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 카이트: 상공에 띄우는 풍력 발전 시스템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SkySails Power’s Airborne Wind Energy Systems (AWES)). © SkySails

독일 함부르크의 스카이세일즈 그룹(SkySails Group)이 세계 최초로 하늘을 나는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선보였다. 풍력 발전은 자원이 풍부하여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에너지 중 하나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상에서 일반적인 풍력발전의 출력을 높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스카이세일즈 그룹은 고도가 높아질수록 바람이 세지는 자연 현상을 활용해 최대 400미터 상공에서 패러글라이더 형태의 연을 띄우는 공중 풍력발전 시스템(SkySails Power’s Airborne Wind Energy Systems (AWES))을 개발했다.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 © SkySails

파워 카이트(power kites)가 하늘로 날아오를 때 지상 드럼에 연결된 밧줄이 풀린다. 연은 충분히 높은 고도에 도달했을 때 8자로 비행하고 그로 인해 밧줄이 당겨지는데, 이때 끌어당기는 힘은 전기를 생산하는 드럼 내부의 발전기를 구동시킨다. 이 과정을 ‘작업 단계(working phase)’라고 부른다. 밧줄이 최대한 풀리면 자동 조종 장치에서 파워 카이트를 조금씩 끌어당겼다가 다시 높이면서 중립에 위치하도록 조종한다. 그리고 발전기는 모터를 작동시켜 밧줄을 되감는다. 파워 카이트는 200미터에서 400미터 사이 상공을 날면서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한다. 공중 풍력발전 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에너지는 전국의 배전관을 통해 배터리에 저장되거나 바로 소비될 수 있다.

기상 이변이 예상될 때나 혹은 유지 보수가 필요할 시에는 파워 카이트를 착륙시키기도 한다. 모터가 달린 대형보트와 돛대에 파워 카이트가 연결되면 연이 지상으로 내려오는데, 이후 장착을 해제시켜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공중 풍력 발전 시스템. © SkySails

바람이 대지에 가까워질수록 표면 마찰로 속도가 제한되는 반면, 이 시스템은 고도가 높을수록 마찰에 방해받지 않고 훨씬 더 효과적인 에너지 생산이 가능하다. 이 점 때문에 평소에 바람이 약한 곳에서도 더욱 많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공중 풍력발전 시스템은 허리케인이나 태풍 같은 자연재해가 잦은 지역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접근이 어려운 위치에서도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skysails-power.com

© designflux.co.kr

강예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12-27 | 미니멀 패키징 효과 연구

포장 디자인에서 미니멀리즘의 효과를 시험해 봅니다. 안트레포는 익숙한 기존 제품들의 포장을 대상으로 ‘빼기’의 과정을 실행합니다. 일러스트레이션이 사라지고, 색상이 사라지는 식으로요. "맥시멀리스트 시장에서의 미니멀리스트 효과"라 이름 붙인 그들의 시험들을 살펴봅니다. 

2011-02-16 |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

복잡다단한 정보를 어떻게 표준화된 시각 언어로 전달할 것인가. 아이소타입이 탄생한 배경입니다. 아이소타입하면 오토 노이라트를 떠올리게 되지만, 그와 함께 이 시각 언어를 디자인한 사람이 바로 게르트 아른츠입니다. 세계를 보다 쉽게 이해 가능하도록 변환하는 것은 그의 정치적 신념과도 부합하는 작업이었죠. 2011년 출간된 『게르트 아른츠, 그래픽 디자이너』는 아이소타입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작업 세계를 다룹니다.

2010-09-16 | 타이포그래픽 지도 벽화

타이포그래피와 지도의 결합. 디자이너 폴라 셰어는 1990년대부터 세상을 타이포그래픽 지도의 형태로 그려왔습니다. 2010년에는 이를 실내 벽화의 형태로도 선보였죠. 퀸스의 메트로폴리탄 캠퍼스의 아트리움 벽을 장식한 것은 그가 특히 퀸스에 초점을 맞춰 그린 뉴욕의 지도였습니다. 벽화 작업을 위해 지도 원화를 100개 이상의 조각으로 나누고, 이를 패널에 하나하나 확대하여 비춰 그 모습 그대로 화가가 손수 그려냈습니다. 

2007-07-09 | [웹갤러리] SevenRoads.org

디자인플럭스 초창기, 뉴스 속 하나의 코너로 마련되었던 [웹갤러리] 시리즈. 오늘은 그중 책에 남은 출판 라벨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인 세븐로즈의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멀리는 1841년 발행된 책에서부터 지역으로는 여기 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운영자들이 수집한 각종 라벨들을 만나볼 수 있는 곳입니다. 오늘자 뉴스로 이곳을 소개할 수 있었던 이유는, 여전히 운영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제 자리를 지키고 있다는 단순한 사실이 더욱 반가운 세븐로즈를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