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마스타바’와 크리스토, 2012.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Wolfgang Volz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이에 대해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 재단 관계자는 “아직 아랍 에미리트 정부의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프로젝트는 기획 단계에 있다”는 입장을 발표하여 오류를 정정했다.

이번 소동으로 인해 다시 주목받게 된 ‘마스타바(The Mastaba)’는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Christo and Jeanne-Claude)가 아부다비의 사막에 구축하기 위해 1977년에 처음으로 구상한 프로젝트이다. 높이 150미터, 길이 300미터, 너비 225미터의 이 초대형 사다리꼴 조각(구축물)을 사막에 세우는 야심찬 기획이다. 이 구축물에는 이슬람 건축의 다채로운 모자이크가 도입되는데, 이를 위해 총 41만 개에 달하는 다채로운 컬러의 철제 드럼통이 사용된다. 이 구조가 완공되면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넘어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현대 조각 작품이 될 것이다.

피라미드와 ‘마스타바’의 크기 비교.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마스타바에 사용되는 철들의 각 위치와 색상은, 1979년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가 아랍 에미리트에 처음 도착했을 당시에 직접 고른 것이다. 그리고 이 초대형 조각의 입지 후보지로는 아부다비에서 남쪽으로 약 160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리와 사막(Liwa desert)이 선정되었다.

‘마스타바’를 세울 후보지를 찾고 있는 크리스토와 잔느-클로드, 1982.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Wolfgang Volz

2007-2008년,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는, 마스타바의 제작과 구조의 실행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스위스, 미국, 영국, 일본 4개국의 대학교*와 협력 계약을 맺었고, 그 후 각 대학별로 독립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독일의 엔지니어링 회사 슐라이흐 버거만 파트너에게 4팀의 연구 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의뢰하였고, 그 중 호세이 대학교 팀의 콘셉트가 기술적으로 가장 적합하고 혁신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평한 지면 위에 하부구조와 배럴로 층을 쌓은 뒤, 2주 동안 10개의 엘리베이터 타워를 이용하여 전체 구조를 각 위치로 들어 올리는 방법으로, 전체 공사 기간은 최소 3년이 소요된다.

‘마스타바’의 설계 과정과 스케치, 2012.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André Grossmann

마스타바는 2020년 크리스토가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전 완성한 마지막 프로젝트로,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대규모 공공 예술 작품 중 유일하게 영구 보존된다. 그리고 이들의 다른 프로젝트들과 마찬가지로, 정부 지원 없이 자체 자금으로 운영된다. 크리스토의 바람대로 마스타바는 2021년에 공개되었던 ‘포장된 개선문(L’Arc de Triomphe, Wrapped)’을 감독한 블라디미르 야바체프(Vladimir Yavachev)가 수행할 예정이다.

크리스토와 ‘마스타바’ 그림, 1984. © 1984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Wolfgang Volz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urich),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케임브리지 대학교(Cambridge University), 호세이 대학교(Hosei University)

christojeanneclaude.net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22 | 공작연맹아카이브 – 물건박물관

베를린에는 평범한 물건들의 박물관이 있습니다. 공작연맹 아카이브 – 물건 박물관이라는 이름이 말해주듯, 박물관의 중심에는 1907년 결성된 독일공작연맹의 산물과 기록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당대 공작연맹의 실천 영역이었던 일상 생활과 상품 사회에 대한 관심을 동시대로까지 확장하죠. 가령 올 1월 1일 개막한 ‘위기’ 전시에서는 40년대의 방독면부터 오늘날의 일회용 마스크, 박제 박쥐, 비누, 플레이모빌의 간호사 인형 등의 다양한 위기의 사물들을 한자리에 모았습니다.

2011-05-04 | 우표 x 증강현실

현실 세계에 가상의 객체가 겹쳐지는 증강현실 기술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한층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그래서 이렇게 우표 위에 건물이 솟아오르는 일도 가능해졌죠. 2011년 암스테르담의 광고회사 검모는 TNT 포스트의 의뢰로 증강현실 우표 세트를 선보였습니다. 아직 지어지지 않은 다섯 개의 건축물이 자그마한 우표 위에서 구현됩니다. 모두 아직 세워지지 않은 건물들이라는 점에서 증강현실 기술에 더욱 어울려 보였죠.

2009-09-30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자명종 시계

자명종 시계의 중요한 기능은 역시나 알림이겠죠.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그래서 이름도 벨입니다. 기능은 여느 자명종 시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종소리 만큼은 흥미롭습니다. ‘화재 알림 레드’부터 ‘자전거 경적 크롬’, ‘초인종 블랙’ 등 시계의 색상에 따라 종소리의 크기를 달리하였거든요. 

2007-10-12 | 컨테이너 일리 카페

화물 컨테이너가 버튼을 누르면 90초 만에 활짝 열리며 작은 카페로 변신합니다. 2007년 뉴욕에 잠시 머물렀던 일리의 컨테이너 카페였는데요. 컨테이너는 본래의 용도 외에도 건축의 재료로서, 그러니까 프리팹 모듈로서 자주 활용되곤 합니다. 컨테이너 건축을 전문적으로 해온 애덤 칼킨이 설계와 제작을 맡아 피어나는 작은 카페를 만들어냈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