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6-11 |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수상작

Editor’s Comment

인도적 위기에 대한 건축의 응답.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활동은 그렇게 요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1999년 설립 이래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의 2000년대는 여러 모로 분주했습니다. 전쟁, 재해, 질병 등 건축적 개입이 절실한 지역 공동체와 사회적 디자인을 고민하는 디자이너, 건축가를 연계하는 플랫폼으로서, 세계 곳곳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오픈소스 건축 네트워크를 여는가 하면 국제 디자인 공모전을 개최하였지요. 인덱스 어워드, TED 프라이즈 등 수상도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 오늘 뉴스의 하이퍼링크들이 암시하듯,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는 2015년 파산을 신청하며 15년 활동의 막을 내렸습니다. 

인도주의적 비영리 건축 단체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Architecture for Humanity)가 주최한 공모전, 2007 AMD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의 수상작이 발표되었다. ‘디지털 포용[1](Digital Inclusion)’이라는 주제로, 컴퓨터를 이용하기 어려운 지역에 관련 기술 시설들을 제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모집했으며, 총 57개국 566개 작품이 응모했다. 올해 최우수 수상작은 글로벌 스튜디오(Global Studio)의 ‘SIDAREC 테크놀로지 허브(Slums Information Development And Resource Center Technology Hub)’에 돌아갔다.

아프리카 챌린지 부문 수상작이기도 한  ‘SIDAREC 테크놀로지 허브’는 케냐 나이로비 인근 마을의 청소년들에게 디지털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곳이다. 센터 안에는 테크놀로지 미디어 랩과 도서관, 레코딩 스튜디오 등의 시설들이 들어서게 된다. 글로벌 스튜디오는 “지역의 문제는 지역적인 해결책을 필요로 한다”는 모토 하에, 젊은이들의 잠재성을 북돋고, 그리하여 이들이 삶의 질을 높이고 지역 공동체를 개선하는 희망이 될 수 있는 센터를 디자인하고자 했다고 설명한다.

아시아 챌린지 부문에서는 맥스 포댐(Max Fordham LLP)의 ‘냐야 헬스 센터(Nyaya Health Center)’가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네팔 고유의 ‘두르바르 광장’을 차용한 이 의료센터는, 인구 25만 명당 한 명의 의사만이 존재하는 열악한 의료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곳에서는 원격진료(tele-medicine) 서비스를 제공하여, 낙후한 네팔 농촌 주민들이 세계의 의료진으로부터 건강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세르비아의 이고르 타스코프(Igor Taskov)와 미국의 헤더 워렐(Heather Worrell), 천셰 테오(ChunSheh Teo)가 공동으로 디자인한 ‘칼라리 센터(Kallari Center)’는 남미 지역 챌린지 부문을 수상했다. 에콰도르의 유기농 코코아 재배자들을 지원하는 시설로, 주민들을 위한 쉼터인 동시에 초콜렛 공정무역이 이루어지는 마켓이기도 하다. 또한 에콰도르 내 다른 칼라리 공동체와의 연결 허브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이번 오픈 아키텍처 챌린지 공모전은 AMD의 50×15의 후원을 받아 개최되었다. 이 재단은 2015년까지 컴퓨터 및 인터넷 서비스 이용 인구를50%까지 확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이번 공모전에서 최고상을 수상한 글로벌 스튜디오는 아키텍처 포 휴머니티와 50×15의 지원으로, 나이로비에 자신들의 제안을 실현에 옮기게 된다. 더불어 나머지 두 개 수상작의 건축을 목표로 현재 추가 기금을 모집 중이라고. 

www.openarchitecturenetwork.org

via inhabitat 

ⓒ designflux.co.kr


[1] 번역 수정: 포섭 -> 포용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8-04-29 | 평범한 일상에 근거하라

변화와 혁신을 말하는 목소리야말로 유일하게 변하지 않는 무엇인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러한 변화와 혁신은 평범하고 지루하기까지한 일상의 행동에서 비롯된다고 웬디 마치는 말합니다. 2008년 미국산업디자인협회의 컨퍼런스에서 그가 이야기했던 “평범한 미래”를 다시 만나봅니다.

2006-12-21 | 미국 TV 애니메이션의 대부, 조셉 바베라 타계

영원한 앙숙 〈톰과 제리〉는 오랜 단짝의 손에서 태어났습니다. 윌리엄 해너와 조셉 바베라, 두 사람은 애니메이션이 개봉의 시대에서 방영의 시대로 넘어가던 1950년대, 해너-바베라 프로덕션을 설립하며, 〈고인돌 가족 플린스톤〉, 〈우주 가족 젯슨〉 등 지금도 사랑받는 TV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2001년 윌리엄 해너가 세상을 떠나고 2006년 조셉 바베라도 타계하였지만, 이 전설적인 듀오의 작품은 수많은 이의 유년 시절과 함께 했고 또 여전히 함께 하고 있습니다. 

2007-05-17 | 〈월페이퍼*〉, 100개의 표지

2007년 오늘의 뉴스는 영국의 잡지 <월페이퍼*>의 ‘표지’ 이야기입니다. 100번째 잡지 발행을 맞아, 총 100가지의 표지들을 돌아보는 갤러리를 열고, 그 중 최고의 표지가 무엇인지를 <월페이퍼*>를 만드는 이들에게 묻고 또 <월페이퍼*>를 보는 이들에게 물었습니다. 아쉽게도 이제는 표지 모음 갤러리도, 독자 투표 페이지도 사라지고 없지만, 여기 스태프들이 꼽은 다섯 개의 표지는 남았습니다.

2006-08-30 | 호텔을 위해 태어났습니다

객실마다 구비되어 있는 가전제품들이 있습니다. TV부터 알람 시계, 드라이어까지, 어느 호텔을 가도 있으리라 기대하는 기기들이지요. 그러나 대개는 제각각의 회사에서 나온 제각각의 제품들입니다. 리얼플리트(현 아마다나)의 ‘바루슈’는 정확히 호텔을 겨냥한 소형 가전 브랜드였습니다. 지난 6월 발표된 에어비앤비와 무인양품의 ‘호스트를 위한 필수품’ 소식 생각도 떠오르는, 15년 전 오늘의 뉴스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