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9-20 | 번역

Editor’s Comment

2010년, 런던을 터전 삼아 활동 중인 젊은 디자이너들이 모여 함께 전시를 열었습니다. 하나의 착상이 물리적 몸체를 얻기까지의 과정에 그들은 ‘번역’이라 이름 붙였죠. 생각이 지나온 경로와 완성된 디자인을, 또 영감의 원천이 무엇이었는지도 함께 보여주는 전시였습니다. 

머리 속 착상이 하나의 사물로 옮겨지기까지, 그 사이의 과정을 번역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번역(Translations)’은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젊은 디자이너들이 함께 여는 전시회다. 직관과 관찰 속에서 탄생한 아이디어가 디자인 과정을 거쳐 마침내 물리적 형태를 얻기까지. ‘번역’은 완성된 디자인을 디자이너들의 생각이 거쳐온 경로와 함께 제시한다. 

사이먼 도널드(Simon Donald), ‘오비 문구(Obi Stationery)’

각각의 프로토타입은 디자인에 기여한 숨은 주인공들, 가령 그림이나 또 다른 물건, 노래 등과 전시된다. 페더럴 오피스(Federal Office)의 전시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디자이너마다 꼽은 ‘영감의 원천’들이 소개되어 있다. 이 프로젝트에 영감을 준 것이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누군가는 쌓아둔 책 더미, 또 누군가는 부서진 스포츠카라고 답한다. 어쩌면 이 답변들의 목록이 전시작보다 흥미롭게 느껴질 지도 모르겠다.  

자벤(Zaven), ‘필라(Pila)’
알론 메론(Alon Meron), ‘망치질 의자(Hamered Chair)’ 
안느 시라다키(Anne Xiradakis), ‘변수(Variables)’
로헤르 아르케르(Roger Arguer), ‘깔때기 꽃병(Vase Funnel)’
토메크 리갈리크(Tomek Rygalik), ‘데이 베드(Day Bed)’ 

전시회 ‘번역’에는 오스카 디아즈(Oscar Diaz), 로헤르 아르케르(Roger Arquer), 사이먼 도널드(Simon Donald), 포슬러/퍼거슨(Fostler/Ferguson), 요타 카쿠다(Yota Kakuda), 알론 메론(Alon Meron), 토멕 리갈리크(Tomek Rygalik), 토마스 바그너(Tomas Wagner), 안느 시라다키(Anne Xiradakis), 자벤(Zaven) 등이 참여한다. 전시는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된다. 

www.federal-office.com

ⓒ designflux.co.kr

기사/글에 대한 소감과 의견을 들려주세요.

More

2011-10-24 | 아키진스

세계 각국의 건축 관련 잡지들을 모은 온라인 아카이브 ‘아키진스’의 오프라인 전시가 2011년 AA 건축학교에서 열렸습니다. 동명의 전시회 ‘아키진스’에서는 20여 개 국가에서 나온 건축 관련 잡지, 팬진, 저널 등 총 60여 종을 소개했습니다. 가내수공업 스타일의 무료 잡지에서 이름난 건축 전문지까지, 각각의 출판물과 이를 만드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나란히 함께 하였죠.

2009-09-30 |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의 자명종 시계

자명종 시계의 중요한 기능은 역시나 알림이겠죠. 인더스트리얼 퍼실리티와 IDEA의 ‘벨’은 그래서 이름도 벨입니다. 기능은 여느 자명종 시계와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종소리 만큼은 흥미롭습니다. ‘화재 알림 레드’부터 ‘자전거 경적 크롬’, ‘초인종 블랙’ 등 시계의 색상에 따라 종소리의 크기를 달리하였거든요. 

2011-08-18 | 8비트 패셔너리

패셔너리는 패션 디자이너의 필수품인 패션 스케치북을 만드는 회사입니다. 패셔너리는 “패션+사전+일기”가 더해진 이름이고요. 2011년 오늘 소개한 패셔너리의 작업은 8비트 그래픽 버전의 하이패션입니다. 큼직한 픽셀로 인해 의상의 세부는 사라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알아볼 수 있는 모습을 유지한다는 점이 흥미롭죠. 패셔너리는 8비트 패션 시리즈를 포스터로도 판매했습니다. 물론 지금은 더 이상 판매되지 않지만요.

2007-04-12 | 독일, 복제품 전시관 오픈

표절, 도용, 복제라는 오랜 문제에 대해 아예 그런 제품을 시상하고 전시하는 방식으로 불명예를 안기는 단체가 있습니다. 2007년 오늘자 뉴스는 독일의 ‘표절 방지를 위한 행동’이 연 표절 제품 전시관 소식입니다.

Designflux 2.0에 글을 쓰려면?

Designflux 2.0는 여러분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입니다.
에세이, 리뷰, 뉴스 편집에 참여를 원하시면 아래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