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에스토니아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쿠이다스.워커스(Kuidas.works)가 제로 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트는 에스토니아 TV 쇼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촬영의 일환으로, 이들은 7일 안에 제로 예산, 제로 탄소발자국 콘셉트의 팝업 레스토랑을 완성하라는 미션을 받았다. 이 레스토랑은 남부 에스토니아지역의 작은 마을 에빌리안디(Viljandi)에 위치한 한 소시지 가게가 문을 닫은 후 폐허로 남겨진 자리에 지어졌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쿠이다스.워커스 그룹은 흙다짐 기법으로 다이닝 테이블의 육면체 구조를 만들고 오목한 부분을 두어 테이블 웨어로 사용했다. 전통적이면서도 가장 단순한 방식을 이용해 테이블을 완성한 것이다. 높이 1.1미터, 길이 6미터의 테이블의 무게는 약 15톤에 이른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디자인 팀은 어떻게 재료를 낭비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그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인근 채석장에서 흙더미를 가져오고, 폐나무 보드로 트레이를 만들었다. 유리병의 아래쪽을 재활용해 보울을 만들고, 유리잔을 고정하기 위해 구리 관을 연결한 슬리브를 사용했다. 방송 이후, 사용된 재료중 일부는 원래 있던 곳으로 돌려보내고 일부는 향후 프로젝트를 위해 보관했다.

다이닝 테이블에 주로 사용된 다짐 흙, 점토, 모래는 흙을 다시 메우는 데 사용되거나 추후 건축 재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 소재들은 버려지더라도 환경에 해가 되지 않으며, 재활용하더라도 설치된 재료의 약 3%에 이르는 에너지만이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편리함은 우선순위가 아니었다. 무엇보다 특이한 점은 이 테이블에 의자가 놓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공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고 즉각 확인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이다. 어떤 산업이 탄소발자국을 가장 많이 남기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라는 일종의 상징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kuidas.works

© designflux.co.kr

강예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1-12 | 우연일까 표절일까

“광고 속 우연의 일치를 좇는 사냥꾼.” 블로거 조 라 퐁프의 자기 소개입니다. 그는 1999년부터 우연인지 표절인지 유사한 광고 사례들을 소개해왔는데요. ‘오리지널’과 ‘레스 오리지널’이라는 이름으로 비슷한 광고를 나란히 올리고, 독자들은 우연일까 표절일까를 투표합니다. 참고로 2007년 오늘의 뉴스 속 광고들의 경우, 독자들도 표절 쪽에 손을 들었습니다. 

난민 캠프: 거주지에 대한 또다른 상상

2011년 시리아 시민 전쟁 후부터 현재까지 자국을 떠나 세계 각지로 흩어진 난민은 현재 700만 명...

일회용 마스크 코트

마스크로 만든 소파 ‘카우치-19(Couch-19)’로 주목받았던 이탈리아 디자이너 토비아 잠보티(Tobia Zambotti)가 이번에는 일회용 마스크에 의한...

2007-09-05 | 접이식 인테리어 오브제

스웨덴의 폼 어스 위드 러브가 2007년 접이식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플랫팩 디자인의 극한이라고 할까요. 접기 전에는 그저 얇은 철제 평판입니다. 접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옷걸이, 쓰레기통, 시계 등의 소품이 됩니다. 폼 어스 위드 러브는 2007년 당시만 해도 설립 3년 차의 신진 스튜디오였지만, 2020년에는 〈패스트 컴퍼니〉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 디자인 회사 명단에 올랐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