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에스토니아의 공간디자인 스튜디오 쿠이다스.워커스(Kuidas.works)가 제로 웨이스트 다이닝 테이블을 선보였다. 이 프로젝트는 에스토니아 TV 쇼 ‘레스토랑 제로(Restaurant 0)’ 촬영의 일환으로, 이들은 7일 안에 제로 예산, 제로 탄소발자국 콘셉트의 팝업 레스토랑을 완성하라는 미션을 받았다. 이 레스토랑은 남부 에스토니아지역의 작은 마을 에빌리안디(Viljandi)에 위치한 한 소시지 가게가 문을 닫은 후 폐허로 남겨진 자리에 지어졌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쿠이다스.워커스 그룹은 흙다짐 기법으로 다이닝 테이블의 육면체 구조를 만들고 오목한 부분을 두어 테이블 웨어로 사용했다. 전통적이면서도 가장 단순한 방식을 이용해 테이블을 완성한 것이다. 높이 1.1미터, 길이 6미터의 테이블의 무게는 약 15톤에 이른다.

‘레스토랑 제로’, 2021. © kuidas.works / Photo: Tõnu Tunnel

디자인 팀은 어떻게 재료를 낭비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과정에서 그 지역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인근 채석장에서 흙더미를 가져오고, 폐나무 보드로 트레이를 만들었다. 유리병의 아래쪽을 재활용해 보울을 만들고, 유리잔을 고정하기 위해 구리 관을 연결한 슬리브를 사용했다. 방송 이후, 사용된 재료중 일부는 원래 있던 곳으로 돌려보내고 일부는 향후 프로젝트를 위해 보관했다.

다이닝 테이블에 주로 사용된 다짐 흙, 점토, 모래는 흙을 다시 메우는 데 사용되거나 추후 건축 재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 소재들은 버려지더라도 환경에 해가 되지 않으며, 재활용하더라도 설치된 재료의 약 3%에 이르는 에너지만이 필요하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편리함은 우선순위가 아니었다. 무엇보다 특이한 점은 이 테이블에 의자가 놓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공간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주의를 기울이고 즉각 확인할 수 있게하기 위해서이다. 어떤 산업이 탄소발자국을 가장 많이 남기는지 주의 깊게 지켜보라는 일종의 상징적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다.

kuidas.works

© designflux.co.kr

강예린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25 | 베이루트 전시 센터 아이덴티티 디자인

지금은 문을 닫은 베이루트 전시 센터는 레바논을 비롯해 중동 지역의 현대 미술을 소개하는 비영리 기관이었습니다. 센터의 아이덴티티는 두 개의 언어로 이뤄져 있었으니, 아랍어와 영어입니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맡은 메리 슈에이터는 두 가지 언어 각각의 타이포그래피 규칙을 모두 다듬어, 어느 한 언어의 문자가 다른 한 쪽에 억지로 순응하지 않도록 하였다고 설명합니다. 또 이 아이덴티티의 간판 버전은 센터의 건축 디자인과도 연결되는 세심함을 보여주었죠. 

2010-07-22 | 지금 멕시코만은

멕시코만 최악의 원유 유출 사건이 일어나고 3개월 후, 과연 수면 아래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을까요. 2010년 7월, 천연자원보호협회가 심각한 바닷 속 상황을 담아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을 공개했습니다. 디자인을 맡은 제이슨 비숍은 “수면에서 해저까지 잠수하듯 스크롤하여 내려가는 구성으로, 정보에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고 이야기합니다. 아쉽게도 2010년의 이 인포그래픽은 더 이상 볼 수 없지만, 대신 그로부터 10년 뒤의 현실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10-09-06 | 그리기와 소리의 결합

그는 디자이너이자 전자음악가이며 사운드 아티스트입니다. 2010년 열린 전시 ‘소리 주입’은 예술과 디자인과 기술이 어우러진 그의 작업 세계를 엿볼 수 있었던 자리였습니다. 가령 선에 소리를 담는 펜과 선에 담긴 소리를 재생하는 펜이 짝을 이루었던 ‘녹음 & 재생’ 펜처럼요. 유리 스즈키는 2018년 디자인 회사 펜타그램에 파트너로 합류하였고, 그의 존재로 펜타그램의 영역에 ‘사운드’가 더해졌습니다.

사운드 & 작곡 플랫폼

일본의 사운드 디자이너 유리 스즈키(Yuri Suzuki)는 전 세계에서 녹음된 갖가지 소리를 활용하여 작곡을 하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