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재건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모스크바에 위치한 개러지 현대미술관(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분관인 헥사곤 파빌리온(The Hexagon)의 건축 디자인은 일본 건축 스튜디오 사나(SANAA)의 손에 맡겨졌다.

헥사곤은 1923년, 농업•수공예 산업 박람회(Agricultural and Handicraft Industries Exhibition)에서 기계와 도구 전시관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가 이반 졸토브스키(Ivan Zholtovsky)가 처음 설계한 건물이다. 박람회 이후 지대는 공원으로 용도가 변경되고 건물은 식당으로 개조되어 카페, 레스토랑 등으로 사용되다가 화재 후 건물의 일부가 파손되었다. 헥사곤은 이렇게 수 십 년 동안 거의 방치되었다가 1999년 모스크바 정부에서 정원 디자인 기념물로 지정한 이후 건물에 대한 보호 관리가 시작되었다.

스튜디오 사나는 헥사곤이 지닌 역사성과 오리지널 레이아웃, 건물의 비율과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6가지 디자인 원칙(비율, 연결된 공간, 채광, 공간 구성, 인테리어 요소, 풍경)을 가지고 출발했다.

헥사곤은 교류의 공간이자 다양한 분야의 예술 전시 공간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세 개의 전시 갤러리, 도서관, 서점, 카페가 들어서고, 건물의 안뜰은 공공 공간으로 사용된다.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garagemca.org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겨울용 베니스 곤돌라의 꿈

2021년 9월 10일, 필립 스탁은 베니스의 새로운 상징이 될 ‘겨울용 베니스 곤돌라의 꿈’을 선보였다....

2009-08-05 | 프로젝터까지 품었습니다

아주 오래 전 일은 아니었습니다. 필름이 없어도 되는 카메라가 사람들의 손에 손에 들려 있던 시절이요. 휴대폰에 카메라가 있기는 했어도, 카메라에 비할 수준은 되지 않았고, 그렇게 카메라는 단독으로 존재하는 기기였습니다. 하지만 모두 알다시피, 작고 가볍고 부담 없어 인기를 누렸던 유형의 디지털카메라들은 이후 스마트폰에 흡수되었습니다. 오늘의 옛 소식은 스마트폰 초창기, 다른 기기를 흡수하며 생존을 모색하던 디지털 카메라의 이야기입니다.

2011-06-30 | 달에 빌다

2011년 3월 11일 오후, 진도 9.0의 강진이 쓰나미와 함께 일본 동부 해안을 강타했고, 그 여파로 원자력 발전소마저 폭발했습니다. 유례 없는 재난과 재앙이 한창이던 3월 19일, 밤하늘에 유난히 커다란 보름달이 떠올랐습니다.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슈퍼문의 밤이었습니다. 캄캄한 현실 속 희망의 등불처럼 떠올랐던 그 달의 기억을, 노자이너가 조명으로 재현하였습니다. 달을 빼어닮은 노자이너의 LED 조명 ‘달’입니다.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