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에스토니아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쿠이다스.워커스(Kuidas.works)가 제로 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트는 에스토니아 TV 쇼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촬영의 일환으로, 이들은 7일 안에 제로 예산, 제로 탄소발자국 콘셉트의 팝업 레스토랑을 완성하라는 미션을 받았다. 이 레스토랑은 남부 에스토니아지역의 작은 마을 에빌리안디(Viljandi)에 위치한 한 소시지 가게가 문을 닫은 후 폐허로 남겨진 자리에 지어졌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쿠이다스.워커스 그룹은 흙다짐 기법으로 다이닝 테이블의 육면체 구조를 만들고 오목한 부분을 두어 테이블 웨어로 사용했다. 전통적이면서도 가장 단순한 방식을 이용해 테이블을 완성한 것이다. 높이 1.1미터, 길이 6미터의 테이블의 무게는 약 15톤에 이른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디자인 팀은 어떻게 재료를 낭비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그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인근 채석장에서 흙더미를 가져오고, 폐나무 보드로 트레이를 만들었다. 유리병의 아래쪽을 재활용해 보울을 만들고, 유리잔을 고정하기 위해 구리 관을 연결한 슬리브를 사용했다. 방송 이후, 사용된 재료중 일부는 원래 있던 곳으로 돌려보내고 일부는 향후 프로젝트를 위해 보관했다.

다이닝 테이블에 주로 사용된 다짐 흙, 점토, 모래는 흙을 다시 메우는 데 사용되거나 추후 건축 재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 소재들은 버려지더라도 환경에 해가 되지 않으며, 재활용하더라도 설치된 재료의 약 3%에 이르는 에너지만이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편리함은 우선순위가 아니었다. 무엇보다 특이한 점은 이 테이블에 의자가 놓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공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고 즉각 확인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이다. 어떤 산업이 탄소발자국을 가장 많이 남기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라는 일종의 상징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kuidas.works

© designflux.co.kr

강예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11 | 미소니, 케네스 앵거와 만나다

〈스콜피오 라이징〉으로 유명한 실험영화 감독 케네스 앵거와 이탈리아의 패션하우스 미소니가 만났습니다. 러닝타임 2분 30초의 짤막한 캠페인 필름 〈미소니 바이 앵거〉의 크레딧이 올라올 때, 온통 미소니로 끝나는 이름들을 마주하게 됩니다. 2010년 그해, 미소니 일가는 봄/여름 위르겐 텔러에 이어 가을/겨울 케네스 앵거의 카메라 앞에 서며, ‘직접’ 브랜드 홍보의 전면에 섰습니다.

2007-06-07 | 2012 런던 올림픽 로고 공개

2012 올림픽을 5년 앞둔 2007년, 런던 올림픽의 로고가 공개되었습니다. 울프 올린스가 디자인한 이 로고는 영국 하면 떠오르는 어떤 상징과도 결별한 채, 2012라는 숫자를 도형 삼아 뉴 레이브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게다가 로고의 홍보 영상이 감광성 간질을 유발하는 사태도 벌어졌죠. 하지만 로고는 꿋꿋이 버텨, 5년 뒤 올림픽 현장을 장식했습니다. 

2010-04-28 | 아이들에게 안경을

퓨즈프로젝트의 작업을 분류하는 카테고리 중에는 ‘사회적 영향’이 있습니다. 2010년의 이 프로젝트도 그에 속하죠. ‘잘 보이면 더 잘 배울 수 있어요’는 아이들의 시력이 학업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시작된 무료 안경 배포 프로그램입니다. 퓨즈프로젝트는 안경에 대한 아이들의 거부감을 줄일 만한 유쾌한 모양의 안경을 디자인했습니다.

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