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2 | 좋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하여

Editor’s Comment

지난 2010년 10월 22일자 아카이브 뉴스를 통해,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CABE)가 폐지라는 우울한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오늘의 아카이브 뉴스는 그보다 앞서 2007년 CABE가 내놓은 공공공간 디자인을 위한 가이드북과 도구 이야기입니다. 공공공간의 굿디자인과 배드디자인의 사례들을 담은 『우리의 공간』과 공공공간 디자인 자가점검 키트인 ‘스페이스셰이퍼’가 그것입니다. 

영국의 건축·건축환경자문위원회 CABE(Commission for Architecture and the Built Environment)가 공공 공간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최근 공개된 『우리의 공간(It’s Our Space)』은 일종의 가이드북으로, 굿 디자인과 배드 디자인을 구분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실제 사례 조사결과들을 담고 있다. 

더불어 CABE는 지난 2월 ‘스페이스셰이퍼(Spaceshaper)’라는 이름의 공공 디자인 점검 키트를 내놓았다. 이는 너무 많은 자본과 시간이 ‘나쁜 디자인’에 투여되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와 일반인들이 디자인 준비 단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인 참여는 현장을 실사하여 총 8개 카테고리, 41개 항목의 기준에 따라 직접 평가지를 작성하는 데서 시작된다. 

평가 기준 

접근(Access) 공간의 동선과 배치에 쉽게 익숙해질 수 있는가 
이용(Use) 이 공간이 제공하는 활동과 기회들은 무엇인가 
다른 사람(Other People) 공간이 서로 다른 필요성들을 충족시키는가 
유지 관리(Maintenance) 공간이 얼마나 깨끗하고 관리될 수 있는가 
환경(Environment) 공간이 얼마나 안전하고 편안한가 
디자인 및 외관(Design and Appearance) 공간의 외관은 어떠하며, 사용된 소재는 무엇인가 
공동체(Community )지역 주민에게 이 공간이 지닌 중요성은 무엇인가 
당신(You) 이 공간에 대한 개별 평가자의 느낌과 감상 

위와 같은 항목에 대해 지표로 작성된 워크숍 데이터를 스페이스셰이퍼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면 위와 같은 다이어그램 형태로 분석 결과를 담아낸다. 이 공간이 지닌 강점과 약점, 사람들에게 가장 우선시 되는 항목, 다양한 요구와 필요성의 수용 여부, 다양한 관점들의 상호 비교 결과, 변화하는 사람들의 관점 변화 양상 등을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 스페이스셰이퍼의 분석 결과는 향후의 토론을 보다 구조적인 차원에 집중시키는 한편, 문제 개선 방안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험해볼 수 있는 토대가 된다. 

누구나 알고 있듯, 배드 디자인의 문제는 특히 공공 공간과 관련될 때 돌이키기 힘든 후유증을 야기한다. 단순히 개인이 아닌 사용자 전체의 불편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막대한 자본이 투여되는 만큼, 그 경제적인 손실도 상당하다. CABE는 이 문제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해왔고, 이번에 공개된 가이드북과 평가 키트는 ‘너무 늦기 전에’ 나쁜 디자인의 폐해를 예방하려는 실천이라 하겠다. 

『우리의 공간』 가이드북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스페이스셰이퍼’ 사용자안내 다운로드
대체 다운로드 링크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6-20 | 오바마, 디자인, 브랜드

200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디자인’의 관점에서도 유독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미 민주당의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부터 그러한 조짐이 드러났죠. 디자이너 셰퍼드 페어리의 포스터가 오바마 캠프의 시각적 상징이 되었고, 그러면서《뉴욕타임스》에는 ‘오바마는 맥, 힐러리는 PC인가?’라는 기사가, 《패스트 컴퍼니》에는 ‘오바마라는 이름의 브랜드’라는 분석 기사까지 실렸습니다. 어떤 ‘현상’이 된 선거에 관한 이야기를 14년 전 오늘의 뉴스에서 다시 만나봅니다.

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하브스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2009-06-09 | 오브제 팩토리

도자라는 오랜 매체의 산업적 성취를 되돌아봅니다. 2009년 뉴욕 MAD에서 열린 ‘오브제 팩토리’ 전은 도자 기업과 디자이너, 아티스트와의 창의적인 협업으로 태어난 새로운 트렌드, 기술, 발전의 양상을 선보이는 자리였습니다. 현대 도자 산업의 현재를 보여주었던 전시회 소식을 다시 만나 봅니다.

2008-09-24 | 나오토 후카사와의 ‘종이’ 제품들

일본의 전통 종이 화지에 신기술을 더해 태어난 새로운 종이가 디자이너 나오토 후카사와에게 재료로 주어졌습니다. 그리고 보통이라면 천이 사용될 만한 생활 용품들이 이 새 종이로 만들어졌지요. 바로 나오토 후카사와와 제지회사 오나오의 ‘시와’ 컬렉션입니다. 그렇게 탄생한 ‘시와’는 나오토 후카사와의 손길을 벗어난 지금에도 오나오의 제품 컬렉션으로서, 이제는 마스크로까지 제품군을 확장하며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