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 2020. © Christos Voutichtis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작품은 다섯 개의 키네틱 안테나 수신기를 원형으로 설치하여 대기중 전자기파의 횡방향 진동을 포착하고 공공장소, 건축물, 자연의 소리를 탐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제너러티브 아트(Generative Art): 컴퓨터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우연적 결과물을 생성하는 디지털 아트.

‘소리의 질서’ 데이터 수집 및 작업 과정. © Christos Voutichtis

부티히티스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리의 실체가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번 작업에서는 전자기 스펙트럼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소리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선보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통계학적 수치는 인공지능을 통해 그래픽 요소로 도식화된다. 이렇게 변환된 수치는 비주얼 라이브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3D 가상 세계나 거대한 데이터 세계에서 시각화된다. 그리고 관람자들은 스크린이나 VR 뷰어 기기로 결과물을 경험할 수 있다.

‘소리의 질서’ 데이터 수집 과정. © Christos Voutichtis

소리의 주파수는 온도의 변화, 천둥, 허리케인과 같은 자연 현상의 소리와 인공위성, 전기 통신망, 기계, 비행기 소리에서 추출한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탐지될 수 있다.

가상현실 속 ‘소리의 질서’, 2021. © Christos Voutichtis / Image: Machine

작품 ‘소리의 질서’는 단순히 다양한 장소에서 나타나는 사운드의 특징을 탐색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지만, 부티히티스는 이 작업을 통해 공공장소의 사유화와 관련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 그는 실제 물리적인 공간에서든 가상 공간에서든 공공장소가 점점 더 사유화, 제도화되고 있으며, 사회적 불평등은 점점 더 양극화 되고 있다고 생각했다. 부티히티스는 어떠한 법칙도 존재하지 않고 그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가상 공간 세계를 만들어 기존의 위계질서에 도전하는 의지를 표현했다.

studio-urma.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11-23 | 시장을 품은 아파트

주상복합건물이 새로울 것은 없지만, 또 이런 건물은 흔치 않을 것입니다. MVRDV가 설계한 ‘마켓 홀’의 놀라운 부분은 건물이 재래 시장을 품고 있다는 점입니다. 건물이 곧 시장의 아케이드가 되어 흥미롭게 동거합니다. ‘마켓 홀’은 예정대로 2014년 완공되었고, 그 모습은 이곳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2010-10-15 | 리얼리티 랩

이세이 미야케가 무언가를 만든다는 것, 생산하는 일의 미래를 고민합니다. 2010년 도쿄 21_21 디자인 사이트에서 열린 전시회 ‘리얼리티 랩’은 리얼리티를 창조하는 디자인 활동의 의미를 다시금 제기하는 자리였습니다. “디자이너의 임무는 사용자를 위해 생각을 현실로 변환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일종의 ‘현실 실험(Reality Lab)’인 것이다.”

2011-10-28 | 미생물의 집

디자인 프로브는 필립스가 운영했던 미래 라이프스타일 연구 프로그램입니다. 이미 소개했던 2010년의 ‘메타모포시스’에 이어 2011년 필립스가 구상한 미래의 집은 미생물을 이용한 자급자족의 집입니다. ‘미생물의 집’이 그리는 아직 오지 않은 미래의 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오래된 요소들입니다. 토기로 된 증발식 냉장고라던가 벌통 그리고 쪼그려 앉는 재래식 변기처럼요.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