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0-28 | 헬프의 새 포장 디자인

Editor’s Comment

의약품계의 미니멀리즘이라고 할까요. 헬프라는 이름의 제약 회사는 많은 것을 ‘덜어내는’ 방식으로 차별화를 도모했습니다. 간결하고 단순한 포장, 평문으로 된 증상을 강조한 제품명처럼 말이죠. 2011년 헬프는 “테이크 레스”라는 캠페인을 전개하며, 리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미니멀의 기조는 여전히 유지하되 시각성을 조금 더 높이는 방향으로요. 

의약품 포장 디자인에 있어 ‘헬프(Help)’의 등장은 신선한 충격이었다. 두통약을 사러 갔다가 되려 두통만 심해졌던 경험을 한 후, 리처드 파인(Richard Fine)는 아예 스스로 의약품계의 미니멀리스트가 되기로 마음먹었다. 간결하고 단순한 포장, 증상을 강조한 약명. 2008년 설립된 헬프는 “부티크 제약 회사”로 자리잡았다. 

헬프가 올해 포장뿐만 아니라 복용 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절제의 캠페인을 전개한다. “우리는 사람들이 약, 염료, 코팅제, 기타 여러 말도 안되는 것들을 이미 충분히 복용해왔다고 생각한다.” 더 빠른, 뛰어난, 극대화 같은 수사들이 점령한 의약품 시장에서, 헬프는 반대로 ‘덜어내자(Take Less)’고 소리 높여 말한다. 

‘테이크 레스’ 캠페인 출범과 함께, 포장에도 변화가 더해졌다. 펄피셔(Pearlfisher)가 디자인한 새 포장은, 전면적인 쇄신이라기보다 기존 디자인의 정제에 가깝다. 서체에 변화를 주어 브랜드명 및 제품명을 좀 더 강조하였으며, 요철로 표현되었던 내용물 아이콘에서 요철을 제거하고 컬러 코드를 적용하였다. 브랜드 전반을 시각적으로 강화하여, 눈에 띄고 즉각 인지되도록 했다는 것이 펄피셔 측의 설명이다. 

새 포장의 ‘헬프’ 시리즈는 올 가을부터 미국 전역의 월그린(Wallgreens) 매장을 비롯해, 일부 타겟(Target) 매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www.helpineedhelp.com
www.pearlfisher.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09-03-30 | 무가치한 화폐의 비극적 풍경 

저 악명 높은 짐바브웨 초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짐바브웨 달러는 화폐로서의 가치를 상실하다시피 했습니다. 그러한 와중에 종이가 사치 수입품으로 분류되어 막대한 관세가 부과되면서, 언론사들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2009년 <짐바브웨 신문>의 ‘감사 벽보’ 광고는 돈으로서의 가치를 잃고 종이로서의 효용만 남은 짐바브웨 달러의 현실을 정확히 겨냥한, 씁쓸한 캠페인이었습니다. 

2008-08-19 | 그들의 몰스킨 노트 속

2006년 70권의 몰스킨 노트가 예술가, 작가, 디자이너에게 전해졌고, 그렇게 각각의 몰스킨이 경험한 우회의 여정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전시의 형태로 다시 런던, 뉴욕, 파리, 베를린, 이스탄불, 도쿄, 베니스, 상하이, 밀라노를 여행했습니다. 2008년 오늘의 소식은 전시회 ‘우회’의 이야기입니다. 

2011-07-25 |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

1941년 독일이 불가침 조약을 깨뜨리며 소비에트를 침공하면서, 장장 4년의 독일소련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그 길고 참혹한 전쟁은 전선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선 뒤에서도 치열한 이미지 전쟁이 펼쳐졌지요. 2011년 시카고미술관에서 열린 ‘전쟁의 창: 소비에트 타스 포스터 1941-1945)’는 포스터라는 매체를 통해 소비에트의 “대조국전쟁”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2011-03-18 | 페루, 국가 브랜드 공개

2011년 3월 12일, 페루의 국가 브랜드가 뉴욕 월스트리트에서 첫선을 보였습니다. 브랜드는 peru라는 국가명에 페루에서 발원한 모든 문화에서 발견되는 나선의 모티프를 결합한 로고 그리고 그와 궤를 같이 하는 디자인의 공식 서체로 구성되었습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