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레, 지속가능한 가구 공장 ‘더 플러스’ 오픈

‘더 플러스’ 외부 전경, 2022. Photo © Einar Aslaksen

18개월의 공사 기간 끝에, 노르웨이 가구 제조 업체 베스트레(Vestre)에서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가구 공장, 더 플러스(The Plus)’의 문을 열었다. 노르웨이 망노르(Magnor) 마을의 전나무 숲에 둘러싸인 이 공장은 지속가능성과 고효율 생산이 공존하는 제조 공정을 선보인다.

‘더 플러스’의 건축물은 건축 사무소 BIG에서 설계를 맡았다. 건축의 형태에서 알 수 있듯이, 공장의 이름 ‘더 플러스’는 더하기 ‘+’ 모양을 따른다. 공장 중앙 구역에는 대규모 체험관이 있어 모든 방문객에게 개방되고, 공장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펼쳐지는 네 개의 각 구역에서는 제조 공정이 이루어진다. 창고로 들어온 자재들은 칠, 목재 가공을 거치고, 제조된 가구의 요소들은 조립 부서에서 만나 마무리된다. 이렇게 완성된 가구는 노르웨이 국내 각지와 전 세계로 운송된다.

‘더 플러스’ 내부 전경, 2022. Photo © Einar Aslaksen

베스트레와 BIG는 ‘더 플러스’를 통해 사람, 생산, 기술, 건축, 자연이 모이는 새로운 유형의 장소를 보여준다. ‘더 플러스’에서는 근로 환경 설계에서부터 화물차 출입, 주변 숲 관리에 이르는 모든 공장 과정에서 지속가능성과 개방성을 고려한다. ‘더 플러스’는 같은 규모의 일반 제조 공장과 비교했을 때 에너지 소비량이 60% 더 낮으며, 온실 가스를 55% 적게 배출한다. 공장 지붕에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900여 개의 태양광 패널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붕은 방문객이 둘러볼 수 있도록 상시 개방된다.

‘더 플러스’ 지붕 중심 이미지, 계단은 건물 중심으로 이어진다, 2022. Photo © Einar Aslaksen

“베스트레는 ’더 플러스’를 통해 노르웨이와 같은 고물가 국가에서도 수익성과 환경 친화적인 완제품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궁극적인 목표는 ‘더 플러스’를 통해 노르웨이 본토의 산업과 스칸디나비아의 협력 관계에 파급 효과를 만들어내는 것이다”라고 베스트레의 CEO 스테판 슈스트(Stefan Tjust)는 설명한다. 베스트레는 공장이 자리한 노르웨이 망노르 지역에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이 지역이 속해 있는 인란데주 전체 산업 활성화의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 플러스’ 내부 계단, 2022. Photo © Einar Aslaksen
전나무 숲에서 바라본 ‘더 플러스’, 2022. Photo © Einar Aslaksen

vestre.com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디자인은 미학인가 수사학인가?

<디자인 이슈(Design Issues)> Autumn 2021, Volume 37, Issue 4 표지 ‘디자인의 설득?: 미학과 수사학 사이의 디자인론(Persuasion by...

2010-04-12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x 마티아치

다른 가구 회사들의 하청 작업을 해온 가구제작소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품 컬렉션을 선보이기 시작합니다. 2009년 스튜디오 닛잔 코헨과의 협업으로 태어난 첫 번째 컬렉션에 이어, 2010년 두 번째 마티아치 컬렉션의 디자인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가 맡았습니다. 그렇게 마티아치 컬렉션은 해를 이어, 올해로 벌써 22번째 의자를 맞이했습니다.

2011-05-26 | 〈토털〉 앨범 커버 디자인

조이 디비전과 뉴 오더의 노래들을 담은 하나의 음반. <토털>의 슬리브 디자인에 관한 피터 사빌의 이야기를 <가디언>에서 빌려와 봅니다. “이것이 수퍼마켓에서 판매되고 텔레비전에서 광고될 음반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래서 커버에 ‘높이 쌓아, 싸게 판다’ 식의 미학을 담았다. 앨범을 열면 ‘Total’이라고 쓰여 있지만, 접힌 상태에서는 ‘O’자들만 보인다. 앨범에는 ‘조이 디비전에서 뉴 오더까지’라고 쓰여 있는데, ‘베스트 오브’라는 말을 견딜 수가 없었다.인디 레코드샵에서 테스코까지는 머나먼 길이었으니, 거의 33년의 세월이었다. 팩토리에서는 홍보 디자인에 있어 유례 없는 자유가 있었고, 비즈니스의 간섭 없이 이상을 누렸다. 그것은 하나의 현상이었다.”

2009-09-07 |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디자인에 그다지 관심이 없는 사람에게도 이 이름은 낯설지 않을 것입니다. 또 디자이너들의 디자이너이기도 하죠. 2009년 런던 디자인뮤지엄에서 ‘디터 람스 – 레스 앤드 모어’ 전시가 열렸습니다. 전시는 디터 람스의 40년 커리어 중에서 약 12년 정도의 기간에 집중하며, 그 시기의 “랜드마크”라 할 제품 작업들을 통해, 디터 람스의 세계를 조명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