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페이스북의 새 이름 메타, 대체어 챌린지

페이스북의 새 사명 ‘메타’의 로고, 2021. © Meta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1년 10월 28일, 페이스북의 CEO 마크 저커버그가 새 사명 ‘메타(Meta)’를 발표했다. ‘메타’는 메타버스를 일상으로 가져와 사람들을 연결하고, 커뮤니티를 찾아주며,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페이스북의 파격적인 이번 발표 직후, 디자인 이머전시(Design Emergency)에서는 인스타그램에 대체 용어 공모 챌린지를 시작했다. 

이 게시물에서 이들은 “디자인 이머전시 챌린지! 제발 테크권위자(tech-Gru) 마크 저커버그가 망쳐버린 ‘메타(meta-)’를 대체할 접두사와 ‘메타버스’를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단어를 찾아주세요”라는 문구로 시작하여 날 선 비판을 이어갔다.

“‘메타’라는 접두사는 눈부신 미래를 함의하고 있었다.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며 유동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메타’는 많은 이가 탐험하고 직접 살아보고 싶어하는 또 다른 차원을 나타냈었다. 그러나 그 의미의 유효기간은 지난 10월 28일로 끝이 났다. 페이스북의 CEO가 기업의 리브랜딩을 위해 ‘메타’를 납치해서 난도질해버린 그 날까지 말이다.”

1992년 소설 <스노 크래시>에서 ‘메타버스’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한 닐 스티븐슨은 지난 29일 트위터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남겼다. “상황이 점점 혼란스러워지는 것 같다. 페이스북이 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사실지만, 그 외에 나와는 전혀 무관한 일이다. 페이스북과 이 비즈니스에 관해 일절 대화를 나눈 바가 없다.” 이렇게 용어를 고안한 닐 스티븐슨마저도 페이스북의 행보에 당혹감을 표했다.

디자인 이머전시의 인스타그램에 업로드 된 밈, 2021. © design emergency

챌린지의 주최측에서는 우리의 존재 양태(state of being)는 저커버그가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며 사람들의 참여와 행동을 독려했다. “이에 대해 여러분들의 생각을 공유해주기 바란다. 적절한 대체어를 찾을 때까지 우리는 킹 밥(*영화 ‘미니언즈’에서 미니언 밥이 자신의 즉위식에서 외치는 대사 “King Bob!”)에 빙의해 ‘바나나버스’를 가주어로 제안한다”며 이 챌린지의 문을 열었다.

디자인 이머전시는 뉴욕근대미술관(MoMA)의 큐레이터 파올라 안토넬리와 디자인 비평가 앨리스 로스손이 2020년에 코로나 19로 인해 부상하는 디자인의 역할과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이다. 매주 인스타그램 라이브 토크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다.

게시글과 사람들의 댓글은 이곳에서 볼 수 있다.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3 | 앱솔루트 블랭크

앱솔루트 병 모양의 캔버스 위로 20인의 차세대 아티스트가 작업을 펼쳤습니다. 회화에서 영상, 조명 인스톨레이션까지, 각자 “자신의 것”을 선보였죠. 2011년 오늘의 소식은 앱솔루트가 전개했던 ‘앱솔루트 블랭크’ 캠페인입니다.

2011-03-29 | 보이콧에 대한 구겐하임의 응답

지난주에는 2011년 있었던 구겐하임 아부다비 건설 현장의 이민 노동자 착취 현실에 항의하는 보이콧 운동 소식을 전해드렸는데요. 오늘은 그에 이어지는 소식입니다. 미술인들의 항의 서한에 구겐하임 재단 측이 답변을 내놓았는데요. 항의의 기반이 된 2010년도 9월 인권감시단 보고서에는 구겐하임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이미 개선된 사항들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면서, 이렇게 항변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당신의 성명이 묘사한 대로 우리가 양심 없는 수동적 존재는 아니다.”

2011-04-14 | 이야기 꽃병

구슬 공예를 업으로 삼은 여성들의 이야기가 꽃병이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꽃병은 여인들이 구슬로 적어내린 이야기를 입고 있습니다. 오늘의 뉴스는 남아공의 여성 구슬공예인 집단 시야자마 프로젝트와 스웨덴의 디자인 스튜디오 프론트가 함께 진행한 2011년의 ‘이야기 꽃병’ 프로젝트입니다.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