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 공간의 구성: ‘원칙들(PRINCIPLES)’

렘 콜하스(Rem Koolhaas)의 건축 설계 사무소 OMA는 최근 이탈리아 사무용 가구 제조기업 유니포(UniFor)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모듈식 사무 가구 시리즈 ‘원칙들(PRINCIPLES)’를 선보였다. 이는 사무실 공간에 조형적 다양성과 재미를 더하고 직원들 사이에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무한 디자인 방식을 제공한다.

‘원칙들’ 시리즈는 업무용 테이블, 다양한 형태의 소파, 화면(SCREENS), 척추(SPINES)와 같이 비교적 단순한 종류의 모듈 가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각각의 모듈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기능을 무한 창출하며 공간을 새롭게 구성한다.

테이블의 경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이중 표면으로 디자인되었고, 화면의 경우 화이트보드, 음향패널, 화분, 옷걸이, 플로어 램프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척추는 직선과 곡선의 칸막이 패널을 연결하여 길이나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 구조를 만든다. 필요에 따라 선반과 좌석을 모듈 표면에 부착할 수도 있다. 소파는 독립형 또는 결합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부터 테이블, 척추(SPINES), 화면(SCREENS), 소파. © UniFor

이른바 마이크로 건축(Micro-architecture)이라고 말하는 내부 개별 공간에 어울리는 컬러, 형태, 크기의 모듈을 선택하여, 저마다 다른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다. 모듈의 종류는 선명한 컬러, 파스텔색조, 원형, 삼각형, 도넛, 유선형 등이 있고, 크기에 따라 S, M, L, XL 총 네 가지로 구분된다. 100개가 넘는 이 모듈에는 첨단 소재, 조명, 방음, 선 관리 기능이 통합되어 있다.

이들이 구상한 업무 환경은 유연하면서 최대한의 기능성을 보장하는 공간이다. 기울어진 형태, 각진 형태, 둥근 형태, 삼각형 등의 모듈을 통해 사무 공간뿐만 아니라, 회의실과 휴게 공간, 그룹의 공간과 개인의 공간을 다채롭게 구성할 수 있다.

© DSL studio, courtesy of OMA and UniFor / Photo : delfino sisto legnani and alessandro saletta

OMA와 유니포의 협업 사무가구 시리즈는 2022년 6월 7일부터 12일까지 진행된 이탈리아 ‘밀라노 디자인 위크 2022(Milan design week 2022)’의 비알레 파수비오 15(Viale Pasubio 15)에 위치한 새로운 쇼룸에서 전시되었다.

unifor.it

© designflux.co.kr

홍정아

오늘의 디자인이 어제의 디자인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여전히 우리에게 유효한 디자인의 가치는 무엇일까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디자인은 가까워지려 할수록 더욱 많은 질문들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에 오늘도 디자인 역사, 전시 디자인에 관한 흥미와 다양한 관점을 바탕으로 나름의 답을 찾아가고자 두리번거리는 중입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겨울용 베니스 곤돌라의 꿈

2021년 9월 10일, 필립 스탁은 베니스의 새로운 상징이 될 ‘겨울용 베니스 곤돌라의 꿈’을 선보였다....

2011-05-16 | 바버오스거비 연구서 출간

런던 왕립예술대학교에서 만난 동갑의 두 학생은 1996년 함께 디자인 스튜디오를 설립했습니다. 바로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바버오스거비입니다. 이후 바버오스거비는 영국 산업디자인의 주요한 이름 가운데 하나가 되었죠. 2011년에는 그들의 작업을 개관하는 첫 번째 연구서가 출간되었습니다. 리졸리에서 나온 『에드워드 바버와 제이 오스거비의 디자인 작업』이 11년 전 오늘의 소식입니다.

2010-12-27 | 미니멀 패키징 효과 연구

포장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의 효과를 시험해 봅니다. 안트레포는 익숙한 기존 제품들의 포장을 대상으로 ‘빼기’의 과정을 실행합니다. 일러스트레이션이 사라지고, 색상이 사라지는 식으로요. "맥시멀리스트 시장에서의 미니멀리스트 효과"라 이름 붙인 그들의 시험들을 살펴봅니다. 

2007-08-13 | 알루미늄 아이맥

2007년은 아이맥이 처음으로 알루미늄 몸체를 갖게 된 해입니다. 형태 면에서 G5부터 이어져 온 모니터 형태의 일체형 디자인을 이어가되, 재질 면에서는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과 완전히 단절하고 알루미늄으로 넘어왔습니다. 올해 애플 자체 프로세서인 애플 실리콘을 탑재한 새 아이맥이 등장하기 전까지, 은색 알루미늄 바디와 검은색 배젤 그리고 전면 하단 로고가 아이맥 하면 떠오르는 모습이었습니다. 아직은 기존의 인텔 아이맥과 색색의 실리콘 아이맥이 공존하고 있지만, 머지 않아 과거의 것이 될 ‘그’ 아이맥의 시작으로 돌아가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