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28 | 집전화기입니다

Editor’s Comment

풍크트는 2008년 뛰어난 디자인으로 오래 사랑받을 디자인의 일상적 전자제품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로 설립된 스위스의 회사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그들이 선보인 첫 번째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였고, 회사의 아트 디렉터로 영입한 디자이너는 재스퍼 모리슨이었습니다. 풍크트는 이후로도 무척 단정한 모습의 USB 충전기, 멀티탭, 물리 키패드를 여전히 지닌 휴대폰, 알람 시계 등을 통해 단순함을 제품화하고 있습니다. 

스위스의 신생 소비자가전 브랜드 풍크트(Punkt)가 내놓은 첫 제품은 가정용 전화기다. 받침대 위에 놓인 무선 전화기. ‘DP 01’은 평범한 집 전화기이다. 풍크트는 첫 제품으로 집 전화기를 택했고, 재스퍼 모리슨(Jasper Morrison)에게 제품 디자인을 의뢰했다. 

옛 전화기들이 대부분 엎어진 채로 놓여 있다면, ‘DP 01’은 받침대 위에 바로 누웠다. “옛날 전화기를 생각해 보면 받침대 위에 아래를 향해 놓여 있다. 차라리 반대 방향으로 하면 더 낫지 않을까, 그러면 전화기를 집어 들지 않고서도 스크린을 보고 전화번호를 누를 수 있을 테니까, 라고 자문해 보았다.” 재스퍼 모리슨의 설명이다. 전화기는 수평으로 놓거나 또는 수직으로 벽에 부착할 수 있다. 전화기의 양 끝만을 받치는 받침대가 불안해 보이지만, 자석 시스템으로 고정된다고 하니 안심할 일이다.

전화기에는 작은 스크린과 숫자 키패드가 있을 뿐이다. 가외의 기능이라면 100개까지 연락처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자동응답기, 10가지 벨소리 정도가 전부다. ‘DP 01’은 그저 전화를 걸고 받는 것이 제 소임이라 여기는 전화기다. 만물이 스마트를 자부하는 요즘, ‘DP 01’은 모두가 그렇게 똑똑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듯 하다.  

www.jaspermorrison.com
www.punkt.ch/en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공병으로 만든 시상대: 2020 도쿄올림픽

2021년 8월에 열리는 2020 도쿄올림픽에서는 지속가능성을 컨셉으로 트로피, 메달과 같은 다양한 오브제를 보여주고 있다. 그...

낫플라 페이퍼: 해조류 부산물로 만든 종이

영국의 친환경 패키지 브랜드 ‘낫플라(Notpla)’는 해조류를 사용해 패키지 박스나 봉투에 사용될 종이를 제작했다. 생분해성...

해양행 플라스틱으로 만든 에어론 체어

2021년 9월 1일, 허먼 밀러(Herman miller)에서는 앞으로 모든 에어론 체어(Aeron Chair)에 해양행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2008-09-16 | 제11회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수상자

2020년 팬데믹으로 많은 디자인 행사가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전환되거나 연기되었지요. 베니스 비엔날레 국제건축전은 미루는 쪽을 택했습니다. 그것도 두 번이나요. 그래서 본래 올해는 열리지 않았을 제17회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이 이제 중반을 지나가고 있습니다. 건축전이 한창인 지금, 2008년도 베니스 비엔날레 건축전의 수상자들을 다시 만나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