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바이오 소재의 재구성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 전경. © Almendra Isabel / Photo : Almendra Isabel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사용을 보여주는 전시 ‘해체된 고향(Deconstructed Home)’이 멕시코시티에 위치한 갤러리 루트(LOOT)에서 진행 중이다. 덴마크 리서치랩 스페이스10과 갤러리가 공동으로 기획한 이 전시에서는 다섯 명의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로컬 바이오 소재의 새로운 가능성과 쓰임을 연구한 결과를 선보였다. 지난 3월 루트에서 처음 오픈한 이 전시는 향후 멕시코 내에서 순회전을 이어가면서 프로젝트를 완성해 갈 계획이다.

타이나 캄포스(Taina Campos), ‘보호 물품(Articles of Protection)’. © Taina Campos / Photo : Almendra Isabel

디자이너 타이나 캄포스(Taina Campos)의 ‘보호 물품(Articles of Protection)’: 소재 재생 탐구
타니아 캄포스(Taina Campos)는 멕시코 시티에서 멀지 않은 밀파 알타(Milpa Alta) 지역 출신으로, 옥수수를 소재로 사용한 작업을 선보였다. 캄포스는 식품 사업을 통해 여성의 경제적 자립하는 것을 돕는 로컬 커뮤니티 단체 ‘대지의 여인들(Mujeres de la Tierra)’과 협력하여 작업을 진행했는데, 음식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용기 대신 옥수수를 수확하고 남은 껍질로 제작한 용기를 디자인했다.

베르틴 로페즈(Bertín López), ‘이주하는 물체(Migrating Objects)’. © Bertín López / Photo : Almendra Isabel

베르틴 로페즈(Bertín López)의 ‘이주하는 물체(Migrating Objects)’: 외래 유입 소재 활용
로페즈는 1950년대에 멕시코로 들어온 동남아시아산열대 과일 람부탄으로 가정용품을 디자인했다.지역 생태계에서 한몫을 하는 수입종의 활용 가능성을 소개함으로써 한때 낯설었던 것이 지역의 정체성이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고 로페즈는 말한다.

가브리엘 칼빌로(Gabriel Calvillo),  ‘꿀의 집(Homes for Honey)’. © Gabriel Calvillo / Photo : Almendra Isabel

가브리엘 칼빌로(Gabriel Calvillo)의 ‘꿀의 집(Homes for Honey)’: 비인간 종(種)을 위한 디자인
칼빌로는 멜리포나(무침 꿀벌)의 개체수가 줄어드는 것에 주목하고, 고대 마야 문명에서 수천 년 동안 사용되었던 양봉기술에서 가능성을 찾았다. 결과적으로 꿀벌의 밀랍을 사용해 틀을 성형하고 바로 그 곳에서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조립식 벌집 구조를 디자인했다.

카렌 커스틴 폴레인(Karen Kerstin Poulain), ‘지구와 건물(Building with Earth)’. © Karen Kerstin Poulain / Photo : Almendra Isabel

건축가 카렌 커스틴 폴레인(Karen Kerstin Poulain)의 ‘지구와 건물(Building with Earth)’: 흙 건축 시스템을 연구
폴레인은 나우칼판(Naucalpan) 지역의 흙으로 작업을 진행했다. 콘크리트의 에너지 사용량과 자원고갈을 줄이는 동시에 농업 폐기물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멕시코 화산 지역에서 발견되는 테페테이트(tepetate)와 물 그리고 쌀의 겉껍질을 결합한 합성소재를 만들었다. 저렴한 주거 공간을 짓기 위한 대안이 필요한데, 액체 형태의 흙에서 그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다고 폴레인은 말했다.

팔로마 모란 팔로마(Paloma Morán Palomar), ‘직조가보(Weaving Heirlooms)’
. © Paloma Morán Palomar / photo : Almendra Isabel

팔로마 모란 팔로마(Paloma Morán Palomar)의 ‘직조가보(Weaving Heirlooms)’: 소재의 순환에 주목
이 프로젝트는 실을 만들기 위해 타마린드(콩과에 속하는 나무) 섬유를 사용했다. 타마린드 껍질은 보통 버려지는데, 팔로마는 이 실을 사용해서 러그를 만들기로 했다. 참신한 소재를 사용하면서도 전통 직조 기술을 사용하고 있어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지식의 회복을 위한 팔로마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space10.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5-18 | 테크노크래프트

퓨즈프로젝트의 디자이너 이브 베하가 큐레이터가 되어 18개월 간 동시대 ‘만들기(making)’의 양상을 들여다 보았습니다.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청사진, 해킹, 미완성, 모듈이라는 여섯 개의 키워드를 통해서 말이죠. 2010년 YBCA에서 열린 전시회 ‘테크노크래프트’ 소식입니다.

CCTV에 안 잡히는 옷

독일의 디자인 스튜디오 베르텔오버펠(WertelOberfell)은 가상 공간에서 보이지 않게 만드는 옷을 개발했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이그노툼(Ignotum),...

2010-04-07 | 아이와 함께 가는 카페

어린이를 환영하지 않는다고, 그것이 이곳의 방침이라고 말하는 장소들이 있습니다. 어린이가 출입해서는 안될 장소는 물론 있고 또 있어야 하겠지만, 그곳이 식당이고 카페라면 그래도 괜찮을지요. 곳곳에 노키즈존이 자연스레 자리한 지금, 2010년의 ‘베이비 카페’ 소식을 되돌아봅니다. 물론 어린이와 보호자를 정확히 겨냥한 가게라는 점에서, 어린이도 환영한다는 예스키즈존과는 결이 다른, 그러니까 그냥 키즈존 개념에 가까운 카페입니다. 그리고 넨도는 이러한 기조를 아주 큰 것과 아주 작은 것으로 공간 디자인에 구현했지요.

2011-01-18 | 전시회 ‘큐빅스’

그리드의 입체판이라 해야 할까요? 정육면체를 기본 단위로 삼아 큐브 패턴의 원리를 찾고, 이를 디자인의 방법론으로 삼았던 두 사람이 있었습니다. 얀 슬롯하우버르와 빌리암 흐라츠마는 우표에서 가구까지 큐브 패턴의 응용 가능성을 활짝 펼쳤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2000년대 들어 뒤늦게 재발견되었는데요. 2011년의 ‘큐빅스’도 그러한 맥락에서 열린 전시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