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21 | 머리카락으로 그린 일상

Editor’s Comment

빅토리아 시대 기억을 위한 장신구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되살려, 일상의 사소한 순간들을 기념합니다. 그것도 머리카락으로요. 미국의 공예 작가 멜라니 빌렌커는 다갈색 머리카락 한올 한올로 조용하고 평범한 장면들을 기억할 만한 순간으로 바꿔냅니다. 

멜라니 빌렌커(Melanie Bilenker)의 작업 소재는 그녀 자신의 머리카락이다. 브로치, 펜던트, 반지에 담긴 자그마한 풍경은 머리카락 한 올 한 올로 ‘그려낸’ 것이다. 빌렌커의 작업은 빅토리아 시대의 전통, 즉 로켓(locket)에 머리카락이나 초상화를 간직하던 풍습에서 영감을 얻었다. 빅토리아인들이 상대의 머리카락으로 지난 사랑을 추억했다면, 멜라니 빌렌커는 머리카락으로 자신의 기억을 보존하려 한다. 

다갈색 머리카락들이 선이 되어 그려낸 광경은 목욕, 요리와 같은 지극히 평범한 순간들이다. 멜라니 빌렌커는 기념할 만한 사건 대신, 정지된 일상의 단편을 담아낸다. 그리고 그 사소함은 단아하고 외로운 선들 속에서 미묘한 울림을 낸다. 머리카락이라는 지극히 ‘사적인’ 소재로, 생활에 깃든 아름다움을 포착하는 것이다. 

“머리카락의 선들로 그려낸 사진적 이미지 속에서, 나는 사건 대신 조용한 순간들을 재현한다. 세속적이며 일상적인 집 안의 순간들을 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06 | THINK – I = THNK

THNK 암스테르담 크리에이티브 리더십 스쿨은 경영, 디자인, 과학 기술을 아우르는 간학제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입니다. 간학제라는 말에서 짐작할 수 있듯 협업과 협력이 중요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름도 THINK에서 I를 뺀 THNK가 되었고요. 이름에서 사라진 i자는 대신 학교의 시각 아이덴티티에서 활약합니다.

2009-06-24 | ‘놀 키즈’ 시리즈

놀이 자랑하는 20세기 모더니즘 고전 가구들이 어린이를 위해 몸집을 줄였습니다. 2009년 놀은 미스 반 데어 로에, 해리 버토이아, 에로 사리넨, 옌스 리솜 등 내로라하는 디자이너들의 가구를 어린이용으로 선보였는데요. 아이의 몸에 맞게 작아진 ‘바르셀로나 의자’, ‘다이아몬드 의자’ 등을 지금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06-09-19 | 앨 고어의 기후위기 관련 연설

2006년 전 미국 부통령 앨 고어는 뉴욕대에서 한 연설에서 ‘2030 챌린지’를 언급했습니다.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탄소중립을 이룰 것을 목표로 하자는 기획이었죠. 그때만 해도 목표는 2030년이었습니다. 16년이 지나는 동안 기후는 위기 상황에 가까워졌지만, 민관이 말하는 목표의 시한은 오히려 2050년으로 더 미뤄지고 말았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