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21 | 미국 TV 애니메이션의 대부, 조셉 바베라 타계

Editor’s Comment

영원한 앙숙 〈톰과 제리〉는 오랜 단짝의 손에서 태어났습니다. 윌리엄 해너와 조셉 바베라, 두 사람은 애니메이션이 개봉의 시대에서 방영의 시대로 넘어가던 1950년대,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을 설립하며,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우주 가족 젯슨〉 등 지금도 사랑받는 TV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2001년 윌리엄 해너가 세상을 떠나고 2006년 조셉 바베라도 타계하였지만, 이 전설적인 듀오의 작품은 수많은 이의 유년 시절과 함께 했고 또 여전히 함께 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여전히 케이블 채널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고전 ‘톰과 제리’의 창시자 조셉 바베라(Joseph Barbera)가12월 18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자택에서 95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윌리엄 해너(William Hanna)와 함께 듀오로 활동해 온 조셉 바베라는 1950년에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을 설립하면서 미국 내 TV 애니메이션의 대부로 불려왔다.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은 ‘스쿠비 두’, ‘스머프’ 등을 포함하여 1백 여 편에 이르는 만화영화를 제작하며 세기의 전설이 되어왔다. 특히 TV 쇼 ‘플린트스톤(The Flintstones)’, ‘젯슨스(The Jetsons)’ 같은 작품에서는 컬러풀하면서도 심플한 선으로 그려낸 캐릭터와 독특한 내러티브 구조, 말재간 넘치는 조크를 결합하여 하나의 스타일을 이룩하였고 애니메이션계의 시트콤을 만들어냈다는 평가를 이끌어냈다. 

코믹한 타이밍과 따뜻한 캐릭터 설정에 능한 윌리엄 해너의 스타일과 빠른 순간 포착 드로잉 및 코믹한 대사에 관한 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조셉 바베라의 천재적인 재능이 만나 애니메이션 역사의 한 장이 탄생할 수 있었다.

조셉 바베라는 1911년 3월 24일 맨해튼 출신으로 은행원, 극작가, 아마추어 권투 선수 생활을 거친 후 <콜리에(Collier’s)> 매거진에 삽화를 그리면서 카툰 아티스트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이후 계속해서 미동부 지역을 무대로 활동하다가 193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로 이주, MGM사에서 윌리엄 해너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1940년 둘은 재스퍼라는 이름의 고양이와 징스라는 이름의 생쥐를 모델로 한 애니메이션을 만들며 아카데미상 후보에까지 노미네이트 되었는데, 이것이 바로 ‘톰과 제리’의 전신이다. 

MGM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1957년 둘은 해너-바베라 엔터프라이즈를 설립하고 미국 TV 애니메이션을 대표하는 수많은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넥타이를 맨 곰 ‘요기 베어’ 캐릭터가 탄생한 것이 바로 이 시기이다. 

조셉 바베라의 애니메이션 스타일과 사회 풍자 코미디는 이후 ‘심슨스(The Simpsons)’, ‘벤처 브라더스(The Venture Brothers)’ 등으로 그 맥이 이어져오고 있다. 미국 내에서는 부머랭이라는 케이블 채널에서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의 애니메이션을 24시간 방영하고 있다. 

NY Times

좌: 조셉 바베라(좌)와 윌리엄 해너(우)
우: 해너-바베라 프로덕션 로고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2-09 | 동전 한 닢 USB 드라이브

영락 없이 동전의 모습을 한 USB 플래시 드라이브. 라시의 ‘커런키’입니다. 기술 중심의 제품군에 기반한 브랜드이지만, 라시는 성능과 안정성 외에도 디자인에 각별히 신경을 써왔습니다. 5.5 디자이너스에게 USB 플래시 드라이브의 디자인을 의뢰한 까닭이지요. 5.5 디자이너스는 USB 드라이브에 아주 일상적인 사물의 이미지를 부여했습니다. 동전이라던가 또 열쇠처럼요. 재치 있는 그러면서도 본래 물건의 휴대 습관에 자연스레 편승하는 영리한 디자인이었습니다.

친환경/지속가능한 디자인 연구물은 어디에?

‘친환경’, ‘지속가능성’은 이제 디자인에서 고려해야할 사항 중에 하나가 아니라 디자인의 기본 조건이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중요한연구의 주제이긴 하지만 대단히 많은 분야들과 연결되어 있어서 별도의 전문 분야로 다루기보다 각 학계에서 학문적 특성에 맞추어 다루는 토픽 중의 하나가 되었다.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