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8 | 잊혀진 의자들

Editor’s Comment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은 영국 던디대학교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학과 재학생들이 만든 온라인 박물관이었습니다. 학생들은 “인터랙션 고고학자”가 되어, 한때 존재했으나 지금은 사라진 과거의 커뮤니케이션 및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기기들을 연구하고 발굴하였고, ‘잊혀진 의자들’도 그렇게 태어난 전시 중 하나입니다. 아쉽게도 지금은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 웹사이트도 전시 페이지도 사라졌지만, 오늘의 옛 뉴스를 통해 강령술 의자에서 조명 쇼 의자까지, 잊혀졌던 기묘한 의자들을 다시 만나 봅니다.  

스코틀랜드의 뮤지엄 오브 로스트 인터랙션(The Museum of Lost Interaction)에서 흥미로운 전시회 ‘잊혀진 의자(Forgotten Chairs)’를 선보인다. 이 전시는 인터랙션이라는 용어가 정립되기 이전에 존재했던, 인터랙티브 의자 디자인을 발굴해 대중에 공개한다. 전시 작품은 멀게는 1870년도 ‘배로우 흔들의자(The Barrow Rocker)’에서부터 가깝게는 1968년에 제작된 조명쇼 의자에까지 이른다. 그 중에는 가보로 전해져 온 개인 소장품도 있고, 안타깝게도 소실되고 없는 작품을 자료에 의거해 복원한 재현물도 있다. 

‘판타스마고리아(The Phantasmagoria)’, 1905

당대 유명했던 영매 플로라 쿡(Flora Cooke)이 발명한 의자로, 강령술 모임에 사용되었다. 앉은 이는 손과 발을 금속 전도체 부분에 대고 일종의 전기적 회로를 완성시킨다. 이론적으로 앉은 사람의 영적 에너지를 죽은 이들과의 접촉을 가능케 하는 동력으로 사용한다. 의자 앞에는 종이가 있는데, 영혼들은 이 종이를 통해 강령술 참가자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이 의자는 1908년 플로라 쿡이 세상을 떠난 후 소실되었다. 

‘기차 의자(The Locomotive Chair)’, 1936

기차광이었던 엔지니어 레지널드 클랩(Reginald Clap)이 만든 ‘기차 의자’다. 실제 기차처럼 달리지는 않지만, 기차를 타고 차창 밖을 보는 ‘경험’을 시뮬레이션 한다. 기차칸의 창문처럼 생긴 스크린에는 풍경을 담은 영상이 상영되는데, 의자 팔걸이 부분에 있는 다이얼을 돌려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기차의 경적소리까지 낼 수 있는 손잡이도 장착되어 있다. 하지만 이 ‘기차 의자’는 값비싼 제작 비용과 까다로운 구조 때문에 실제 제품으로 생산되지는 못했다. 

‘TV 시청 의자(The Home Viewing Chair)’, 1956

1950년대 TV는 지배적인 매스미디어로 부상했다. 미국 보스턴에서 버드의 텔레비전 서비스(Bud’s Television Service)라는 회사를 운영하던 버디 그레이(Buddy Gray)는 오늘날 홈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효시라 할 수 있는 가정용 ‘TV 시청 의자’를 만들어냈다. 리모트 콘트롤이 부착된 안락의자와, ‘Admiral DZ-1314’이라는 TV 세트와 미니어처 필름 영사 시스템이 장착된 풋레스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의자는 5일간 5달러의 가격에 임대되었는데, 오늘날의 온라인 무비 렌털 서비스와도 유사하다 할 수 있다. 

‘싯 다운, 튠 인, 드랍 아웃(Sit down, Tune in, Drop out)’, 1968

‘빛의 형제(Brotherhood of Light)’는 1960~70년대 멀티미디어 및 조명 기술자들의 그룹으로, 혁신적이면서도 인터랙티브한 조명쇼 디자인을 맡았던 집단이다. 당시 더 후, 지미 헨드릭스, 도어즈, 산타나와 같은 뮤지션들이 이들의 조명을 공연에 사용했다. 1968년 이들은 가정에서 ‘개인 조명쇼’를 즐길 수 있는 의자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여러 개의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사용자들의 반응을 시험한 후, 1969년 마침내 ‘마크 파이브(Mark Five)’를 우드스톡 페스티벌의 부대 전시 행사에서 선보였다. 

이 의자는 후원자들과 지미 헨드릭스 같은 팬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지만. 하지만 이 의자를 좋아했던 사람들이 의자를 ‘구매’하는 데에는 그다지 적극적이지 않았던 듯 하다. 결국 제품 생산의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고. 

의자라는 특정한 아이템에 담긴 인터랙션 디자인의 역사. 큐레이터인 그레이엄 풀린(Graham Pullin)의 설명처럼 “모바일 기기의 시대 속에서, 이들 작품에 담긴 스케일과 마법은 미래 인터랙션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의 원천이 될 것”이다. 흥미로운 디자인 고고학의 사례들을 선사하는 ‘잊혀진 의자’ 전은 뮤지엄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도 감상할 수 있다. 

‘잊혀진 의자’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붐, 아키토닉 아크데일리에 인수

지난 1월 13일, 디자인 웹진 <디자인붐>이 아키토닉 아크데일리 그룹(Architonic ArchDaily)에 인수되었다. 아키토닉 아크데일리 그룹은...

2011-10-07 | 아이시포스터

아이시포스터는 전 세계의 오리지널 빈티지 포스터를 판매하는 곳입니다. 하지만 주력은 60~70년대 폴란드의 영화 포스터입니다. 폴란드의 시각 문화에 있어 포스터가 차지하는 자리는 독특합니다. 영화 포스터도 정말로 색다르죠. 영화의 주요 장면나 주역들의 얼굴이 주를 이루는 전형적인 포스터는 오히려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아이시포스터에서 폴란드 포스터 특유의 매력을 다시금 확인해보시죠.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세계 최초 범용 로봇 범니 1.0: CES 2022

세계 최대 정보기술(IT)·가전 전시회 CES 2022 (1월 5일 – 8일)에 세계 최초 범용 인공지능...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