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가구

스웨덴 디자이너 카롤리나 헤르드(Carolina Härdh)가 스웨덴 예테보리에 위치한 일식 레스토랑 우라(Vrå)와 함께 녹말, 생선 뼈, 패각(굴껍질)으로 만든 스툴 겸 사이드 테이블, 기가스(Gigas)를 선보였다. 가구의 외부는 곱게 연마 되어있고, 내부는 소재가 내재한 거칠고 유기적인 형태 그대로 드러내면서, 식당을 찾는 손님들에게 음식물 쓰레기의 예상치 못한 미적 가치를 선사한다.

카롤리나 헤르드, 기가스, 2021. ⓒ Carolina Härdh

카롤리나 헤르드가 개발한 소재는 테라조의 바이오 버전과 유사하다. 먼저 다양한 크기의 패각을 갈아, 일식에서 전통적으로 국물 요리를 만들 때 사용되는 말린 다시마와 결합한다. 여기에서 패각은 시멘트와 같은 기능을 하는데, 특히 탄산 칼슘이 풍부하여 소재의 강도를 높여 준다. 그리고 두 성분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테라조를 연상시키는 얼룩덜룩한 질감이 만들어진다. 이 혼합물은 생선 뼈를 삶아 만든 천연 접착제와 쌀뜨물에서 나오는 전분으로 결합된다. 천연 접착제는 물에 녹기 때문에 재활용하여 새로운 오브제를 만들 수도 있고, 생분해 상태로 두어 퇴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생산 과정에서 남은 재료는 하시오키(Hashioki)라고 하는 작은 젓가락 받침대로 만들거나, 레스토랑에 허브와 야채를 공급하는 옥상 텃밭에 비료로 사용한다.

카롤리나 하르드, 하시오키, 2021. ⓒ Carolina Härdh
소재 제작 재료. ⓒ Carolina Härdh

carolinahardh.se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12-30 | 디자인 옥션 하이라이트

디자인플럭스가 문을 연 2006년은 마크 뉴슨의 ‘록히드 라운지’가 소더비 경매에서 160만 달러라는 기록적인 가격에 판매되었고, 전년 ‘디자인.05’라는 이름으로 출범했던 행사가 디자인 마이애미/라는 익숙한 이름으로 찾아온 해이기도 합니다. 2008년 오늘은 크리스티, 소더비 등 주요 디자인 경매 6개 행사의 결과를 소개합니다. 최근 몇 년간 이어진 이탈리아 디자인에 대한 선호 흐름을 예견하듯, 카를로 몰리노의 ‘보조 탁자’가 가장 비싼 값에 낙찰되었습니다. 작품으로서 수집의 대상이 된 디자인. 그에 부응하듯, 2008년 아트넷도 온라인 디자인 마켓플레이스를 열었습니다. 

2010-04-12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x 마티아치

다른 가구 회사들의 하청 작업을 해온 가구제작소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품 컬렉션을 선보이기 시작합니다. 2009년 스튜디오 닛잔 코헨과의 협업으로 태어난 첫 번째 컬렉션에 이어, 2010년 두 번째 마티아치 컬렉션의 디자인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가 맡았습니다. 그렇게 마티아치 컬렉션은 해를 이어, 올해로 벌써 22번째 의자를 맞이했습니다.

팬톤, ‘홍콩 트램 그린’

지난 7월 팬톤과 홍콩 트램웨이즈(HK TRAMWAYS)가 협력하여, 홍콩의 역사와 문화를 담고 있는 트램의 초록색...

2007-03-16 | 주버트 공원의 벤치

2007년 당시 요하네스버그에서는 3년 뒤 열릴 월드컵을 준비하며 개발과 정비가 한창이었습니다. 그 시기 도심에서 100년 넘게 쉼터 역할을 해온 오랜 공원 한 곳도 새단장을 하게 되었죠. 이름하여 ‘주버트 공원 프로젝트’를 위해 남아공 국내외의 예술가, 건축가, 디자이너들이 머리를 모았습니다. 15년 전 오늘 소개한 소박하면서도 영리한 벤치 디자인도 바로 이 공원을 위해 태어났죠.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