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30 | 벌들의 도움으로

Editor’s Comment

쾌속조형의 반대에 서 있는 완속조형의 사례. 혹은 동물의 힘을 빌린 디자인. 토마시 가브즈딜의 ‘벌들의 도움으로’는 일주일 동안 4만 마리의 꿀벌이 빚어낸 꽃병입니다. 하이테크와 대비되는 로우테크, 인간의 공예가 아닌 동물의 공예. 또 꽃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벌과 꽃병은 멋진 한 쌍이기도 하지요.

일반적으로 RP(Rapid Prototype) 기술은 시제품이나 모델을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특정한 경우 RP로 곧 완제품생산 단계를 대체하기도 한다. Material.MGX나 FRONT의 가구, 전등 등이 그러한 사례로 손꼽힌다. 이들은 복잡한 구조와 디자인조차 단 번에 소화하는 3차원 프린팅 기술의 힘을 극대화한 제품을 통해, 디자인 프로세스의 하이테크적 국면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토마시 가브즈딜(Thomáš Gabzdil)의 작업은 그와는 정반대 지점을 향해 있다. 그는 RP와는 정반대의 개념, 즉 ‘SP(Slow Prototype)’이라 부를 만한 디자인 과정을 통해 흥미로운 제품을 창조해냈다. 앞서 2007 밀라노 가구박람회 리뷰에서 잠시 소개했던 바, 그의 꽃병 ‘벌들의 도움으로(With a little help of the Bees)’는 4만여 마리의 벌들이 일주일에 걸쳐 부지런히 만들어낸 작품이다. 

토마시 가브즈딜은 왁스 시트로 꽃병의 기본 형상을 잡고, 벌들이 그 모양대로 집을 짓도록 모니터링했다. 벌들은 꿀과 밀랍으로 시트의 안쪽과 바깥쪽 모두에서 집을 지어가며 꽃병의 모양을 잡아나갔다. 디자이너가 한 일은 벌들이 본래의 디자인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것, 그리고 언제 이 꽃병을 벌들로부터 떼어낼 것인지 결정하는 일 정도였다. 소재의 생산과 제품의 생산 모두 벌이 도맡은 셈이다. 그렇게 하나의 꽃병이 완성되기까지 걸린 시간은 정확히 일주일이었다.

‘벌들의 도움으로’는 디자이너가 통제할 수 없는, 예측 불가능한 요소를 디자인 안에 도입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 하다. 가령 꽃병의 어느 부분이 좀 튀어나왔다고 해서 벌들에게 “여기를 좀 다듬어 달라”고 주문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디자인 과정에 동물을 참여시킨 시도는 예전에도 있었다 – 가령 FRONT의 ‘쥐 벽지(Rat Wallpaper)’는 쥐들이 벽지를 뜯어먹은 자욱을 ‘문양’화 한 제품이다. 

기술과 트렌드가 속도의 경주를 펼치는 오늘날의 디자인 씬을 돌이켜 볼 때, 토마시 가브즈딜은 한 걸음 뒤로 물러나 ‘느림’을 강조하는 선택을 했다. 그렇다고 인간의 ‘손’을 강조하는 전통적 공예 단계로 회귀한 것도 아니다. 사실 제품의 조형을 값비싼 3차원 프린터가 담당하건, 4만 마리의 벌이 담당하건 간에 조형의 수고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토마시 가브즈딜은 ‘슬로우 프로토타이핑’을 통해 속도와 매끈함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났을 뿐이다.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08-01 | 전기 주전자 변주

모두를 위한 동일한 물건을 이상으로 삼는 공산품의 세계에서 특유함은 오차나 불량의 산물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결함이라 해도 거꾸로 매력의 원천이 되기도 하지요. 프랑스의 디자이너 장 밥티스트 파스트레는 전기 주전자라는 물건을 바탕으로 변주를 시도합니다. 가열체, 손잡이, 뚜껑 등 안전과 관련된 요소는 모두 동일하게, 하지만 용기는 형태도 소재도 색상도 달리하지요.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유일무이한 무엇 사이. ‘전기 주전자 변주’입니다. 

2007-08-10 | 시게루 반의 종이 다리

반 시게루에게 종이는 훌륭한 건축 자재입니다. 연약하다고 여겨지는 재료이지만 그것으로 만든 건축물까지 연약하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그는 ‘종이 건축’으로 반증해 보였지요. 2007년 오늘의 소식은 그가 프랑스에 지었던 종이로 된 다리입니다. 지관을 이용해 한 번에 스무 명이 지나가도 끄떡없는 종이 다리를 완성했지요. 

2009-01-12 |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공산당 선언』의 마지막 구절이자 소비에트 공화국의 표어였던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를 21세기 미국의 백화점이 노골적으로 차용합니다. “만국의 소비자여 단결하라!” 그것도 소비에트의 시각적 선전 양식을 빌려서요. 프로파간다 스타일로 유명세를 얻은 셰퍼드 페어리가 디자인한 삭스 피프스 애비뉴의 뻔뻔한 광고를 다시 돌아봅니다.

2009-10-21 |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

지난 한 해 네덜란드에서 출간된 책들 가운데 빼어난 북 디자인의 사례들을 선정하여 한자리에 모읍니다. 네덜란드 우수디자인도서재단과 암스테르담 시립미술관이 주최하는 ‘네덜란드 베스트 북 디자인’입니다. 2009년에는 어떤 디자이너의 어떤 책들이 선정되었을까요. 참고로 네덜란드 북 디자인하면 떠오르는 그 이름도 역시 있습니다. 

Designflux 2.0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