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졸업 전시회: 2021 밀라노 가구박람회

잃어버린 졸업 전시회 전경, 2021. © Salone del Mobile Milano

지난 9월 10일에 막을 내린 2021 밀라노 가구박람회의 ‘잃어버린 졸업 전시회(The Lost Graduation Show)’는 박람회 개최 전부터 많은 기대를 모았다. 이 전시에서는 22개국, 48개 학교에서, 2020년과 2021년에 졸업한 학생들의 프로젝트 170점을 선보였다.

‘잃어버린 졸업 전시회’는 전 세계적으로 디자인 학교의 졸업 전시회가 취소된 상황에서, 졸업전이 가지는 의미를 지키기 위해 특별 전시 형태로 기획되었다. 이 전시는 가구, 운송, 의료 기기, 스포츠 디자인, 소재 연구, 지속가능성 등 광범위한 디자인 분야를 아우른다.

마테오 브라질리(이탈리아 누오바 아카데미아 디 벨레 아르티)가 디자인한 ‘트레 미글리아(Tre Miglia)’는 바다 생태계 재생을 위한 디자인이다. 이 장치는 어떤 형태의 배에도 부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바다를 오염시키는 미세플라스틱을 뱃사람이 쉽게 수거할 수 있다. 트레 미글리아의 형태는 플랑크톤 채집망과 방현재(배에 두르는 완충설비)에서 모티프를 가져왔다. 조개 껍질처럼 생긴 울퉁불퉁한 외부 표면은 물과의 마찰 저항을 줄여준다.

트레 미글리아, 2021. © Matteo Brasili

찰리 험블-토마스(RCA 로열 컬리지 오브 아트)의 디자인 ‘조건부적 장수(長壽): 우산(Conditional Longevity: The Umbrellas)’은 우산을 향해 “이 사물이 얼마나 오래갈까?”라는 질문을 던진다. ‘우산’은 사물의 수명에 대해 다른 접근 방식으로 탐구된다. 수리하기 쉬운 구조, 내구성, 재활용이 쉬운 소재라는 세 가지 관점의 단점과 장점을 가지고 사물을 만드는 ‘옳은 방법’이 무엇인지에 재접근한다.

조건부적 장수(長壽): 우산, 2021. © Charlie Humble-Thomas

치아키 요시하라(무사시노 미술대학)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된 가구를 선보였다. 주로 단열, 완충, 방수 등에 사용되는 블루폼을 이용한 ‘껍질의 경계선(Seam of Skin)’이 바로 그 주인공. 블루폼을 겹겹이 쌓아 압력을 가해 구부린 후 단면을 수평으로 잘라내어 만든, 말 그대로 ‘껍질’로 만든 가구이다.

껍질의 경계선, 2021. © Chiaki Yoshihara

이 전시를 기획한 안니나 코이부(Anniina Koivu)는 “팬데믹이 18개월 이상 지속되고, 다시 예전으로 돌아가기 어려워진 상황에서, 이 전시를 통해 잠시나마 디자인의 장을 느낄 수 있다. ‘잃어버린 졸업 전시회’는 긴급한 이슈들을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고 디자인으로 짚어내는 기회를 제공한다. 새로운 세대의 디자이너들을 이슈 토론에 참여시키기 보다, 이들을 글로벌 무대에 모아 재탄생의 기회를 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라며 기획 의도를 설명한다.

salonemilano.it

이곳에서 학생들의 작품을 볼 수 있다.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물 재사용

이케아의 디자인 연구소인 스페이스 10(Space 10)과 델프트 공과대학교(TU Delft)가 물을 재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젝트를...

2010-07-12 | ATM 리디자인

은행 창구 직원의 업무 상당 부분이 ATM으로 옮겨 갔죠. 그렇게 은행의 셀프서비스에 있어 핵심이 된 ATM은 그동안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사용자 인터랙션 면에서도 그랬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IDEO는 스페인 은행 BBVA와 함께 ATM의 리디자인에 나섰고, 2년의 개발 과정을 거쳐 2010년 그들의 ATM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이 기기는 iF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어워즈 ‘제품 인터페이스’ 부문을 수상했지요.

2006-10-13 | 부룰렉 형제의 부유하는 집

공교롭게도 디자인플럭스의 오늘자 뉴스들을 훑어보면 부룰렉 형제의 이름이 두 번 등장합니다. 오늘은 둘 중 2006년의 ‘부유하는 집’을 골랐습니다. 부룰렉 형제가 디자인한 작은 선상 가옥 겸 스튜디오가 과거 르누아르의 그림에 영감을 주었던 세느강변 풍경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2010-10-22 | 긴축, 긴축, 긴축

쾅고(quango)는 정부가 상급 인사를 임명하고 재정지원도 하지만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반관반민 기관들을 가리키는 단어입니다. 다만 여기에는 다소 경멸적인 어감이 깔려 있지요. 가령 국내 일간지의 칼럼에서 이 단어는 이렇게 등장합니다. “우리나라 같은 공공기관을 쾅고라고 조롱기 섞어 부르는 영국에선 같은 날 192개의 쾅고를 없앴다고 발표했다. 쾅고는 유사자치 비정부기구라는 뜻이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