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2 | 좋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하여

Editor’s Comment

지난 2010년 10월 22일자 아카이브 뉴스를 통해,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CABE)가 폐지라는 우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오늘의 아카이브 뉴스는 그보다 앞서 2007년 CABE가 내놓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북과 도구 이야기입니다. 공공공간의 굿디자인과 배드디자인의 사례들을 담은 『우리의 공간』과 공공공간 디자인 자가점검 키트인 ‘스페이스셰이퍼’가 그것입니다.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 CABE(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가 공공 공간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최근 공개된 『우리의 공간(It’s Our Space)』은 일종의 가이드북으로, 굿 디자인과 배드 디자인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실제 사례 조사결과들을 담고 있다. 

더불어 CABE는 지난 2월 ‘스페이스셰이퍼(Spaceshaper)’라는 이름의 공공 디자인 점검 키트를 내놓았다. 이는 너무 많은 자본과 시간이 ‘나쁜 디자인’에 투여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디자인 준비 단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참여는 현장을 실사하여 총 8개 카테고리, 41개 항목의 기준에 따라 직접 평가지를 작성하는 데서 시작된다. 

평가 기준 

접근(Access) 공간의 동선과 배치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가 
이용(Use) 이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은 무엇인가 
다른 사람(Other People) 공간이 서로 다른 필요성들을 충족시키는가 
유지 관리(Maintenance) 공간이 얼마나 깨끗하고 관리될 수 있는가 
환경(Environment) 공간이 얼마나 안전하고 편안한가 
디자인 및 외관(Design and Appearance) 공간의 외관은 어떠하며, 사용된 소재는 무엇인가 
공동체(Community )지역 주민에게 이 공간이 지닌 중요성은 무엇인가 
당신(You) 이 공간에 대한 개별 평가자의 느낌과 감상 

위와 같은 항목에 대해 지표로 작성된 워크숍 데이터를 스페이스셰이퍼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면 위와 같은 다이어그램 형태로 분석 결과를 담아낸다. 이 공간이 지닌 강점과 약점, 사람들에게 가장 우선시 되는 항목, 다양한 요구와 필요성의 수용 여부, 다양한 관점들의 상호 비교 결과, 변화하는 사람들의 관점 변화 양상 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스페이스셰이퍼의 분석 결과는 향후의 토론을 보다 구조적인 차원에 집중시키는 한편, 문제 개선 방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험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누구나 알고 있듯, 배드 디자인의 문제는 특히 공공 공간과 관련될 때 돌이키기 힘든 후유증을 야기한다. 단순히 개인이 아닌 사용자 전체의 불편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막대한 자본이 투여되는 만큼, 그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하다. CABE는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해왔고, 이번에 공개된 가이드북과 평가 키트는 ‘너무 늦기 전에’ 나쁜 디자인의 폐해를 예방하려는 실천이라 하겠다. 

『우리의 공간』 가이드북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스페이스셰이퍼’ 사용자안내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18 |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 선정 ‘미래의 디자이너’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첫 소식은 ‘미래의 디자이너’ 발표였습니다. 그해의 수상자는 총 세 팀입니다. 영국의 아시프 칸, 오스트리아의 디자인 듀오 미셔’트락슬러 그리고 싱가포르의 스튜디오 주주가 그 주인공이었죠. 그리고 두 달 뒤 이들의 수상 기념 신작이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전시되었습니다.

2010-07-29 | 프랭크 게리 셀렉트

캘리포니아의 프랭크 로이드 갤러리는 도자 작품만을 전문적으로 선보여온 화랑입니다. 2010년 이곳에서는 프랭크 게리의 전시회가 열렸는데요. 정확히 말하면 프랭크 게리가 선별한 도자 작품들의 전시입니다. 도자기와 프랭크 게리. 의외의 조합 같지만, 약간의 과장을 보탠다면 도자 공예는 그가 건축가의 길을 걷게 된 전환점이었다고 할까요.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는 2010년 오늘자 소식인 ‘프랭크 게리 셀렉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1-03-21 | 구겐하임 아부다비 보이콧

건축 소식은 보통 설계 단계나 완성 단계를 다루곤 합니다. 전자의 경우 누구의 설계인가에 방점을 두는 경우도 많습니다. ‘공모’가 필요한 규모의 설계라면 더욱 그렇죠. 그런데 어느 건물이 설계되어 완성되기까지, 그 사이에는 건설 과정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어떤 건물이 말 그대로 노동자의 피 땀 눈물, 심지어 목숨으로 세워진다면요? (...)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