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가구

스웨덴 디자이너 카롤리나 헤르드(Carolina Härdh)가 스웨덴 예테보리에 위치한 일식 레스토랑 우라(Vrå)와 함께 녹말, 생선 뼈, 패각(굴껍질)으로 만든 스툴 겸 사이드 테이블, 기가스(Gigas)를 선보였다. 가구의 외부는 곱게 연마 되어있고, 내부는 소재가 내재한 거칠고 유기적인 형태 그대로 드러내면서, 식당을 찾는 손님들에게 음식물 쓰레기의 예상치 못한 미적 가치를 선사한다.

카롤리나 헤르드, 기가스, 2021. ⓒ Carolina Härdh

카롤리나 헤르드가 개발한 소재는 테라조의 바이오 버전과 유사하다. 먼저 다양한 크기의 패각을 갈아, 일식에서 전통적으로 국물 요리를 만들 때 사용되는 말린 다시마와 결합한다. 여기에서 패각은 시멘트와 같은 기능을 하는데, 특히 탄산 칼슘이 풍부하여 소재의 강도를 높여 준다. 그리고 두 성분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테라조를 연상시키는 얼룩덜룩한 질감이 만들어진다. 이 혼합물은 생선 뼈를 삶아 만든 천연 접착제와 쌀뜨물에서 나오는 전분으로 결합된다. 천연 접착제는 물에 녹기 때문에 재활용하여 새로운 오브제를 만들 수도 있고, 생분해 상태로 두어 퇴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생산 과정에서 남은 재료는 하시오키(Hashioki)라고 하는 작은 젓가락 받침대로 만들거나, 레스토랑에 허브와 야채를 공급하는 옥상 텃밭에 비료로 사용한다.

카롤리나 하르드, 하시오키, 2021. ⓒ Carolina Härdh
소재 제작 재료. ⓒ Carolina Härdh

carolinahardh.se

ⓒ designflux.co.kr

박지민

손으로 느껴지는 감각이 좋아 만들기 시작했고, 만드는 것이 좋아 디자인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시작했던 디자인은 만드는 것 외에도 다양한 재미를 느끼게 합니다. 만드는 것을 넘어서 현재는 타자치는 제 손의 감각도 즐기고 있습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눈으로 볼 수 없는 룸메이트

게임 개발자 니콜 히(Nicole He)와 애니메이션 감독 에란 힐렐리(Eran Hilleli)가 집 안의 전자기기들이 상호작용하는...

2008-06-10 | 굿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좋은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수없이 던져진 질문이고 어떤 대답은 무척이나 유명합니다. 디터 람스의 디자인 10계명처럼요. 이번에는 디자인 평론가 앨리스 로스손의 대답입니다. 그녀는 좋은 디자인인가를 생각할 때 짚어볼 다섯 가지를 제시합니다. 그것이 무엇을 하는지, 모습은 어떠한지, 어디가 새로운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그리고 죄책감을 일으키는지 말이지요. 그리하여 도달하는 좋은 디자인의 결론은 무엇인지, 오늘의 뉴스에서 만나봅니다.

2007-06-27 | 최고급 보석을 훔치다

마이크와 마이커는 세상 값진 보석들을 훔쳐와 자신들만의 장신구 컬렉션을 만들었습니다. 악명 높은 이멜다 마르코스의 그 반 클리프 & 아펠 루비 목걸이라던가 카르티에의 ‘투티 프루티’ 같은 것들을요. 물론 그들이 훔친 것은 실물이 아니라 이미지입니다. 그것도 저해상도의 이미지였죠. 실재하는 것의 열화 이미지를 다시 실물화한 장신구 컬렉션, ‘훔친 보석’입니다.

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하브스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