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 전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앨리스 기획전, 2021. © Victoria and Albert Museum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V&A)에서 앨리스 기획전 ‘앨리스의 호기심(Alice: Curiouser and Curiouser, 2021. 5. 22. – 12.31)’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계획을 발표했다. 이 전시는 158년 동안 끊임없이 각색되고 재창조된, 루이스 캐럴의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 퍼포먼스, 패션, 미술, 음악, 사진 등 300점 이상의 오브제로 구성한 테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는 전지적 관람객 시점으로 주요 오브제를 근접 촬영한 영상을 담고 있다. 또한 팝 아티스트 피터 블레이크(Peter Blake)와 패션 디자이너 이리스 판 헤르펀(Iris van Herpen)과 같은 게스트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전반적인 전시 제작 과정과 이번 전시에서 V&A 팀이 어떻게 전시를 VR로 전환하였는지 그 과정 또한 상세히 보여준다.*

전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것에 대해 V&A의 수석 큐레이터 케이트 바일리는 이렇게 설명한다.

“앨리스 기획전의 전시 콘텐츠와 경험을 영화로 제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단계’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원작은 이미 ‘영화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야기가 단편적 사건들로 이루어지고, 챕터와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이는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역으로 전시 디자인의 몇몇 요소들을 영화로 가져오면, 마치 관람객이 유리 통로를 지나며 유리 너머 전시장을 관람하는 것처럼 영화를 보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실 V&A에서 전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2013년에 열렸던 ‘데이비드 보위 이즈(David Bowie is)’ 전시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영화가 제작된 적이 있다. 그 후 8년 만에 V&A에서 영화를 제작하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 예전처럼 아무나 전시를 보러 런던에 방문할 수 없는 코로나19 상황에서, 170여 개 언어로 번역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야기만큼 박물관의 벽을 넘어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소재는 없기 때문이다. 즉 V&A는 코로나19로 인해 박물관이 가지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인 고전 작품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전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것이다.

영화는 80분 길이의 다큐멘터리로, 올해 10월 14일 V&A에서 지정한 영화관과 독립 영화관에서 상영된다.

*V&A는 이번 앨리스 기획전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전시가 연기되는 것에 대한 대응책으로, 박물관 최초로 VR을 도입했다.

designweek.co.uk
전시보기 vam.ac.uk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05-10 | 달빛 감응 가로등

에너지 절약과 가로등이라는 주제의 공모전이라고 하면 이라면 예상 가능한 제안은 아마도 태양광 발전 가로등일 테죠. 하지만 여기 2007년 〈메트로폴리스〉지의 차세대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은 오히려 달빛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달빛에 감응해 가로등의 밝기를 조절하는 가로등. 에너지도 절약하면서 조명 공해에서도 한발 물러선 영리한 제안입니다.

2011-08-23 | 레고를 든 건축가들

〈아이콘〉 매거진 098호는 ‘장난감’ 특집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획이 진행되었습니다. 편집부는 런던의 유명 건축사무소 여러 곳에 ‘레고 아키텍처’ 세트를 안겨, 그것으로 새로운 건축 모형을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과연 그 결과는 어땠을까요. 2011년 오늘의 소식에서 확인해보시죠.

2009-05-07 | 버크민스터 풀러 공모전 수상작

MIT 학생들이 제안한 도시형 모빌리티 디자인이 2009년 버크민스터 풀러 챌린지에서 최고상을 받았습니다. 스쿠터, 미니카 등 개인용 교통 수단을 중심으로 대여 시스템과 충전 설비에 이르는 너른 시야가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10년을 훌쩍 앞서 ‘공유 모빌리티’의 오늘을 앞서 엿본 ‘SPM/MoD’입니다.

2007-06-07 | 2012 런던 올림픽 로고 공개

2012 올림픽을 5년 앞둔 2007년, 런던 올림픽의 로고가 공개되었습니다. 울프 올린스가 디자인한 이 로고는 영국 하면 떠오르는 어떤 상징과도 결별한 채, 2012라는 숫자를 도형 삼아 뉴 레이브 스타일을 보여줍니다. 반응은 차가웠습니다. 게다가 로고의 홍보 영상이 감광성 간질을 유발하는 사태도 벌어졌죠. 하지만 로고는 꿋꿋이 버텨, 5년 뒤 올림픽 현장을 장식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