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각으로 남긴 세계의 인구: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

프랑스 디자이너 마티외 르아뇌르(Mathieu Lehanneur)가 ‘세계의 상태(State of the World)’를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에서 선보였다. 세계의 상태는 아노다이징 알루미늄(양극 산화 처리한 알루미늄)으로 만든 140여 개의 조각이다. 각각의 조각은 바닥에서 꼭대기로 올라가면서 둘레가 계속 변화하는데, 이것은 1세에서 100세까지 각 국의 인구분포도를 나타낸다.

마티외 르아뇌르, ‘세계의 상태’,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 © Mathieu Lehanneur

검은색 돌기 모양의 이 3차원 인구 피라미드는 미국에서 제공받은 인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140여 개국 인구의 변화상을 보여준다. 조각의 굴곡이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에서는 전쟁, 베이비붐과 같이 국가별로 주요 사건이 인구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국의 경제 상황에 따라서도 다른 형태를 나타낸다.

마티외 르아뇌르는 현재 지구상에서 정반대의 운명을 가진 두 나라, 세계 최대 경제 규모를 자랑하는 미국과 최빈국 소말리아의 조각을 비교한다. 부유한 국가일수록 굴곡이 평탄하고 고령의 인구가 많지만, 가난한 국가일수록 높은 연령대의 인구 수가 급격하게 줄어드는 양상을 보여준다. 국가의 경제 상황이 60세 이상의 고령 인구를 위한 보건 인프라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이다.

(좌) 미국, (우) 소말리아의 상태 조각, 2021. © Mathieu Lehanneur
지구의 상태 조각, 2021. © Mathieu Lehanneur

mathieulehanneur.fr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7-23 |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디자인 & 비즈니스 카탈리스트 어워드’의 전제를 한 문장으로 표현한다면 “굿 디자인 이즈 굿 비즈니스”일 것입니다. IDEA 어워드와 병행하여 2003년부터 운영된 이 시상 행사는 제품 디자인이 거둔 사회경제적 성과나 기여의 실제 사례를 통해 ‘디자인 경영’의 영향력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오늘은 2007년도 카탈리스트 어워드 수상작을 되돌아봅니다.

2009-12-03 | 어느 제지회사의 달력

어느덧 내년의 달력들이 찾아오는 때입니다. 시기에 걸맞게 2009년 오늘은 제지회사의 달력 소식을 전했습니다.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이탈리아의 제지회사 페드리고니의 영국 지사에서는 매년 협업을 통해 달력을 선보여왔는데요. 스튜디오 8이 디자인한 2010년도 달력은 글자를 접어 올려 세우는 형태의 일력이었습니다. 참고로 페드리고니의 달력 프로젝트는 2018년부터 ‘페드리고니 365’라는 이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1-11-15 | 디터 람스의 ‘620 체어 프로그램’ 재탄생

언제부터인가 디터 람스의 디자인을 수집하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니, 오래된 시계, 전축 시스템, 의자, 선반이 어느 집, 어느 카페 사진 속에서 발견되곤 합니다. 디터 람스의 이름과 떼놓을 수 없는 브랜드도 있습니다. 그가 40년을 몸담았던 브라운과 더불어, 비초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1960년대, 그러니까 비초에가 비초에+차프였던 시절에 디터 람스가 디자인한 선반, 의자, 테이블은 비초에라는 브랜드의 존재 이유와도 같은 무엇이 되었지요.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