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 신국립미술관 6년 만에 재개관

베를린 신국립미술관 전경, 2021. © Simon Menges

8월 22일, 베를린 신국립미술관(The Neue Nationalgalerie)이 2015년 보수 공사를 위해 문을 닫은 지 6년 만에 재개관했다. 미스 반 데 로에가 바우하우스 학장 당시에 설계한 이 미술관은, 1968년에 완공된 후 20세기 서구 모더니즘 건축의 전설이 되었다. 특히 1965년부터 1968년까지 3년 동안 건설된 이 건물의 널찍하고 투명한 유리 외벽과 대리석으로 된 유려한 바닥은, 그가 일생 동안 추구했던 ‘열린 공간’을 완벽하게 구현했다. 미술관에서는 건물의 재개관에 맞추어 두 개의 출판물과 웹 앱을 만들었는데, 이는 건축과 보수 공사에 대한 방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재개관과 함께 4개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그 중 메인 전시는 ‘알렉산더 칼더: 미니멀/맥시멀(Alexander Calder: Minimal/Maximal)’(2021.08.22-2022.02.16)이다. 이와 함께 ‘로자 바르바. 끊임없는 오늘(Rosa Barba. In a Perpetual Now)’(2021.08.22-2022.01.16), ‘사회의 미학(The Art of Society)’(2021.08.22-2023.07.02), 별도의 전시관에서 ‘미스 반 데 로에와 미술관 건물의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The Neue Nationalgalerie Its Architect and Its building History)’가 진행 중이다.

미술관의 미스 반 데어 로에 의자, 2021. © Simon Menges

미술관 재개관과 함께 다양한 예술 연계 프로그램, 워크숍, 가이드 투어도 함께 진행된다. 그리고 2021년 11월부터는 한 달에 한 번 무료 입장이 가능하다.

smb.museum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2007-01-26 | 길 위의 디자인

골목길에 시원한 그늘을 드리우는 차양막. 영국 건축협회 건축학교의 학생들이 만든 ‘공공공간 그늘막’입니다. 신축성 좋은 라이크라 소재로 주변 환경에 덜 구애받으며 더 유연한 설치가 가능합니다. 그렇게 태어난 유연한 형태와 밝은 색상이 골목에 그늘만큼이나 기분 좋은 활기를 더하죠. 이 차양막은 그해 열린 쿠퍼휴잇의 ‘90%를 위한 디자인’ 전시에서도 선보였습니다.

계산된 나무 의자

베를린과 바이에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 마티아스 크슈벤트너는 버려지는 나무를 재생산하는 ‘프로젝트 뉴 소스(New Sources)’를...

라멘 ‘쏟지 않고’ 나왔습니다: 닛산 전기 자동차

닛산 자동차(NISSAN)에서 손님에게 라멘 국물을 한 방울도 흘리지 않고 서빙하는 소형 전기 자동차, ‘닛산...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