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만에 완성된 집

일본 건설 스타트업 세렌딕스(Serendix Partners)에서 3D 프린팅 주택 ’스피어(Sphere)’를 단 하루만에 완성했다. 세레딕스는 ‘스피어’의 디자인을 작년에 처음 공개했으며, 그로부터 1년이 지난 후, 저렴한 가격으로 빠른 시간내에 완성시키려는 목표를 달성해냈다.

세렌딕스, 스피어, 2022. ⓒ Serendix Partners
스피어 조립 과정. ⓒ Serendix Partners

스피어의 건축은 일본 아이치현 고마키시에 위치한 건설회사 하쿠넨 주타쿠(Hyakunen Jutaku) 공장에서 진행되었다. 해외 기업의 도움으로 20톤의 철근 콘크리트 프레임을 3D 프린팅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3시간 만에 조립을 끝냈다. 하나의 집을 완성하는 데 23시간 12분이 소요된 것이다. 이러한 혁신적인 구축 방식과 아울러, 이 구조물은 일본 지진 및 유럽 단열 표준 기준도 모두 충족한다.

스피어는 NASA 2015 3D 하우징 챌린지(NASA 2015 3D housing challenge)의 우승자인 일본 건축가 마사유키 소노(Masayuki Sono)가 디자인한 것으로, 10제곱미터의 크기 단위의 구조물을 300만엔(한화 3천만 원)의 가격에 제공할 계획이다. 현재 이 구조는 비상 주택 및 재난 대피소로 사용될 예정이며, 내부 모습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3dprintingindustry.com
japantoday.com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9-02 | 방사능 통제

2011년 거대한 쓰나미가 야기한 방사능 위기는 아직도 진행형입니다. 내년 봄이면 후쿠시마의 오염수는 태평양으로 방류될 것입니다. 2011년 그해 가을, 함부르크 독빌 페스티벌에는 100명의 방사능 병정들이 등장했습니다. 루스인테르툽스는 고개를 숙인 채 어딘가로 향하는 방사능 처리 요원들의 모습을 통해 방사능의 안전 신화가 무너진 현실의 무게를 다시금 생각하게 하였습니다.

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일본 여자 프로 축구 리그(WE LEAGUE)의 유리 트로피

2022년 2월 27일, 일본 최초 여성 프로 축구 리그 ‘위 리그(WE LEAGUE)’ 결승전에서 ‘우먼...

90년 만에 완성된 ‘단 한 장’의 의자

1934년 헤리트 리트벨트는 단 하나의 나무 조각으로 의자를 만들겠다는 상상력에서 출발하여 선구적인 실험 작업...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