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마지막 프로젝트 ‘마스타바’

‘마스타바’와 크리스토, 2012.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Wolfgang Volz

지난 2월 초, ‘마스타바가 드디어 현실화된다’는 몇몇 언론의 보도로 인해 프로젝트가 다시 화제가 되었는데, 이에 대해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 재단 관계자는 “아직 아랍 에미리트 정부의 승인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프로젝트는 기획 단계에 있다”는 입장을 발표하여 오류를 정정했다.

이번 소동으로 인해 다시 주목받게 된 ‘마스타바(The Mastaba)’는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Christo and Jeanne-Claude)가 아부다비의 사막에 구축하기 위해 1977년에 처음으로 구상한 프로젝트이다. 높이 150미터, 길이 300미터, 너비 225미터의 이 초대형 사다리꼴 조각(구축물)을 사막에 세우는 야심찬 기획이다. 이 구축물에는 이슬람 건축의 다채로운 모자이크가 도입되는데, 이를 위해 총 41만 개에 달하는 다채로운 컬러의 철제 드럼통이 사용된다. 이 구조가 완공되면 이집트의 피라미드를 넘어서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현대 조각 작품이 될 것이다.

피라미드와 ‘마스타바’의 크기 비교.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마스타바에 사용되는 철들의 각 위치와 색상은, 1979년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가 아랍 에미리트에 처음 도착했을 당시에 직접 고른 것이다. 그리고 이 초대형 조각의 입지 후보지로는 아부다비에서 남쪽으로 약 160 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리와 사막(Liwa desert)이 선정되었다.

‘마스타바’를 세울 후보지를 찾고 있는 크리스토와 잔느-클로드, 1982.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Wolfgang Volz

2007-2008년,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는, 마스타바의 제작과 구조의 실행 가능성을 연구하기 위해 스위스, 미국, 영국, 일본 4개국의 대학교*와 협력 계약을 맺었고, 그 후 각 대학별로 독립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후 독일의 엔지니어링 회사 슐라이흐 버거만 파트너에게 4팀의 연구 보고서에 대한 분석을 의뢰하였고, 그 중 호세이 대학교 팀의 콘셉트가 기술적으로 가장 적합하고 혁신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평한 지면 위에 하부구조와 배럴로 층을 쌓은 뒤, 2주 동안 10개의 엘리베이터 타워를 이용하여 전체 구조를 각 위치로 들어 올리는 방법으로, 전체 공사 기간은 최소 3년이 소요된다.

‘마스타바’의 설계 과정과 스케치, 2012. ©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André Grossmann

마스타바는 2020년 크리스토가 8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전 완성한 마지막 프로젝트로, 크리스토 앤 잔느-클로드의 대규모 공공 예술 작품 중 유일하게 영구 보존된다. 그리고 이들의 다른 프로젝트들과 마찬가지로, 정부 지원 없이 자체 자금으로 운영된다. 크리스토의 바람대로 마스타바는 2021년에 공개되었던 ‘포장된 개선문(L’Arc de Triomphe, Wrapped)’을 감독한 블라디미르 야바체프(Vladimir Yavachev)가 수행할 예정이다.

크리스토와 ‘마스타바’ 그림, 1984. © 1984 Christo and Jeanne-Claude Foundation / Photo: Wolfgang Volz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urich), 일리노이 대학교 어배너-샴페인(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케임브리지 대학교(Cambridge University), 호세이 대학교(Hosei University)

christojeanneclaude.net

©designflux.ac.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0-08-20 | 듀폰 상하이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 오픈

2010년 상하이에 듀폰의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가 문을 열었습니다. 듀폰이 개발한 이 인조대리석은 건축에서 가구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활용됩니다. 그리고 코리안® 디자인 스튜디오는 바로 이 소재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이해 태어난 공간이고요. 홍콩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영국 출신의 디자이너 마이클 영이 실내 디자인을 맡아, 가구에서 벽체까지 코리안®을 십분 활용한 공간을 만들어냈습니다. 

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2010-05-03 | 30일의 물빛

30일 동안 매일의 베니스 물빛을 카메라에 담고, 이를 패턴으로 만들어 다시 실크 스카프 위에 옮겼습니다. 매일 조금씩 다른 물의 빛깔과 수면에 비친 풍경의 일렁임을 고스란히 담아낸, ‘30일의 물빛’ 스카프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