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 전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앨리스 기획전, 2021. © Victoria and Albert Museum

런던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V&A)에서 앨리스 기획전 ‘앨리스의 호기심(Alice: Curiouser and Curiouser, 2021. 5. 22. – 12.31)’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계획을 발표했다. 이 전시는 158년 동안 끊임없이 각색되고 재창조된, 루이스 캐럴의 동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 영감을 받은 영화, 퍼포먼스, 패션, 미술, 음악, 사진 등 300점 이상의 오브제로 구성한 테마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큐멘터리 영화는 전지적 관람객 시점으로 주요 오브제를 근접 촬영한 영상을 담고 있다. 또한 팝 아티스트 피터 블레이크(Peter Blake)와 패션 디자이너 이리스 판 헤르펀(Iris van Herpen)과 같은 게스트의 인터뷰도 포함되어 있다. 아울러 전반적인 전시 제작 과정과 이번 전시에서 V&A 팀이 어떻게 전시를 VR로 전환하였는지 그 과정 또한 상세히 보여준다.*

전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것에 대해 V&A의 수석 큐레이터 케이트 바일리는 이렇게 설명한다.

“앨리스 기획전의 전시 콘텐츠와 경험을 영화로 제작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단계’이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원작은 이미 ‘영화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야기가 단편적 사건들로 이루어지고, 챕터와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이는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역으로 전시 디자인의 몇몇 요소들을 영화로 가져오면, 마치 관람객이 유리 통로를 지나며 유리 너머 전시장을 관람하는 것처럼 영화를 보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사실 V&A에서 전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2013년에 열렸던 ‘데이비드 보위 이즈(David Bowie is)’ 전시에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영화가 제작된 적이 있다. 그 후 8년 만에 V&A에서 영화를 제작하게 된 데는 이유가 있다. 예전처럼 아무나 전시를 보러 런던에 방문할 수 없는 코로나19 상황에서, 170여 개 언어로 번역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이야기만큼 박물관의 벽을 넘어 이야기를 전할 수 있는 소재는 없기 때문이다. 즉 V&A는 코로나19로 인해 박물관이 가지는 지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인 고전 작품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전시를 영화로 제작하는 것이다.

영화는 80분 길이의 다큐멘터리로, 올해 10월 14일 V&A에서 지정한 영화관과 독립 영화관에서 상영된다.

*V&A는 이번 앨리스 기획전에서 코로나19로 인해 전시가 연기되는 것에 대한 대응책으로, 박물관 최초로 VR을 도입했다.

designweek.co.uk
전시보기 vam.ac.uk

© designflux.co.kr

이서영

디자인 우주를 여행하던 중 타고 있던 우주선의 내비게이션에 문제가 생겨 목적지를 잃고 우주를 부유하는 중입니다. 이 넓은 디자인 우주에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근처에 반짝이는 별이 보일 때마다 착륙해 탐험하고 탐험이 끝나면 떠나기를 반복하고 있습니다. 근데 생각보다 나쁘지 않더군요. 오히려 재미를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이제 또 다음 별로 출발해보려 합니다.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7-10-26 | 종이클립에서 조명으로

평범한 물건은 평범하기에 재해석이 더 매력적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2007년 오늘은 종이클립이라는 익숙하고 작은 물건을 조명으로 옮긴 두 가지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티그의 ‘페이퍼클립 램프’ 프로토타입과, 가엘 호르스팔의 ‘네온 페이퍼클립’을 만나보시죠. 

사라질 지도

바다를 소재로 기후 위기를 다루는 예술가, 크리스티나 콘클린(Christina Conklin)이 마리나 사로스와 공동 저술한 <사라지는...

2011-06-14 | 패러디자인

2011년 SFMOMA는 자신의 소장품 가운데 패러(para-)라는 접두사로 묶어낼 수 있는 디자인, 그러니까 소장품 데이터베이스에서 대체로 '기타'로 분류되던 디자인들을 추려 전시를 열었습니다. 이름하여 ‘패러디자인’ 전은 디자인의 규범과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저 너머의 디자인, 정상적인 것과는 떨어져 있는 디자인 100여 점을 선보인 자리였습니다.

2010-07-06 | 알록달록 제스처 인터페이스 장갑

제스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근미래의 일상으로 앞당겨 보여주었던 영화 〈마이너리티 리포트〉가 개봉한 것이 2002년의 일입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터치가 우세종이 되었고, 이어 음성이 말 그대로 ‘어시스턴트’로서 일상화된 지금, 허공의 제스처도 그렇게 될까요? AR 장비가 보편화된다면 그럴지도요. 12년 전 오늘의 뉴스는 저렴한 라이크라 장갑으로 제스처 기반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IT의 두 연구자의 작업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