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 미술관 이상의 미술관 (more than museum)

2021년 11월 12일, 홍콩에서 아시아 최초의 현대 시각 문화(Contemporary Visual Culture) 뮤지엄 M+가 드디어 개관한다. 2014년 시각예술센터 개발 사업으로 시작되어 오랜 준비와 진통 끝에 이루어지는 일이라 더욱 반가운 소식이다. 서구룡문화지구에 위치한 M+ 뮤지엄은 빅토리아 항구가 내려다보이는 구룡의 최남단에 자리잡고 있다.

M+ 뮤지엄 전경 ⓒ M+ Museum

M+의 뮤지엄 건축은 스위스의 헤르조그 앤 드 뫼롱(Herzog & de Meuron)과 영국의 도시계획 회사 TFP 파렐스(TFP Farrells), 건축개발사 아럽(Arup)의 협력으로 이루어졌다. 건물은 거꾸로 된 ‘T’ 모양을 갖고 있으며, 항구를 향한 건물 전면에는 M+가 LED 디스플레이를 통해 존재를 드러내고 있다.

M+는 총 면적 17,000 m²(5,000여 평)의 규모를 자랑한다. 개막 전시에서는 33개의 갤러리와 기타 전시 공간에 아시아를 넘어 세계 각지의 시각예술, 디자인, 건축, 영상 작품 1,500 여 점이 선보일 예정이다.

M+ 뮤지엄 건축물 외관 측면 ⓒ M+ Museum

Mplus.org.hk

ⓒ designflux.co.kr

박지민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1-02 | 영화 타이틀 스틸 모음

영화가 시작하고 영화의 제목이 스크린에 등장하는 바로 그 순간의 스틸 이미지를 한데 모은 디자이너가 있습니다. 크리스티안 아냐스는 멀리 1920년대부터 가깝게는 2014년까지, 영화의 타이틀 장면을 모아 웹사이트를 열었는데요. 어떤 영화들의 경우, 기본 정보 외에도 오프닝 타이틀 제작사는 어디인지 타이틀 장면에 쓰인 폰트는 무엇인지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옛 영화들의 레터링 스타일을 되돌아보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지요.

2011-05-27 | 앰네스티 x 마르턴 바스

2010년도 노벨평화상 시상식장에 막상 수상자 류 사오보는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습니다. 시상식장에 주인 없이 남아 있어야 했던 의자를 상징 삼아, 앰네스티는 ‘빈 의자’라는 이름의 캠페인을 펼쳤습니다. 디자이너 마르턴 바스는 비어 있으되 하늘 높이 솟은 사다리와도 같은 의자로 현실과 희망을 동시에 보여주었습니다.

플라스틱을 먹는 곤충, 패키징 신소재

디자인 스튜디오 도플갱어(Doppelgänger)의 샤를로테 뵈닝(Charlotte Böhning)과 마리 렘프레스(Mary Lempres)는 밀웜(딱정벌레의 유충)의 외골격으로 만든 생분해성...

2007-08-23 | 북유럽의 새 바람, 무토

2006년 무토는 “스칸디나비안 디자인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기치로, 북유럽 디자이너들에 의해 일신하는 북유럽 디자인을 선보이겠다는 포부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이제 무토라는 이름은 여기 한국의 소비자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세계적인 브랜드가 되었습니다. 2017년, 놀이 3억 달러를 들여 사들일 만큼요. 그런데 올해 놀이 허먼 밀러에 합병되었으니, 이제 무토도 ‘밀러놀’ 산하의 브랜드가 된 셈이군요.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