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을 먹는 곤충, 패키징 신소재

‘키토폼(Chitofoam)’ 소재로 만든 컵(왼쪽).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의 샤를로테 뵈닝(Charlotte Böhning)과 마리 렘프레스(Mary Lempres)

디자인 스튜디오 도플갱어(Doppelgänger)의 샤를로테 뵈닝(Charlotte Böhning)과 마리 렘프레스(Mary Lempres)는 밀웜(딱정벌레의 유충)의 외골격으로 만든 생분해성 스티로폼을 개발중이다. ‘키토폼(Chitofoam)’이라 불리는 이 소재는, ‘키틴(Chitin)’이라는 생체고분자에서 추출되는 것으로, 밀웜을 사용해 강력하면서도 유연한 외골격을 만들어 내어, 발포성 폴리스티렌(EPS)의 대체재로 사용될 수 있다. 키토폼은 충격에 강하고, 방수 기능이 있어 컵이나 완충재 혹은 다른 패키지의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스티로폼으로 널리 알려져있는 발포성 폴리스티렌은 시간이 지나면서 부서져 작은 미세 플라스틱으로 변한다. 이것은 재활용도 쉽지 않아 결국 쓰레기 매립지의 약 30퍼센트를 차지하는, 매우 경제성이 떨어지는 소재이다.

키토폼 소재로 만든 패키지.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

도플갱어의 두 디자이너는 자신들이 직접 만든 밀웜 바이오다이제스터에 패키지 폐기물과 모델링한 폼을 넣어 분해 반응을 실험했는데, 플라스틱을 먹는 벌레가 키토산이라 불리는 바이오폴리머 겔을 흘리는 과정에서 외골격을 추출하는 것을 포착, 이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을 거쳐 새로운 물질을 개발한 후에는, 가볍고 방수가 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퇴비화가 가능한 스티로폼 패키지를 제작했다. 실제 포장재의 디자인에서는 키토폼을 격자 모양의 구조로 만들어 상품의 보호 기능을 한층 높였다.

키토폼 시스템.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

키토폼의 순환 시스템은 작은 생명체의 도움으로 환경에 유해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스티로폼 폐기물 관리를 위한 해결책을 만들어냈다. 2015년, 스탠포드 대학교의 연구자들은 밀웜이 스티로폼을 아무런 문제없이 소화, 분해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100마리의 밀웜은 하루에 40밀리그램의 스티로폼을 먹을 수 있다고 밝혔다.

© 도플갱어(Doppelgänger) 스튜디오

밀웜은 100% 식용 곤충으로,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고 특히 농촌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밀웜 농장이 주목받고 있다. 식용 밀웜은 적은 자원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기를 수 있고 공간 효율성도 뛰어나다.

charlotteboehning.com
marylempres.space

© designflux.co.kr

강예린

지구에 이로운 디자인이 있을까요? 우리가 쓰는 모든 것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결국 어디로 버려질까요? 호기심이 많은 초보 연구자입니다. 모든 광고 문구에 빠르고 편리함을 강조하는 세상에서 조금은 느리고 불편한 것, 누군가 소외되지 않는 것에 마음을 씁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재건

모스크바에 위치한 개러지 현대미술관(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분관인 헥사곤 파빌리온(The Hexagon)의 건축 디자인은...

2009-06-29 | 하비에르 마리스칼, 삶을 그리다

“전위적인 디자인을 시도했는데, IOC에 가장 높은 수익을 안긴 올림픽 마스코트가 되었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마스코트 ‘코비’의 이야기입니다. 귀엽겠다고 애쓰지 않는데 친근하게 마음을 끌고, 너무 단순한가 싶으면서도 미묘합니다. 정면과 측면이 공존하는 얼굴처럼요. 2009년 오늘의 소식은 코비의 디자이너 하비에르 마리스칼의 회고전입니다. 영국에서는 처음으로 열린 전시로, 그래픽과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가구, 인테리어에 이르는 마리스칼의 세계를 조망했습니다. 2013년에는 한국에서도 그의 전시회가 열렸지요.

2011-05-31 | 스킨

“동물은 네모반듯하지 않으며, 그 가죽도 마찬가지다.” 디자이너 페퍼 헤이코프는 가죽 생산 과정에서 버려지는 들쭉날쭉하고 흠집 난 가죽 조각들을 이어붙여 중고 가구에 입혔습니다. 한때 살아 있는 생물의 피부가 주인 잃은 가구의 피부가 된 셈이지요. 새로운 피부가 씌워지며 만들어진 울퉁불퉁한 외곽선과 거친 이음새가 무언가 기묘한 생명체의 인상을 줍니다. 5월의 마지막 날인 오늘의 뉴스는 페퍼 헤이코프의 ‘스킨’입니다.

2009-07-20 | 토요타 iQ 폰트

전용 서체가 브랜딩의 주요한 수단이 된 지 오래이고, 그러니 무언가의 전용 서체라고 해서 새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그 무언가가 자동차이고 서체가 자동차의 주행 궤적에서 탄생했다면 이야기가 조금 다르겠지요. 토요타의 시티카 ‘iQ’의 캠페인을 맡은 블리스는 이 작은 차의 민첩함을 강조하기 위해 주행 궤적으로 이뤄진 서체를 만들기로 하고, 인터랙티브 아티스트와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와 힘을 합했죠. 블리스는 이 캠페인으로 2010년 칸느 국제광고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