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로 보내진 제프 쿤스의 작품 ‘월상(月相)’

달 착륙선 앞에서 ‘월상’ 조각을 들고 있는 제프 쿤스, 2024. © Jeff Koons

예술가 제프 쿤스(Jeff Koons)의 새 프로젝트 ‘제프 쿤스: 월상(Jeff Koons: Moon Phase)’이 탑재된 스페이스X의 달 착륙선 팰컨 9(Falcon 9)이 지난 2월 15일 플로리다주에 위치한 나사의 케네디 우주 센터에서 발사되었다. 계획에 따르면 약 일주일 후 착륙선이 달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젝트는 디지털 아트 기술 회사 엔에프문(NFMoon), 우주 탐사 기업 포스페이스(4Space), 페이스 갤러리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인간의 호기심과 성취욕을 달에 비추는 프로젝트 ‘제프 쿤스: 월상’은 세 개의 요소로 구성되었다. 달로 보내진 달-월상 조각(Lunar Moon Phases Sculpture)은 달 표면에, 지구에 머무르는 지구-월상 조각(Earth Moon Phases Sculpture)은 지구에 각각 설치되고, 달과 지구의 조각들에 대응하는 NFT ‘월상 NFT(The Moon Phases NFT)’가 함께 발행된다.

달 표면에 설치 될 ‘월상’ 큐브, 2024. © Jeff Koons

달로 보내는 조각은 직경 1인치의 달 미니어처 125개가 투명한 큐브 안에 구획을 나누어 배열 된 하나의 집합체이다. 각각의 달 미니어처는 지구에서 바라본 달의 위상 62개, 우주에서 달을 바라보는 모습 62개, 1개의 월식을 나타낸다.

달 미니어처 125개에는 인류 역사에 영향을 준 인물들의 이름이 붙여졌는데, 레오나르도 다 빈치부터 예수, 앤디 워홀, 버지니아 울프, 클레오파트라, 스티븐 호킹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을 포함하고 있다. 이는 위대한 성취를 기리는 것과 동시에 미래 세대에 영감을 불어넣고자 함이다.

‘월상 NFT(The Moon Phases NFT)’에는 달과 지구의 월상 조각과 짝을 이루는 디지털 이미지와 제프 쿤스의 시그니처가 포함된다.

지구에 남은 ‘월상’ 레오나르도 다 빈치 조형물, 2024. © Jeff Koons

지구에 남은 조각은 15.5인치 높이의 거울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된 달 형태의 조형물이다. 이 조형물은 달 표면에 조각이 착륙한 지점의 위치를 지구의 스테인리스 달 조형물 하단에 보석으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달로 보내진 조각이 설치된 곳은 달 유적지(Lunar Heritage Site)가 되고, 지구의 달 조형물에는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에메랄드, 루비 등으로 장식된다.

우주에 예술 작품을 보내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성공 사례가 없었기에 일주일 후 착륙선 팰컨9이 달에 무사히 착륙한다면 제프 쿤스의 작품은 최초로 달에서 공인된 예술 작품이 될 것이다.

https://jeffkoonsmoonphases.com/
https://www.nasa.gov/image-article/intuitive-machines-launches-to-the-moon/

© designflux.ac.kr

이서영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4-21 | 바이오쿠튀르

배양액 속 박테리아가 섬유를 자아내고 그것들이 엉겨 막을 이룹니다. 그리고 이 미세 섬유질의 막이 모여 천이 되죠. 모두가 실험실에서 단 몇일 만에 이뤄지는 과정입니다. 수잔 리의 ‘바이오쿠튀르’는 막대한 인력과 자원과 환경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운 의류의 한 가지 미래를 앞당겨 보여준 프로젝트였습니다. 현재 그는 바이오패브리케이트(Biofabricate)의 대표로, 바이오원료 기술과 패션은 물론 건축 등 여러 분야의 디자인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010-05-24 | 런던의 새 버스

런던의 상징이었던 이층버스가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2005년 12월 9일 루트마스터가 마지막으로 정규 노선 주행을 마친 지 약 5년 만에, ‘런던의 새로운 버스’의 모습이 공개되었습니다. 헤더윅 스튜디오가 디자인한 이 새로운 루트마스터는 2012년부터 런던의 거리를 달렸는데요. 하지만 생각보다 이른 2017년 런던시가 가격 문제를 이유로 뉴 루트마스터의 구입을 중단하였고, 그 자리는 헤더윅 스튜디오의 디자인에 바탕을 둔 또 다른 ‘새’ 루트마스터가 이어 받았습니다. 

2007-11-09 | MIT, 프랭크 게리 고소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MIT의 ‘레이 & 마리아 스테이터 센터’는 놀라운 형태와 구성으로 화제를 모았습니다. 하지만 개관 직후부터 건물은 이런저런 하자에 시달렸습니다. 아고라를 구현하였다는 원형 극장 석조부에 금이 가고 하수가 역류하는가 하면, 이곳저곳에서 누수로 곰팡이가 피었다고요. 장관을 이룬 다각의 벽들은 겨울이면 얼음과 눈이 흘러내리는 슬로프가 되었습니다. 결국 MIT는 설계를 맡은 프랭크 게리 & 어소시에이츠와 건설을 맡은 비컨 스칸스카 등에 소송을 걸었습니다.(...)

‘소리의 질서’: 소리의 데이터 세계로 이끄는 문

예술가 겸 건축가 크리스토스 부티히티스(Christos Voutichtis)가 제너러티브 아트 ‘소리의 질서(Order of Sound)’를 선보였다. 이...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