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2 | 좋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하여

Editor’s Comment

지난 2010년 10월 22일자 아카이브 뉴스를 통해,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CABE)가 폐지라는 우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오늘의 아카이브 뉴스는 그보다 앞서 2007년 CABE가 내놓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북과 도구 이야기입니다. 공공공간의 굿디자인과 배드디자인의 사례들을 담은 『우리의 공간』과 공공공간 디자인 자가점검 키트인 ‘스페이스셰이퍼’가 그것입니다.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 CABE(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가 공공 공간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최근 공개된 『우리의 공간(It’s Our Space)』은 일종의 가이드북으로, 굿 디자인과 배드 디자인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실제 사례 조사결과들을 담고 있다. 

더불어 CABE는 지난 2월 ‘스페이스셰이퍼(Spaceshaper)’라는 이름의 공공 디자인 점검 키트를 내놓았다. 이는 너무 많은 자본과 시간이 ‘나쁜 디자인’에 투여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디자인 준비 단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참여는 현장을 실사하여 총 8개 카테고리, 41개 항목의 기준에 따라 직접 평가지를 작성하는 데서 시작된다. 

평가 기준 

접근(Access) 공간의 동선과 배치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가 
이용(Use) 이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은 무엇인가 
다른 사람(Other People) 공간이 서로 다른 필요성들을 충족시키는가 
유지 관리(Maintenance) 공간이 얼마나 깨끗하고 관리될 수 있는가 
환경(Environment) 공간이 얼마나 안전하고 편안한가 
디자인 및 외관(Design and Appearance) 공간의 외관은 어떠하며, 사용된 소재는 무엇인가 
공동체(Community )지역 주민에게 이 공간이 지닌 중요성은 무엇인가 
당신(You) 이 공간에 대한 개별 평가자의 느낌과 감상 

위와 같은 항목에 대해 지표로 작성된 워크숍 데이터를 스페이스셰이퍼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면 위와 같은 다이어그램 형태로 분석 결과를 담아낸다. 이 공간이 지닌 강점과 약점, 사람들에게 가장 우선시 되는 항목, 다양한 요구와 필요성의 수용 여부, 다양한 관점들의 상호 비교 결과, 변화하는 사람들의 관점 변화 양상 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스페이스셰이퍼의 분석 결과는 향후의 토론을 보다 구조적인 차원에 집중시키는 한편, 문제 개선 방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험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누구나 알고 있듯, 배드 디자인의 문제는 특히 공공 공간과 관련될 때 돌이키기 힘든 후유증을 야기한다. 단순히 개인이 아닌 사용자 전체의 불편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막대한 자본이 투여되는 만큼, 그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하다. CABE는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해왔고, 이번에 공개된 가이드북과 평가 키트는 ‘너무 늦기 전에’ 나쁜 디자인의 폐해를 예방하려는 실천이라 하겠다. 

『우리의 공간』 가이드북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스페이스셰이퍼’ 사용자안내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우리가 만든다: 소녀 목공 클럽

텍사스 사막 위의 작은 마을 마파에 위치한 마파 목공 클럽(Lumber Club Marfa)은 7세에서 14세...

계산된 나무 의자

베를린과 바이에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티아스 크슈벤트너는 버려지는 나무를 재생산하는 ‘프로젝트 뉴 소스(New Sources)’를...

2007-11-12 | 우연일까 표절일까

“광고 속 우연의 일치를 좇는 사냥꾼.” 블로거 조 라 퐁프의 자기 소개입니다. 그는 1999년부터 우연인지 표절인지 유사한 광고 사례들을 소개해왔는데요.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광고를 나란히 올리고, 독자들은 우연일까 표절일까를 투표합니다. 참고로 2007년 오늘의 뉴스 속 광고들의 경우, 독자들도 표절 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