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 미술관 가구 디자인

뭉크 미술관, 2021. © Munchmuseet

지난 10월 22일, 노르웨이 오슬로에 뭉크 미술관(Munch museum)이 새로운 모습으로 재개관했다. 개관 전부터 ‘가드레일’이라는 별명을 얻은 미술관의 외관으로 화제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미술관 내외부에 배치된 가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미술관 측은 재개관에 맞추어 노르웨이 가구 브랜드 베스트레(Vestre)에 미술관용 가구 디자인을 의뢰했고, 안드레아스 엔게스빅(Andreas Engesvik)과 요나스 스토케(Jonas Stokke)가 디자인을 맡았다.

뭉크 시리즈 의자(Munch-seat), 2021. © Vestre
미술관 실내에 배치된 뭉크 시리즈, 2021. © Vestre

이번에 공개된 뭉크 시리즈(MUNCH-series)는 미술관 곳곳에서 사용되는 의자, 카페 테이블, 소파, 벤치 라운지 체어로 구성됐다. 인체공학적 형태를 띤 뭉크 시리즈 의자의 좌석은 철제 프레임에 탄력 있는 철제 그물망을 걸친 형태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그 위에 모직 소재를 씌운 쿠션을 올려서 세트로 사용할 수 있다. 의자의 철제 그물망은 인체공학적 형태를 극대화하고, 철제 프레임은 무게를 지탱하며, 쿠션은 편안하고 따뜻한 감촉을 제공한다.

가구에 사용된 컬러 팔레트 또한 눈 여겨 볼 포인트이다. 디자이너는 가구의 색을 결정하기까지 수 백 여 점에 이르는 뭉크의 회화 작품을 분석하고, 노르웨이 페인트 제조 업체 요턴(Jotun)과 협업하여 맞춤형 색을 제조했다.

뭉크 시리즈에 사용된 컬러 팔레트, 2021. © Vestr

베스트레의 제품들은 오래 사용이 가능한 디자인으로 이름이 높다. 이번 뭉크 미술관의 가구 역시 장기 사용을 목적으로, 모든 부품에 용접, 아연 도금, 광택 마감을 하여 실내는 물론 야외에서도 견딜 수 있는 강한 내구성을 자랑한다.

“미술관의 가구는 불편해선 안 된다. 얇은 가죽 쿠션으로 덮은 납작하고 좁은 나무 벤치와 달리 관람객이 의자에 앉아 진정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인 형태와 등받이를 설계했다.” 스토케는 이렇게 미술관에서 흔히 사용되는 의자의 불편함을 꼬집으며, 미술관은 사람들이 편안하게 머무를 수 있어야 하는 공간이며, 그에 맞는 가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vestre.com
wallpaper.com

© designflux.co.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우리가 만든다: 소녀 목공 클럽

텍사스 사막 위의 작은 마을 마파에 위치한 마파 목공 클럽(Lumber Club Marfa)은 7세에서 14세...

2010-04-26 | HP, 3D 프린터 출시

2010년 HP는 스트라타시스와의 제휴로 3D 프린터 시장에 진출합니다. 2010년 4월 26일의 뉴스는 HP가 처음으로 선보인 3D 프린터 2종에 관한 소식입니다. 돌아보면 2000년대는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과 기기의 대중화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모형이나 시제품의 쾌속 제작을 넘어 기술의 가능성을 시험하는 시도가 활발했던 시기입니다. 가령 2006년 프론트의 ‘스케치’ 가구 시리즈처럼요. 이제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사례는 제품에서 건축에까지 더욱 넓게 더욱 자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조각으로 남긴 세계의 인구: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

프랑스 디자이너 마티외 르아뇌르(Mathieu Lehanneur)가 ‘세계의 상태(State of the World)’를 2021 디자인 마이애미/바젤에서 선보였다....

2008-06-25 | 앱솔루트 레인보우

성 소수자의 인권을 기념하는 프라이드 먼스 6월을 맞아, 2008년 앱솔루트의 병도 무지개 깃발을 둘렀습니다. ‘앱솔루트 컬러스’는 무지개 깃발 탄생 30주년을 기념하여, 앱솔루트가 바로 그 깃발의 디자이너 길버트 베이커와 함께 협업하여 선보인 첫 번째 프라이드 보틀입니다. 1978년 베이커가 디자인한 오리지널 여섯 색상 무지개는 성소수자 인권 운동의 상징이 되어 세계 곳곳에서 휘날렸고, 보다 다양한 정체성을 포용하기 위한 변주도 수없이 이뤄져, 베이커 본인도 2017년에는 9가지 색상의 무지개 깃발을 디자인했지요. 성소수자 자긍심의 상징. 무지개 깃발은 참고로 2015년 뉴욕 MoMA의 디자인 소장품 목록에 올랐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