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재건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모스크바에 위치한 개러지 현대미술관(Garage Museum of Contemporary Art)의 분관인 헥사곤 파빌리온(The Hexagon)의 건축 디자인은 일본 건축 스튜디오 사나(SANAA)의 손에 맡겨졌다.

헥사곤은 1923년, 농업•수공예 산업 박람회(Agricultural and Handicraft Industries Exhibition)에서 기계와 도구 전시관으로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가 이반 졸토브스키(Ivan Zholtovsky)가 처음 설계한 건물이다. 박람회 이후 지대는 공원으로 용도가 변경되고 건물은 식당으로 개조되어 카페, 레스토랑 등으로 사용되다가 화재 후 건물의 일부가 파손되었다. 헥사곤은 이렇게 수 십 년 동안 거의 방치되었다가 1999년 모스크바 정부에서 정원 디자인 기념물로 지정한 이후 건물에 대한 보호 관리가 시작되었다.

스튜디오 사나는 헥사곤이 지닌 역사성과 오리지널 레이아웃, 건물의 비율과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6가지 디자인 원칙(비율, 연결된 공간, 채광, 공간 구성, 인테리어 요소, 풍경)을 가지고 출발했다.

헥사곤은 교류의 공간이자 다양한 분야의 예술 전시 공간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세 개의 전시 갤러리, 도서관, 서점, 카페가 들어서고, 건물의 안뜰은 공공 공간으로 사용된다.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사나(SANAA), 개러지 현대미술관 헥사곤, 모스크바 ⓒ Garage

garagemca.org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중산층의 잇템 #4 수족관 : 내 작은 유토피아

처음 수족관이 집에 들어왔을 때를 기억한다. 거실 TV 옆에 직사각형의 유리 수조를 놓고, 모래와...

2010-07-26 | 빠이롯트 핸드라이팅

활자가 등장하기 전까지, 글자는 곧 손글씨와 동의어였습니다. 문자에 형태를 부여하는 것은 필기구를 쥔 손이었고, 글자와 손의 주인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육필이라는 말이 존재하듯이요. 하지만 글씨를 쓰는 손 대신 자판을 치는 손이 우세해졌고, 심지어 글자마저 지면을 떠나고 서체마저 물리적 몸체를 벗어나 디지털화된 지 오래입니다. 그러한 와중에 ‘손글씨 디지털 폰트’ 류가 글씨 쓰는 손과 자판을 치는 손의 공존을 도모하기도 합니다. 12년 전 오늘의 소식 ‘빠이롯트 핸드라이팅’도 그랬습니다.

500년 긴 잠에서 깨어난 수도원

프랑스 건축가 아멜리아 타벨라(Amelia Tavella)가 프랑스의 산타 루시아 디 탈라노에 위치한 ‘성-프랑수아 수도원(the Convent...

2010-07-08 | 2010 서펀타인 갤러리 파빌리온

2010년은 런던의 서펀타인 갤러리에 의미 있는 해였습니다. 개관 40주년에 매년 여름 선보인 파빌리온 프로젝트 10주년을 맞이한 해였지요. 여러 모로 기념할 만 했던 그 해, 서펀타인 갤러리가 선택한 파빌리온 건축의 주인공은 장 누벨이었습니다. 켄싱턴 가든의 녹음과 대비되는 강렬한 적색의 캔틸레버 구조물이 기하학적 형상을 이루며 존재감을 강변합니다. (...)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