된 네트워크. 위 그래픽은 이들 주요 테마들을 서로 다른 색상 및 크기의 도트로 표시하는 한편, 카타미, 아흐마디네자드 등 주요 키워드들을 함께 표시하고 있다. 특이한 사실은 개혁적인 지향을 지닌 블로그들에서는 익명성이 덜 나타나는 반면, 보수적이며 종교적인 이슈의 블로그들은 익명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블로고스피어에 대한 정부의 관리나 검열 역시 예상보다는 가벼운 편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인다.

블로그가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는 새로운 공공의 플랫폼으로 부상하면서, 블로고스피어에 관한 논의는 국내에서도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과연 오늘, 우리의 블로고스피어를 그래픽으로 표현한다면 과연 어떠한 모습이 될 것인가.

보고서 다운로드(.pdf)

via CR blog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04 | 페이스 타입

이스라엘의 타이포그래피 디자이너 오데드 에저의 ‘페이스 타입’은 엄밀히 말해 그가 디자인하지 않은 서체입니다. 글자 하나하나는 스카이프 화상통화를 통해 모인 사람들이 그린 것이고 글자와 얼굴이 함께 묶여 있습니다. 이 얼굴-글자 사진들의 모음이 바로 ‘페이스 타입’입니다. 에저는 사람들이 완성한 이 서체로 두 개의 작업을 진행했죠.

2007-11-08 | 존 마에다 x 리복

존 마에다와 리복의 만남. ‘타임태니엄’ 스니커즈는 그가 특별히 고안한 알고리듬과 코드를 입고 있습니다. 신발 속 가득한 공식과 수식이 만들어낸 이미지가 신발의 겉을 장식하고 있지요. 기술을 인간화하며, 컴퓨터를 자체로 하나의 매체로 삼은 디자이너이자 컴퓨터 과학자이자 예술가이자 교육자. 이 소식을 전한 지 한 달 조금 넘어, 그의 신상에 주요한 변화가 있었지요. 오래 몸담았던 MIT 미디어랩을 떠나 2007년 12월 RISD 학장에 선임되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디자인 스터디즈〉(Design Studies) 환경과 도구는 디자인 과정에 영향을 미칠까?

우리의 생각은 ‘상황지어진(situated)’ 혹은 ‘체화된(embodied)’ 환경과 도구에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우리의 존재가 독립되거나 분절된...

2009-11-23 | 시장을 품은 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이 새로울 것은 없지만, 또 이런 건물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의 놀라운 부분은 건물이 재래 시장을 품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이 곧 시장의 아케이드가 되어 흥미롭게 동거합니다. ‘마켓 홀’은 예정대로 2014년 완공되었고, 그 모습은 이곳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