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인식 이미지 생성 AI ‘DALL-E 2’

인공지능 연구소 오픈AI(OpenAI)에서 텍스트를 인식하여 사실적인 이미지와 그림을 ‘창작’할 수 있는 AI 시스템, ‘달-이 투(DALL-E 2)’를 소개했다. 이 시스템은 명령어가 아닌 자연스러운 문장 속에서 이미지를 만들어내며, 생성된 이미지에는 콘셉트, 특성, 스타일이 부여된다. 지난 2021년에 첫 번째로 공개된 달-이(DALL-E)를 발전시킨 것으로, 새로운 버전은 사진에 가까운 더 사실적 이미지(Photo-realistic)를 생성한다.

‘달-이 투’는 이미지 편집과 이차적 이미지 생성 기능을 제공한다. 이미지 속 그림자, 반사, 텍스처 등의 요소를 지우거나 원하는 위치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편집할 수 있으며, 원본 이미지에 스타일, 패턴, 구조 등 다양한 변주를 주어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오른쪽) ‘달-이 투‘로 변환한 ‘그랑드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 © OpenAI

현재는 리서치 단계에 있으며, 소수의 베타 유저만 접근할 수 있다. 베타 유저와 외부 전문가들은 불특정 다수가 이차적 이미지를 자유롭게 생성할 때 발생되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다. ‘달-이 투’에는 콘텐츠 정책을 마련하고 이를 반영하는 기술을 적용하여, 폭력성, 혐오, 성인물과 같은 유해 콘텐츠 생성을 제한하고, 실존 인물의 얼굴을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오픈AI는 ‘달-이 투’를 통해 사람들이 창의성을 발휘하고, 향상된 AI 시스템이 어떻게 인류를 이롭게 할 수 있을지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openai.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5-20 | 실패에 대한 두려움

2011년 스웨덴의 베리스 커뮤니케이션 스쿨이 졸업전시회를 선보이며 내건 표제는 다름아닌 ‘실패’였습니다. “실패 좀 하면 어때. 누구나 다 실패를 겪어. 핵심은 이거지. 실패가 무섭지 않다면 무얼 해보고 싶어?” 그리고 각계 분야에서 이미 수많은 실패를 겪었고 또 두려움을 이겨냈을 12인의 인사들의 입을 통해 그러한 메시지를 전했죠.

2010-07-30 | 전기차 충전기 ‘블링크’

자동차 업계가 내연기관과의 예정된 이별을 대비하느라 분주한 요즘, 이제 전기차를 거리에서 마주치는 일도 자연스럽고, 전기차의 주유소라 할 충전소도 익숙해졌습니다. 오늘 소개할 뉴스는 지금으로부터 11년 전 등장한 전기차 충전기입니다. 에코탤리티는 프로그 디자인과 함께 충전기 ‘블링크’를 선보였는데요. 가정용은 계량기를, 공공용은 주유기를 닮은 디자인이 인상적입니다. 그 때만 해도 충전기란 낯익은 것의 외양을 빌려야 했구나 싶기도 하고요. 

목재 건조실에서 선보인 전시

코로나19로 대부분의 대규모 오프라인 디자인 박람회들이 연기되거나 취소되었지만, 또 다른 한편에서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는...

2009-03-30 | 무가치한 화폐의 비극적 풍경 

저 악명 높은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종이가 사치 수입품으로 분류되어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언론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2009년 <짐바브웨 신문>의 ‘감사 벽보’ 광고는 돈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종이로서의 효용만 남은 짐바브웨 달러의 현실을 정확히 겨냥한, 씁쓸한 캠페인이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