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재건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모스크바에 위치한 개러지 현대미술관(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분관인 헥사곤 파빌리온(The Hexagon)의 건축 디자인은 일본 건축 스튜디오 사나(SANAA)의 손에 맡겨졌다.

헥사곤은 1923년, 농업•수공예 산업 박람회(Agricultural and Handicraft Industries Exhibition)에서 기계와 도구 전시관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가 이반 졸토브스키(Ivan Zholtovsky)가 처음 설계한 건물이다. 박람회 이후 지대는 공원으로 용도가 변경되고 건물은 식당으로 개조되어 카페, 레스토랑 등으로 사용되다가 화재 후 건물의 일부가 파손되었다. 헥사곤은 이렇게 수 십 년 동안 거의 방치되었다가 1999년 모스크바 정부에서 정원 디자인 기념물로 지정한 이후 건물에 대한 보호 관리가 시작되었다.

스튜디오 사나는 헥사곤이 지닌 역사성과 오리지널 레이아웃, 건물의 비율과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6가지 디자인 원칙(비율, 연결된 공간, 채광, 공간 구성, 인테리어 요소, 풍경)을 가지고 출발했다.

헥사곤은 교류의 공간이자 다양한 분야의 예술 전시 공간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세 개의 전시 갤러리, 도서관, 서점, 카페가 들어서고, 건물의 안뜰은 공공 공간으로 사용된다.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garagemca.org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 (It’s Our F***ing Backyard)’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테델릭 뮤지엄(Stedelijk Museum Amsterdam)에서 전시 ‘빌어먹을 우리 뒷마당(It’s Our F***ing Backyard)’이 2022년...

2011-04-18 |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 선정 ‘미래의 디자이너’

2011년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의 첫 소식은 ‘미래의 디자이너’ 발표였습니다. 그해의 수상자는 총 세 팀입니다. 영국의 아시프 칸, 오스트리아의 디자인 듀오 미셔’트락슬러 그리고 싱가포르의 스튜디오 주주가 그 주인공이었죠. 그리고 두 달 뒤 이들의 수상 기념 신작이 디자인 마이애미/ 바젤에서 전시되었습니다.

2010-04-12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 x 마티아치

다른 가구 회사들의 하청 작업을 해온 가구제작소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제품 컬렉션을 선보이기 시작합니다. 2009년 스튜디오 닛잔 코헨과의 협업으로 태어난 첫 번째 컬렉션에 이어, 2010년 두 번째 마티아치 컬렉션의 디자인은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가 맡았습니다. 그렇게 마티아치 컬렉션은 해를 이어, 올해로 벌써 22번째 의자를 맞이했습니다.

2010-07-12 | ATM 리디자인

은행 창구 직원의 업무 상당 부분이 ATM으로 옮겨 갔죠. 그렇게 은행의 셀프서비스에 있어 핵심이 된 ATM은 그동안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사용자 인터랙션 면에서도 그랬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IDEO는 스페인 은행 BBVA와 함께 ATM의 리디자인에 나섰고, 2년의 개발 과정을 거쳐 2010년 그들의 ATM이 공개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듬해 이 기기는 iF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어워즈 ‘제품 인터페이스’ 부문을 수상했지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