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디자인 동아리: RISD

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 착륙에 성공한 이후 멀어져 가던 일반인들의 우주에 대한 관심이 다시 돌아오고 있다. 이제는 경제적 능력만 되면 민간에서 인공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그리고 최근 억만장자들의 우주여행 성공 소식이 연이어 들려오면서, 우주는 더 이상 국가와 허락된 기관만이 갈 수 있는 ‘외계’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닿을 수 있는’ 곳이 되어가는 듯하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 속에서 한 디자인 스쿨의 우주 디자인 동아리 결성 소식이 눈에 띈다.

지난 가을, 로드 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이하 RISD)에서 우주 디자인 동아리(Space Design Club)가 결성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NASA(미국 항공우주국)에서 주최한 공모전 2021 빅 아이디어 챌린지(NASA’s Big Idea Challenge)에 제출한 여러 프로젝트 중 세 개가 선정되었고, 그 중 두 프로젝트 연구는 NASA의 연구 자금 지원을 받게 되었다.

NASA의 연구 지원을 받은 디자인 연구 ‘테스트-RAD (TEST-RAD): 우주 분진 접착 딜레마에 대한 정전기 해결책’은 RISD의 우주 디자인 동아리와 브라운 대학교의 우주 공학 동아리가 공동으로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우주비행사의 각종 장비에 달라붙어 폐를 위협하는 우주 먼지 등으로부터 우주비행사와 우주선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분진 제거 원리는 빽빽한 섬유에 정전기를 충전하여 먼지를 밀어내는 방식이다.

TEST-RAD (Tufted Electrostatic Solution to Regolith Adhesion Dilemma), 2021. © RISD

NASA의 지원을 받은 두 번째 연구 ‘마이크로 지 넥스트(Micro-G Next)는 우주복에 부착되는 디스펜서 디자인으로, 이는 우주비행사가 우주 유영을 하는 동안 샘플을 수집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디스펜서의 몸통은 알루미늄을 접어서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 디자인은 특히 아르테미스 프로젝트(NASA가 추진 중인 2024년 달에 우주인 2명이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달 유인 탐사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완성된 프로토타입은 NASA의 존슨 우주 센터 중성 부력 실험실에서 테스트될 예정이다.

Micro-G Next, 2021. © RISD

세 번째 공모전 선정 프로젝트는 NASA SUITS (Spacesuit User Interface Technologies for Students)의 일부로, 우주 유영 중에 우주비행사의 헬멧 내부에 데이터, 지도, 미션 수행 핵심 정보를 투사하는 증강 현실 헤드셋이다.

우주 디자인 동아리에서 진행한 프로젝트들은 모두 지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Risd.edu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9-05 | 접이식 인테리어 오브제

스웨덴의 폼 어스 위드 러브가 2007년 접이식 인테리어 소품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플랫팩 디자인의 극한이라고 할까요. 접기 전에는 그저 얇은 철제 평판입니다. 접기 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옷걸이, 쓰레기통, 시계 등의 소품이 됩니다. 폼 어스 위드 러브는 2007년 당시만 해도 설립 3년 차의 신진 스튜디오였지만, 2020년에는 〈패스트 컴퍼니〉가 선정한 최고의 혁신적 디자인 회사 명단에 올랐습니다.

식사  ‘매너’로 펼치는 퍼포먼스

지난 3월 17일, 덴마크 패션 브랜드 슬로트 로우싱(Sloth Rousing)의 의상 컬렉션이자 설치 작업인 ‘매너(Manner)’가...

2011-05-04 | 알렉산더 맥퀸: 새비지 뷰티

2010년 2월 11일, 패션 디자이너 알렉산더 맥퀸의 사망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40세라는 나이도, 자살이라는 사인도 모두 안타까움과 충격을 안겼습니다. 그로부터 15개월 뒤, 뉴욕 메트의 복식연구소에서 그를 회고하는 전시회가 열렸습니다. 2011년 오늘의 뉴스는 ‘알렉산더 맥퀸: 새비지 뷰티’ 전시회 개막 소식입니다.

2010-07-27 | 안티디자인페스티벌

2010년 런던디자인페스티벌과 정확히 같은 기간에 런던에서 안티디자인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그 반(反)의 주역은 네빌 브로디였습니다. 당시 <잇츠 나이스 댓>과의 인터뷰에서,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안티디자인페스티벌은 변화의 필요에서 태어났다. 무언가 새롭고 추하고 무섭고 위험한 것이 필요하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