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1-03 | 안녕히, 에토레 소트사스

Editor’s Comment

2008년의 첫 소식은 애석하게도 부고였습니다. 2007년의 마지막 날, 디자이너 에토레 소트사스가 9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레스가 모어였던 20세기의 디자인 흐름을, 레스는 레스일 뿐이라며 정면으로 거슬러 또 다른 20세기의 디자인을 만들어냈던, 그의 타계 소식이 오늘의 옛 뉴스입니다.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핵심적 인물 에토레 소트사스(Ettore Sottsass)가 지난 월요일 90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디자이너 겸 건축가인 그는 20세기 이탈리아 디자인이 낳은 걸출한 인물 중 한 사람이다. 또한 디자인 계에 널리 영향을 떨쳤던 ‘멤피스’ 그룹의 설립자이자, 올리베티 타자기의 디자이너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의 문화부 장관 프란체스코 루텔리는 에토레 소트사스의 타계 소식에 “한 세기를 관통할 수 있었던 뛰어난 재능의 소유자로, 생애 마지막 나날까지 끊임없이 우리를 즐겁게 했다.”는 말로 조의를 표했다. 

최근 몇 년간, 세계 곳곳의 뮤지엄에서는 에토레 소트사스의 작업을 조명하는 전시회를 잇달아 개최해왔다. 2006년에는 LA 주립미술관의 주최로 미국 내 최초의 메이저급 전시회가 개최된 이래, 2007년에는 런던 디자인 뮤지엄의 ‘Work in Progress’ 전을 비롯, 미국 필라델피아 미술관 및 프리드먼 벤다 갤러리에서도 작품 전시가 열렸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지난 12월부터 이탈리아 트리에스테에서 소트사스의 회고전 ‘I Want to Know Why’이 한창인 가운데, 디자이너의 부고 소식을 맞게 된 것이다. 

“삶은 영원한 프로젝트이고, 하나에서 또 다른 곳으로 이행하는 과정이다.” 가장 만족스러운 프로젝트가 무엇인지 묻는 질문에, 그는 이러한 대답을 남긴 바 있다. 이제 그 영원한 이행의 프로젝트와도 작별을 고한 셈이니, R.I.P. 에토레 소트사스. 

에토레 소트사스 인터뷰 
멤피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제로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

에스토니아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쿠이다스.워커스(Kuidas.works)가 제로 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트는 에스토니아 TV 쇼...

2010-09-06 | 그리기와 소리의 결합

그는 디자이너이자 전자음악가이며 사운드 아티스트입니다. 2010년 열린 전시 ‘소리 주입’은 예술과 디자인과 기술이 어우러진 그의 작업 세계를 엿볼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가령 선에 소리를 담는 펜과 선에 담긴 소리를 재생하는 펜이 짝을 이루었던 ‘녹음 & 재생’ 펜처럼요. 유리 스즈키는 2018년 디자인 회사 펜타그램에 파트너로 합류하였고, 그의 존재로 펜타그램의 영역에 ‘사운드’가 더해졌습니다.

2011-02-07 |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 수상자

2021년 크리스토퍼 케인의 여성복 S/S 컬렉션은 그림들을 입고 있었습니다. 크리스토퍼 케인은 코로나19가 강제한 록다운 시기에 그림들을 그렸고, 그림은 프린트가 되어 그의 컬렉션을 이루었죠. 오늘 소개할 옛 뉴스는 그가 유망 디자이너였던 시절의 소식입니다. 2008년부터 브리티시 패션 카운슬은 BFC/보그 디자이너 패션 펀드라는 이름으로 유망한 패션 디자이너의 성장을 지원해왔는데요. 2011년도 수상자가 바로 크리스토퍼 케인이었습니다. 

2006-08-29 | 몰스킨의 “브랜드 고고학”

이 수첩은 본래 프랑스에서 태어났지만, 세계적으로 알려진 이름이 된 것은 이탈리아의 한 회사가 이 브랜드를 인수한 이후입니다. 바로 ‘몰스킨’의 이야기입니다. 2006년 이탈리아에서 다시 프랑스 브랜드로 되돌아간 몰스킨 소식을 계기로, 그해 오늘은 몰스킨의 부활의 밑거름이 된 배경을 살펴보았습니다. 모도 앤드 모도는 100년 동안 예술가들의 친구였던 이 수첩의 역사와 유산을 되살렸고, 애호가들은 기꺼이 몰스킨의 자발적 마케터가 되었습니다. 누군가는 이 놀라운 성공을 두고 “브랜드 고고학”이라 불렀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